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risk index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9초

곡류 및 곡류가공품 중 곰팡이독소 오염도 조사 연구 (Survey of Mycotoxin Contamination in Grains and Grain Products)

  • 양용식;이향희;김애경;류근영;최수연;서두리;서계원;조배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5-211
    • /
    • 2019
  • 2017년 10월부터 2018년 9월까지 광주광역시 시내 슈퍼, 대형마트 및 재래시장에서 구입한 율무, 수수, 기장, 조, 백미, 보리 등 곡류 75건과 볶은 율무, 보리, 옥수수 등 곡류가공품 52건 총 127건을 대상으로 곰팡이독소 함량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한 곰팡이독소는 아플라톡신($B_1$, $B_2$, $G_1$, $G_2$,), 푸모니신($B_1,\;B_2$), 오크라톡신 A, 제랄레논이었다. 127건의 시료 중 38건에서 곰팡이독소가 검출되어 29.9%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127건의 시료 중 35건에서 푸모니신($B_1+B_2$)은 $4.8{\sim}738.5{\mu}g/kg$, 제랄레논은 20건에서 $8.4{\sim}507.6{\mu}g/kg$ 범위에서 검출되었다. 검사한 곡류와 곡류 가공품 중에서 가장 오염도가 높은 곰팡이독소는 푸모니신과 제랄레논이었고 이들 곰팡이가 중복 검출된 검체는 17건으로 독소가 검출된 38건 중에서 44.7%를 차지하였다. 곰팡이독소 일일추정섭취량(EDI)과 잠정최대일일섭취허용량(PMTDI)으로부터 위해도를 산출하였다. 위해도는 0.0019~1.9526%로 나타나 이번에 조사한 곡류와 곡류가공품은 곰팡이독소 측면에서는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한국 성인에서 혈중 LDL 입자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인자 연구 (Plasma LDL Particle Sizes Affect the Blood Lipid Profile and Dietary Intakes among Korean Adults)

  • 서연경;김형숙;김정숙;김철호;최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8-6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sma LDL particle size and blood lipid profile, dietary factors and anthropometric values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The subjects were 173 adults aged 23 to 81 years, selected from the Outpatient Clinic and Cardiovascular Department of the Seoul Municipal Hospital. Dietary data were obtained using a 3-day food record and analyzed using Korean and US nutrient databas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LDL particle size : type A (large buoyant LDL, > 25.5 nm, n=96), type I (Intermediate LDL,$25.2\leq-\leq25.5$ nm, n=18), and type B (small dense LDL, < 25.2 nm, n=59) groups. The type B group had higher age,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WHR) than the type A and type I groups. Serum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Apo B, LDL/HDL cholesterol ratio and atherogenic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ype B group as compared to those in the other two groups. HDL cholesterol level and Apo A-I/Apo B ratio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ype B group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plasma LDL particle siz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riglyceride (r= -0.450), Apo B (r= -0.402) and HDL cholesterol (r= 0.418).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lasma LDL particle size and dietary intakes. This study showed that small dense LDL was an important biochemical risk factor that was associated with other risk factors.

제7기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식생활평가지수 준수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소 및 대사증후군 발생 관계 연구 (Benefits of adherence to the Korea Healthy Eating Index on the risk factors and incid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nalysis of the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최선아;정성석;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120-140
    • /
    • 2022
  • 본 연구는 제7기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KHEI 점수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소 및 대사증후군의 발생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중 20-59세의 성인으로 연구에 이용한 변수의 결측치가 없는 8,345명을 최종대상으로 분석하였다. KHEI의 총 평균은 100점 만점에 61.06점, 남성의 총 평균은 59.63점, 여성의 총 평균은 62.50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적으로 KHEI 총 평균이 높았다. KHEI의 3개 영역 중 '권고하는 식품 및 적정성 평가영역'과 '절제영역'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았다. KHEI 점수에 따른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KHEI 점수를 4분위수로 나누었으며 남녀 모두 연령대와 가구소득이 Q1그룹에서 Q4그룹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현재 흡연 비율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남성은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상태에서 Q1그룹에 비해 Q4그룹이 대학교 졸업이상 비율과 경제활동 참여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은 음주여부, 우울증여부, 외식횟수에서 Q4그룹이 Q1그룹보다 현재 음주, 우울증 유병자비율과 1일 1회이상 외식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식품안정성에서는 남녀 모두 Q1그룹이 Q3그룹보다 '식품안정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영양소 섭취 실태에서 남녀 모두 Q1 그룹의 에너지 필요 추정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C, 칼슘, 비타민 B1, 비타민 B2, 니아신은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식이섬유소는 충분 섭취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남성의 공복혈당은 Q3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BMI는 Q4그룹이 Q2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수축기 혈압은 Q3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총콜레스테롤은 Q4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서 남성의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은 Q1그룹이 Q4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고혈당 유병률은 Q3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고혈압 유병률은 Q3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대사증후군은 Q2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KHEI 점수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결과, 남녀 모두 KHEI 총점수가 높을수록, 20-29세가 50-59세에 비해 대사증후군 위험요소 및 대사증후군의 발생위험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교육수준, 소득수준, 흡연, 음주, 우울증 여부는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교육수준에서 남성은 저HDL콜레스테롤혈증, 고혈당의 발생위험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여성은 우울증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고중성지방혈증은 1.81배, 고혈당은 1.90배, 대사증후군은 2.50배로 발생위험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남녀 모두 소득수준이 '하'일 때 '상'에 비해 고중성지방혈증, 대사증후군의 발생위험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여성은 복부비만, 고혈당, 고혈압을 남성은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발생위험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Vitamin D deficiency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s aged ${\geq}50$ years: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Park, Sun-Min;Lee, Byung-K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2호
    • /
    • pp.162-168
    • /
    • 2012
  • Vitamin D deficiency is a risk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s. We examined whether vitamin D deficiency altered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in older Koreans. Cross-sectional analysis of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2008-2009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levels and the prevalence of CVD in a representative population-based sample of 5,559 men and women aged ${\geq}50$ years. CVD was defined as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or stroke. The prevalence of CVD (7.0%) in the older Korean population was lower than that in the older US population, although average serum 25(OH)D levels were much lower in the Korean population. Additionally, serum 25(OH)D level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CVD and non-CVD groups. However, subjects in the lowest category (< 25 nmol/l) of serum 25(OH)D level had the greatest prevalence of CVD, about two-fold higher than subjects in the highest category (> 75 nmol/l),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body mass index, education level, residence location, and region. The prevalence of other risk factors for CVD, including higher waist circumference, fasting glucose, low-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and lower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levels, was also higher among subjects in the lowest category than among those in the highest category. In conclusion, low serum 25(OH)D may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VD in older Koreans.

Association of energy intake with handgrip strength in Korean adul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So Young Bu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6호
    • /
    • pp.684-698
    • /
    • 2022
  • Purpose: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keletal muscle, muscle strength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The effect of nutrient intake on the prediction of skeletal muscle mass and strength or its suggested correlation with metabolic diseases has been primarily reported in healthy individuals.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association between energy intake and handgrip strength (HGS) in individuals with NAFLD.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16-2018. Data from 12,469 participants were extracted and 1,293 men and 1,401 women aged 20 years and old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of patients with NAFLD. The presence of NAFLD was determined using the hepatic steatosis index. To estimate relative skeletal muscle strength, HGS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dynamometer and calculated by adjusting the body mass index of the dominant arm. Study subjects in the NAFLD and non-NAFLD groups were separately categorized according to quartiles of the calculated HGS. Results: We found that individuals with low (EQ1) energy intake had lower odds of HGS compared to subjects with high (EQ4) energy intake, irrespective of their NAFLD status (p < 0.0001). However, the HGS did not differ based on the level of protein or fat intake ratio. Additionally, the effect of energy intake on HGS was more pronounced in men than in women. Conclusion: Energy intake wa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weak HGS in men with NAFLD. The results indicate that energy intake may be a key factor in nutrition care for NAFLD patients with low muscle function.

Cheese consumption in relation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Iranian adults- IHHP Study

  • Sadeghi, Masoumeh;Khosravi-Boroujeni, Hossein;Sarrafzadegan, Nizal;Asgary, Sedigheh;Roohafza, HamidReza;Gharipour, Mojgan;Sajjadi, Firouzeh;Khalesi, Saman;Rafieian-kopae, Mahmoud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3호
    • /
    • pp.336-341
    • /
    • 2014
  • BACKGROUND/OBJECTIVE: It is expected that dairy products such as cheeses, which are the main source of cholesterol and saturated fat,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r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however, the results of different studies are inconsist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cheese consump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n Iranian adult population. SUBJECTS/METHODS: Information from the Isfahan Healthy Heart Program (IHHP) was used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with a total of 1,752 participants (782 men and 970 women). Weight, he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 measurement, as well as fasting blood samples were gathered and biochemical assessments were done. To evaluate the dietary intakes of participants a validat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onsists of 49 items, was completed by expert technicians. Consumption of cheese was classified as less than 7 times per week and 7-14 times per week. RESULTS: Higher consumption of cheese was associated with higher C-Reactive Protein (CRP), apolipoprotein A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evel but not with fasting blood sugar (FBS),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triglyceride (TG) and apolipoprotein B. Higher consumption of chees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liquid and solid oil, grain, pulses, fruit, vegetable, meat and dair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Global Dietary Index. After control for other potential confounders the association between cheese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OR: 0.81; 96%CI: 0.71-0.94), low HDL-C level (OR: 0.87; 96%CI: 0.79-0.96) and dyslipidemia (OR: 0.88; 96%CI: 0.79-0.98) became negative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found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cheese intak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however,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present results and to illustrate its mechanisms.

0.5% 소금물에 대한 역치와 위암발생의 위험도 (The Threshold of 0.5% Salt-water Taste and Risk of Stomach Cancer)

  • 오희철;이강희;이상욱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93-302
    • /
    • 2000
  • 본 연구는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설계를 통하여 0.5% 소금물에 대한 역치와 위암발생 위험의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강화 코호트와 강화 암등록사업을 통하여 얻은 위암 환자군 90명, 지역사회대조군 14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군간에 건강관련 변수들의 분포에 별 차이가 없었다. 다만 '주관적 건강수준'과 '동년배에 비교한 주관적 건강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Cox외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주관적 건강수준' 흡연, BMI 등 혼란변수를 통제하고 추정한 '0.5% 소금물을 싱겁다'고 느낀 군의 '그렇지 않다'고 느낀 군에 비한 위암의 상대위험도는 0.7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표4).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소금섭취량 측정수준의 상향조정은 물론, 매운 음식 섭취의 감안과 이 두변수의 교호작용등을 고려하되 환자 본인에게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병원내에서 수행하는 환자-대조군 연구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PDF

Do mother's interests in weight control influence preschoolers' obesity and weight related concerns?

  • Ha, Ae-Wh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4호
    • /
    • pp.321-32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interest in weight control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preschooler's obesity and weight related concern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470 parents' self-reports. To score interests in weight control, mothers rated each of 6 items on a five-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disagree (1) to agree (5). The perceptions of mothers' weights and their children's weights, mothers' Body Mass Index (BMI), preschoolers' Weight-Length Index (WLI) (%), and weight-related concerns were determined. The mothers' BM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terest scores of weight control in mothers (r=0.632, p<0.001) while their children's obesity was weakly correlated with the mothers' interest scores (r=0.133, p=0.025). Mothers with a high interest of weight control reported higher percentages of family history of obesity than mothers with lower interests (63.2% vs. 36.8%, p<0.001). Two-thirds of the mothers (65.4%) were accurate in their perceptions about their weights. Similarly, 63.7% of mothers knew exactly their children's weight-statuses. Compared with mothers with low interest in weight controls, mothers with high interest in weight control had lower correct-perceptions about their weights (p<0.05) but higher correct-perceptions about their children's weights. More than two-thirds of mothers (85%) reported not worrying about their children's obesity in the future. Only 14.3% of the moth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weight statuses. Three-fourths of mothers preferred exercise as an effective weight-control method for their children, 20% preferred diet therapy and 5.5% preferred behavior modification. More girls were overweight / obese, than boys (overweight: 16.1% (girl) vs. 12.8% (boy), obese: 5.4% (girl) vs. 4.5% (boy)). About 40% of overweight girls' mothers had low interests in their weight controls with low correct-perceptions in their children's weights, which suggests possible elevated risk of obesity, especially in girls, in the future.

미계측 유역에서의 확률강우에 대한 돌발홍수지수 산정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Index by the Probable Rainfall Data for Ungauged Catchments)

  • 김응석;최현일;지홍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81-88
    • /
    • 2010
  • 최근 들어 기상 이변에 따라 단시간 동안에 특정 소유역에 집중하는 호우 또는 초과우량에 의한 국지성 돌발홍수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이로 인한 인명과 재산의 상당한 위험과 손실은 전 세계적인 것으로서 우리나라도 증가일로에 있다. 돌발홍수는 일반적으로 급경사 소유역에서 집중적인 강우에 의해 발생하여 빠른 유출과 토석류를 동반하기 때문에, 홍수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사전 홍수예보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급격히 빠른 홍수의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유역의 확률강우량으로부터 돌발홍수지수(flash flood index, FFI)를 산정하여 돌발홍수의 심각성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미계측 유역하천에서의 지역 홍수예 경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대상유역에 대하여 상대적인 돌발홍수심도를 제시할 수 있는 FFI-D-F(돌발홍수지수-지속시간-빈도) 관계곡선을 개발하였다. 또한 FFI-D-F 관계곡선은 현존 및 계획 방재시설물의 돌발홍수 대응능력 및 잔여홍수위험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0년~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성인의 나트륨 섭취와 비만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sodium consumption with obesity in Korean adults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4)

  • 천세영;왕혜원;이화정;황경미;윤혜성;강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64-73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적으로 시행된 대규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량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5그룹 (2,000 mg 미만, 2,000 mg 이상~4,000 mg 미만, 4,000 mg 이상~6,000 mg 미만, 6,000 mg 이상~8,000 mg 미만, 8,000 mg 이상)으로 분류하여 비만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일반적인 특징에서 신장과 체중, 체질량지수(BMI), 총 에너지섭취량은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확인되었고, 질병관련 변수에서 비만,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유병률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교육수준 (p < 0.001), 흡연여부 (p < 0.001), 음주여부 (p < 0.001)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나트륨 섭취량에 따른 신체계측치 및 건강관련 습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신장, 체중, BMI, 총에너지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남성과 여성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은 나트륨 섭취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남성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량에 따른 교육수준, 걷기실천율, 흡연여부, 음주여부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이 비만 유병에 미치는 영향을 교란변수 보정 전후로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는 나트륨섭취량이 증가할수록 2,000 mg 미만 섭취자 대비 비만의 오즈비가 증가하였으며, 남성의 경우 4,000 mg 이상 섭취자부터 유의한 OR값을 보였다. 성별, 나이, 연도, 에너지밀도, 교육수준, 흡연여부, 음주여부, 만성질환 유병여부, 신체활동을 보정하였을 때, 4,000~6,000 mg 섭취그룹 및 8,000 mg 이상 섭취그룹이 2,000 mg 미만 섭취자보다 비만 유병위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은 8,000 mg 이상 섭취그룹에서, 여성은 4,000~6,000 mg 섭취자 그룹에서 각각 비만의 유의한 오즈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