• 제목/요약/키워드: food service status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32초

병원 유형 및 지역에 따른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Nurses' Perception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s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 and Area)

  • 이한나;이송미;박유경;이승민;이은;차진아;박미선;이호선;라미용;류은순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0권4호
    • /
    • pp.235-24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rses' perception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performed. The research was accomplished by using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administered from September 12 to December 31, 2013 to 343 nurses at 43 tertiary hospitals and 20 general hospitals. The percentage of nurses who recognized clinical nutrition certificate as issued from nation was 27.8%.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usefulness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s was 4.23/5.00, whereas that of perceived implementation was 3.76/5.00. The mean scores of necessity of disease-specialized clinical dietitian at capital hospit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obesity (P<0.01), cancer (P<0.05), and infant & childhood disease (P<0.01) than at local hospitals. The rates of nurses' experience in group education on cancer at capital hospitals (21.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local hospitals (10.3%) (P<0.05).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importance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were 4.46/5.00 for 'group nutrition education', 4.46/5.00 for 'individual consultation', and 4.40/5.00 for 'nutrition management for enteral nutrition (EN) patients'. The most common reason why clinical nutrition services are important was 'improving malnutritional status'. To activate clinical nutrition services especially at local hospitals, clinical dietitians should give systematic assistance to patients and also institutional supports are needed.

약물군-약물군 조합으로 도출한 약력학적 기전의 추가 병용금기성분 (Pharmacodynamic Drug-Drug Interactions Considered to be Added in the List of Contraindications with Pharmacological Classification in Korea)

  • 제남경;김동숙;김주연;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0-129
    • /
    • 2015
  • Objectives: Drug utilization review program in Korea has provided 'drug combinations to avoid (DCA)' alerts to physicians and pharmacists to prevent potential adverse drug events or inappropriate drug use. Seven hundred and six DCA pairs have been announced officially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by March, 2015. Some DCA pairs could be grouped based on the drug interaction mechanism and its consequen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rug-drug interaction (DDI) pairs, which may be potential DCAs, generated by the drug class-drug class interaction method. Methods: Eleven additive/synergistic and one antagonistic drug class-drug class interaction groups were identified. By combining drugs of two interacting drug class groups, numerous DDI pairs were made. The status and severity of DDI pairs were examined using Lexicomp and Micromedex. Also, the DCA listing rate was calculated. Results: Among 258 DDI pairs generated by the drug class-drug class interaction method, only 142 pairs were identified as official DCA pairs by the MFDS. One hundred and four pair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DCA pairs to be listed. QT prolonging agents-QT prolonging agents, triptans-ergot alkaloids, tricyclic antidepressants-monoamine oxidase inhibitors, and dopamine agonists-dopamine antagonists were identified as drug class-drug class interaction groups which have less than 50 % DCA listing rate. Conclusion: To improve the clinicians' adaptability to DCA alerts, the list of DCA pairs needs to be continuously updated.

웨어러블 기반의 스마트 모자를 이용한 생활기상지수 모니터링 시스템 (Life Weather Index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based Smart Cap)

  • 전인자;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77-484
    • /
    • 2009
  • 스마트 의류가 고객 중심으로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환경 속에서 날씨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서비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의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연구자와 개발자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센서 기반의 스마트 의류는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기반의 스마트 모자를 이용한 생활기상지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스마트 모자를 착용하여, 기상상태를 수집하고 신호를 UMPC로 무선 전송되어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센서에 따른 생활기상지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상지수를 6가지 요소(열지수, 식중독지수, 불쾌지수, 자외선지수, 체감온도지수, 동파가능지수)에 따라 분석하였다. 생활기상지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스마트 의류에서 서비스의 만족도와 질을 향상시켰다.

외식업체 조리 기술지원 및 경영 컨설팅을 통한 경영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Cooking Skills Support and Management Consulting for Restaurants: Focused on Restaurants in Gyeonggi Province)

  • 엄영호;임영희;정주희;이은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92-10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30 restaurants targeted for customized-visit consulting. For this process, experts visited restaurants and conducted consulting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for restaurants. A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general detail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consult employees and customer groups. The analysis and consulting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menu need to be improved through restaurants' sanitary state and menu quality improvement. New menu should be developed through continuous training for restaurant operators,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cooking skill experts. Secondly, restaurants' cooking skill and knowledge should be secured by training of restaurant operators from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experts to acquire cooking skills. In conclusion, restaurants' capability needs to be consolidated through persistent and cyclical process to maintain competitive menus and cooking skill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employee group's MOT, foods, menu, and facility education/training should be fortified. In order to reinvigorate the restaurant industry, marketers need to offer continuous education/training and consulting for employees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Amounts served and consumed of school lunch differed by gender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s

  • Nozue, Miho;Yoshita, Katsushi;Jun, Kyungyul;Ishihara, Yoko;Taketa, Yasuko;Naruse, Akiko;Nagai, Narumi;Ishida, Hirom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5호
    • /
    • pp.400-404
    • /
    • 2010
  • School lunches serve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and to promote the health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rtion sizes of school lunches served and consumed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 in servings and consumption were also studied. A cross-sectional study was undertaken between October 2007 and February 2008 in schools located in Tokyo and Okayama, Japan. A total of 192 fifth-grade children attending four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ighed plate waste methods and observation were used to collect dietary data for two non-consecutive days. The proportion of children who chose staple foods along with main dishes and/or side dishes for at least one day was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respectively, for staple food: 42.1% vs. 9.3%, for main dish and/or side dish: 68.4% vs. 44.3%, P < 0.001). The ratio of initial amount served to amount offered was $0.88{\pm}0.11$ for boys and $0.84{\pm}0.10$ for girls (P < 0.05). The ratio of amount consumed to amount offered was $1.04{\pm}0.19$ for boys and $0.88{\pm}0.12$ for girls (P < 0.001). Weight was related to amount consumed both in boys (r = 0.222, P < 0.05) and in girls (r = 0.201, P < 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utritional standards of school lunch programs should take into account gender differences. Clearly, boys were more likely to consume more than the initial amounts served due to their higher propensity to take second helpings. Boys feel few reservations about taking second helpings to adjust their total intake. However, school lunch plan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girls' reluctance to do so, by serving appropriate initial portion sizes.

CSR 구성요인이 기업이미지를 통해 고객만족과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SR componen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civic behavior through corporate image)

  • 안태혁;정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145-15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CSR의 본질과 관련한 기업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휴대폰 시장에서 점유율이 높은 삼성, LG, Apple 등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CSR의 구성요소가 기업이미지, 고객만족, 고객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213부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CSR의 구성요인 중에서는 경제적 책임, 법적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과 같은 네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은 모두 기업이미지에 정(+)의 영향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법적 책임은 기업이미지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이미지는 고객만족과 고객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기업 차원에서 종업원들의 CSR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돕고 고객이 인지하는 CSR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CSR 관련 정보공개 및 교육 시스템의 구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국내 영화관의 효율적인 쓰레기 분리수거 촉진을 위한 사인 디자인 체계 연구 - 메가박스 사례를 중심으로 - (Building guidance-sign system to improve efficiency of waste separate collection at movie theatres - Focusing on Megabox Movie Theater in Seoul -)

  • 백진경;황상미;천은영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53-6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관 내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쓰레기 분리배출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를 보완 및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수도권 중구에 위치한 국내 대표 영화관 3사인 CGV, Lotte Cinema, Megabox를 대상으로 분리배출 현황 및 안내사인 현황을 분석하고 영화관 이용자 남·여 110명을 대상으로 영화관 내 쓰레기 분리배출의 인식조사 및 안내사인 관련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영화관 내 이용자를 통한 분리배출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안내사인 구축의 미흡과 방법 안내가 부족함이 그 이유로 도출되었다. 또한, 최대 문제점인 쓰레기분류항목으로는 음식물 쓰레기가 꼽혔으며 해결방안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내사인의 선호형태와 부착위치, 부착 순서를 조사하였다. 최대 문제점으로 대두 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배출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어 안내사인을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개선안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안내사인은 영화관이라는 특정 공간에서 쓰이는 안내사인임을 고려하여 제안되었으며, 조사대상인 대표 영화관 3사 중 Megabox를 중점으로 아이덴티티를 접목하여 디자인 되었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신속한 쓰레기 분리배출을 도와 쾌적한 환경제공 및 영화관 내 경제적, 시간적 측면에서의 비효율성을 줄이고자 한다.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imchi Menus for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 김성혜;김미정;김현주;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48-1156
    • /
    • 2013
  • 초등학생의 김치섭취량 증가를 목적으로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먼저 부산광역시 소재 H 초등학교 학생의 김치 섭취 실태조사 및 초등학교 영양(교)사를(n=87) 대상으로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에 등록된 김치 메뉴의 학교 급식 활용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헌 및 실험조리에 근거한 초등학교급식용 김치 메뉴 7가지를 개발하였다. 각각의 메뉴를 학교 급식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를 통하여 메뉴를 평가하였다. 또한 선정된 메뉴의 표준레시피에 대한 영양(교)사의 급식 활용 의사를 알아보았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학년(2학년)과 고학년(5학년)의 급식 시 김치 섭취량은 각각 7.7 g 및 6.9 g으로 한국인을 위한 식사구성안에서 제시한 분량(40 g)의 19.3% 및 17.3%에 불과하였다. NEIS에 등록된 29종의 김치 메뉴에 대하여 설문 대상 학교의 75% 이상에서 연 7회 이상 활용한 메뉴는 단 하나도 없었으며, 김치찌개가 유일하게 절반 정도의 학교에서 제공되었다. 닭살김치튀김, 김치스테이크를 포함한 10가지 메뉴는 전체의 75%가 급식에 전혀 이용하지 않았으며, 밥, 죽, 볶음, 전, 튀김, 구이류는 전체 3/4의 학교에서 김치 메뉴로 활용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메뉴의 김치 사용량이 10~20 g(1인분)이면서 메뉴 재료의 김치 비율이 30%를 넘는 7가지 메뉴를 개발하였다. 1차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 결과 김치치즈크로켓과 김치소스두부덮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다음은 김치완자, 김치닭감자찜, 김치베이컨주먹밥, 김치채소우동볶음, 김치감자샐러드 및 김치계란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50%의 메뉴에 대하여 저학년 및 고학년(n=100) 대상 2차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 결과, 김치완자가 4.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김치닭감자찜 및 김치치즈크로켓도 4점 이상의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김치소스두부덮밥은 1차 조사와 달리 종합점수 3.8점 및 17.1%의 잔반을 보였다. 개발된 8종의 메뉴에 대한 표준레시피를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평가한 결과 김치치즈크로켓이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김치감자샐러드가 가장 낮았다.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개발은 초등학생의 김치 섭취량 향상 및 김치 기호도의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 일부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Contribution of Emotional Labor to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 허창구;이경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10-618
    • /
    • 2015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조리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적절한 대책 및 개입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4년 3월 3일부터 2014년 4월 25일까지 총 35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3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리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면행동과 내면행동,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의 전체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표면행동 2.38/5.00점, 내면행동 3.46/5.00점, 직무 소진 2.67/5.00점, 직무 열의 3.41/5.00점으로 나타났다. 표면행동 점수는 일반적 특성 가운데 조리사 자격증의 유무(P<0.001)와 이직 횟수(P<0.001), 연봉(P<0.001), 근무학교(P<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면행동 점수는 학력(P<0.001),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01), 고용형태(P<0.001), 연봉(P<0.001), 근무학교(P<0.01), 1일 급식 횟수(P<0.05)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직무 소진 점수는 학력(P<0.01),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5), 고용형태(P<0.001), 근무학교(P<0.001), 1일 급식 횟수(P<0.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무 열의 점수는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1), 고용형태(P<0.001), 근무학교(P<0.001), 1일 급식 횟수(P<0.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그들이 사용하는 감정노동의 두 가지 전략에 따라 매우 상이한 결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이들이 표면행동을 사용할수록 직무 소진이 높아졌으나 직무 열의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이들이 내면행동을 사용할수록 직무 열의가 높아졌으나 직무 소진은 변화하지 않았다. 특히 조리원의 감정노동은 표면행동이 내면행동에 비해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감정노동 상황에서 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변인은 표면행동으로 인한 직무 소진임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하지만 표면행동이 직무 열의를 낮추지는 않는다는 점과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지는 않았다는 점을 통해 표면행동 상황에서도 내면행동이 유발될 수 있으며, 내면행동의 증가로 직무 소진을 낮추지는 못하지만 직무 열의를 증가시킴으로써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하겠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먼저 이론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의 두 가지 전략, 즉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을 직무장면의 주요 결과변인인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감정노동 전략의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실제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자의 감정노동 행위가 부정적인 결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조리원을 대상으로 내면행동의 의미, 필요성, 결과에 대한 교육을 통해 긍정적 감정노동 전략을 학습시킴으로써 감정노동 종사자의 직무태도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을 수행할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표면행동이 직무 소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주기적인 감정노동 진단을 통해 낮은 내면행동과 높은 표면행동을 주로 사용하는 종업원의 경우 직무 소진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지니는데 먼저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연구가 지닌 공통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제한점을 본 연구 역시 지니고 있다. 즉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동일한 설문지에서 측정함으로써 변인의 영향 관계가 역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응답자의 응답환경을 통제하지 못했다. 즉 각 작업장 별로 동일한 시간과 환경 하에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그로 인한 오염요소가 존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위의 제한점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연구주제와 관련해서는 학교급식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단체급식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양사와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과 그로 인한 결과에 대한 비교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며, 감정노동 이외의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농업 기술 전파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mmunication of Agricultural Innovation)

  • 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1호
    • /
    • pp.121-136
    • /
    • 2000
  • This study reports on a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diffusion of agricultural innovation or extension service and the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t focuses on relev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and provides recommendation for improvement of the Korean system to insure success in important areas related to the diffusion of agricultural innovations. After a comparative study on diffusion of innovations it is clear that: in order to have a productive agriculture that makes effective and efficient use of natural resources and helps achieve sustainability goals, a mechanism that delivers knowledge to agricultural communities must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This mechanism is clearly a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that is cooperatively funded by federal,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nd that insures participation of constituent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riorities and evaluating achievements. The success of US agriculture, the most productive in the world, is to a large degree to the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difference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should be emphasized for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for agricultural innovation and rural development in Korea: 1) In order to insure that extension educators are high caliber professional individual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ystem that nationally recognizes these individuals as such, and that provides a professional development path. 2) The results of the decision of transfer of extension educators to local governments has not yielded positive outcomes, especially in terms of professional status. It is clearly demonstrable that valuable professionals are leaving the service, that local governments do not have the will and resources to implement a successful extension program. 3) Because of the critical importance of diffusing innovations to agricultural producers in order to insure and quality and steady food supply, it is of critical importance that these issues be addressed before the extension service is further deteriorated. Given the cement situation, it is clear that the extension service should become nationally supported again in cooperation with local and state governments and that extension professionals be given appropriate rank at the national level, commesurate with their peers in research and teaching. 4) The common current committee practice of lengthy reporting and short discussion needs to be changed to one that results in char, brief and substantive action oriented goals. Joint participation by researchers, extension educators and farmers should be encouraged in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ommunication for agricultural innovations. Roles and functions of committees for institutional cooperation, and or agricultural extension committees should be enlarged. 5) Extension educators should be encouraged to adopt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improve their diffusion of innovations methods. Agricultur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hould be encouraged to adopt farmer-first and or client-oriented approach in agricultural extension and diffusion of agricultural technologies. The number, complexity and rapid change of information in agricultural extension require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 based information and report system to support agricultural extension. 6) To facilitate and expand the further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for agricultural innovation and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communication programs in universities especially in colleges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7) To strengthening the sense of nati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for agricultural innovation and rural development among students in agricultu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hrough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by proactive recruitment. 8) To establish and reinforce a policy that insures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for agricultural innovation and regal development activities. 9) To improve further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for agricultural innovation and rural development in Korea, more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