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preference of the elderly in institu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7초

시설노인의 식생활태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Food Habits of the Elderly in Institution)

  • 조경자;한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56-76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ood habits of four institution(public boarding home, public mursing home, private boarding home, meal service in welfare center) in Pusa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19 of were more than 65 years in the above institutions. Chi-square test was the main data analysis method. More than a quarter of the respondents(27%) showed fairly good level of activity, while a half of them(52.9%) answered the middle level. More than 80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ir food attitude was "Good". There were more elderly women than elderly men among the four institutions. Although the four institutions have served snacks on the regular basis, they did not provide the residents with nutritious food. Most of the residents want to have snacks between meals, but they did not perfer candy. All the subjects didn't point out any particular problem of institution. They were accustomed with their old food served by their institution. As food perferences, almost all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cooked rice and cooked rice with cereals. Only the residents of private boaring home liked cooked rice with red bean. In case of soup, all of residents liked any kind of soup. The most preferred most menu was beef. But only residents of private boarding home did not like pork. All residents like any all kind of kimchi except kimchi made by radish. In preference of cooking method of a side dish, seasoned food and vegetables were the most favorable menu by the respondents. Compared to the private home, the institutions give residents effective plan to prepare meals. Even though this study tried to find differences in attitudes of dietary life among the institutions, it could not find any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m. Korean elders in the institutions seem to have no proper that they do not have any proper sense of evaluating their dietary life.

  • PDF

Knowledge, Attitudes, and Intention of Students Majoring fin Food and Nutrition on Working with the Elderly

  • Cha, Myeong-Hwa;Park, Jyung-Rew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89-396
    • /
    • 2004
  • With the increase of elderly people, educators have begun designing experiences to prepare students to work with elderly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for the elderly and their intentions to provid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knowledge level of the students was in a medium range, and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s using Pearson correlation. The knowledg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ross gender and academic level when compared using t-test and ANOVA, but knowledge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residential experiences with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p < 0.05). Students had neutral attitudes toward working with elderly employees and working for elderly. Students had positive intentions to work with elderly employees, seek employment in an organization for elderly clients/customers, and seek opportunities for positive social interaction with the elderly. However, students do not have positive work preference with elderly employee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knowledge was not a predictor of intentions to provide services to the elderly. However, attitudes toward working with elderly employees, attitudes toward elderly, residential experiences with elderly > 65 years have been predicted the intentions to work with elderly employees. Attitudes working with elderly employees and attitudes toward elderly influenced the intentions to work in the organizations to provide services to elderly. This study can be identified the need for additional didactic preparation and experiences to prepare students to work with elder aging population.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식습관과 정신건강 상태에 관한 실태조사 (The study of food habit and degree of depression in nursing home and privite home living elderly)

  • 한명주;구성자;이영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75-486
    • /
    • 1998
  • 인천과 서울지역의 노인들 151명을 대상으로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으로 나누어 실시한 조사대상자의 식습관과 건강상태,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도와 기호도 그리고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정신건강상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 사항에서 평균 연령은 시설노인 남자 77.8세, 여자 78.5이고 재가노인은 남자 73.7, 여자 78.0로 시설노인이 높게 나타났다. 평균 체중과 신장은 시설노인 남, 여가 각각59.3kg, 49.2kg이며 재가노인 남여는 각각 61.2kg 53.6kg이며, 신장은 시설노인 남자가 161.9cm, 여자가 145.9cm, 재가노인은 남자가 168.0cm 여자가 150.5cm정도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학력은 무학이 절반을 차지하여 대부분의 노인들의 학력정도가 남으며, 시설보다 재가의 학력수준이 높았다. 2) 식습관에 관한 조사에서는 대부분이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며, 식사첫수는 하루 세끼를 하고 식사시간은 대체로 일정한 시간에 하며 외식횟수에 대해서는 재가노인의 경우 주 1-2회정도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에 관한 전반적인 조사에서 대부분의 노인들이 바람직한 식생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조사대상자의 건강상태에서 본인의 건장상태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시설노인이 61.5%, 재가노인이 24.2%로 유의적 차이(p<0.001)를 보임에 따라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현재 앓고 있는 질병의 여부에서는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조사되었으며 질병의 종류로는 당뇨병, 심장질환, 고혈압, 관절염등으로 나타났다. 최근 몸무게의 변화 여부에서는 시설노인의 48.1% 정도가 체중이 준 반면, 재가 노인은 변화가 없거나 늘어난 경우가 70%정도로 유의성이 있는 것(p<0.05)으로 나타났다. 5) 운동 횟수에서는 시설 노인의 65.4%가 운동을 하지 않으며, 남녀의 비교시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 각각 33.9%, 66.3%로 유의성(p<0.05)이 나타나 남자가 여자보다 운동 횟수가 많았다. 걷는 정도에서 시설노인의 63.5%가 거의 못 걸으며 남자와 여자 사이에서도 유의성(p<0.001)이 나타났다. 걸을 수 있는 정도와 계단 오르기에 느끼는 불편 정도를 조사해본 결과 시설보다 재가의 경우가 일반적으로 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6) 흡연에 관해서는 시설노인의 대부분인 90.4%가 흡연을 하지 않았으며, 재가의 경우 하루 1/2갑 이하, 하루 1/2갑-1갑의 경우가 각각 22.2%, 17.2%로 유의성(p<0.05)이 나타났고, 남녀사이에서도 유의성 (p<0.001)이 나타났다. 7)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조사에서 현재 비타민제나 영양제를 복용하지 않는 사람이 더 많으며,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비교시에는 시 설과 재가가 각각 76.9%, 60.6%로 유의성(p<0.0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노인이 건강식품을 구입하지 않았다.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 약이나 건강식품과 같은 먹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노인들의 일반식품에 대한 기호도를 보면, 육류를 선호하며, 특히 쇠고기에 대핀 선호도가 높은 편이었다. 과거의 채식습관으로 인해 채소, 해조류, 김치 과일등의 선호도는 높게 나타났고, 밥의 선호도와 국수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유지부분에는 참기름, 들기름, 대두유의 선호도는 높았지만, 버터, 마가린등의 유지는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노인들의 선호하는 맛은 대부분 단맛, 매운맛, 짠맛, 신맛 순서였다. 선호하는 음식 조리법은 찌개, 국, 무침을 선호하였다. 시설노인에 있어서 볶음의 선호도, 남자의 점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9) 간식의 경우는 1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으로 주로 섭취하는 식품으로는 과일, 우유, 유산균음료, 떡, 과자, 건강음료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과일을 간식으로 섭취하는 경우는 시설보다 재가의 경우가 더 높았다. 노인들이 선호하는 음료를 보면 커피 전통음료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노인들이 좋아하는 전통음료는 식혜로 조사되었다. 10) 노인들의 학력, 용돈, 주거형태에 따른 식습관과 정신건강의 차이를 보면 혼자서 사는 경우가 가장 낮은 식습관을 나타내었고, 학력에 따른 식습관에서는 고졸이 무학 국졸 중졸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용돈에 따른 식습관 차이에서는 더 많은 용돈을 사용하는 사람이 더 나은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전체적으로 약간 우울한 경향을 나타냈는데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우울의 정도가 심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학력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를 보면 학력에 따른 영향은 없으며, 용돈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 용돈이 적은 경우가 많은 경우보다 우울한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