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exchange lis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공동주택의 개인정보보호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Apartment)

  • 한충희;박순태;이상준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279-1292
    • /
    • 2018
  • 아파트와 오피스텔은 이미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거주하는 가장 중요한 주거공간이다. 의식주 중 가장 기본적인 주거를 아파트와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이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동주택에 입주하려면 다양한 개인정보를 의무적으로 공동주택의 관리자들에게 제공해야만 한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관리자들에게는 대규모의 개인정보파일이 만들어지고 있고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공동주택에서 개인정보유출이 발생된다면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아파트와 오피스텔에 입주할 때 작성해야 하는 '입주자명부'를 수집 조사하여 개인정보 수집과정에서의 법적 준거성을 검토하고 수집항목 최소화, 동의방식 개선 등 다양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아태지역 식품안전관리 협력과 역량강화를 위한 APEC의 활동 (The Activities of APEC to Reinforce the Cooperation and the Competence of Food Safety Management in Asia Pacific Region)

  • 이꽃임;황명실;윤혜정;이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6-181
    • /
    • 2012
  • 지속적인 식품안전 사고와 확대된 국제교역은 국제기구들로 하여금 식품안전 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법 규제, 조치들, 협력 네트워크, 교육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었고, 특히 나라 간 식품안전 기술조화 및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하고 있는 현실이다. APEC 또한 2007년 식품안전협력포럼(FSCF)를 신설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식품안전 향상을 위해 다양한 각도로 노력을 하고 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35개의 activity들이 진행되었고 APEC 프로젝트 절차에 따라 추가로 20여개가 준비 중이다. FSCF에서 수행되는 activity들은 생산에서 소비까지 식품안전 관리에 있어서 국제 최고의 기준과 조치들을 사용함으로 인해 공급사슬 내 에서의 이해당사자들의 능력을 키워 무역을 증진시키고 공중 보건을 지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목적을 완성하기 위해서 APEC 지역 내 식품안전 정부기관들, 산업체, 학계, 국제기구 등 전문가들 간의 다자간 협력 필요성이 요구되어 교육훈련기관네트워크(PTIN)가 차후에 만들어졌다. 이로 인해 식품 안전과 관련한 과학적 기술적 정보를 교류하고 안전관리 교육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식품안전 분야에서의 국제적인 공조는 필수적이다. 이에 우리나라가 APEC FSCF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아태지역 회원국들의 식품안전기술 향상에 기여할 뿐 아니라 국내 교육지원 프로그램과의 연계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여대생 및 젊은 여성층을 위한 영양교육 웹사이트 개발 (Development of a Website-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Young Women)

  • 김경원;강현주;김경아;김세화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657-667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website for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and education for college women and young women. The website focuses on two topics ; general nutrition and desirable weight control. This program is located at http : // www.ezydiet.co.kr. This program is composed of 5 major sections. The first two sections were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 one for general nutrition, and the other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weight control. The first section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young adult women's diet, nutrition standards, such as the RDA or Korean Food Pyramid, drinking and smoking. The second section coveres information regarding desirable control, foods with high or low calories, eating disorders and popularly used dieting methods. The third section is for simple nutrition assessment, consisting of assessment of ideal body weight and obesity, energy requirements, and eating habits. The fourth section was designed to introduce and help users to apply behavioral modification techniques, such as monitoring, goal setting, stimulus control and reinforcement. The final section was designed for meal planning, by introducing a food exchange list and menu examples for one week.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eb-based program are as follows ; 1) provide nutrition information systematically, 2) involve sections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user, 3) include food pictures to help understanding of nutrition information, 4) include management modules for some sections to revise or update the information. One-hundred and t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this website. The evaluation results were favorable. About 90% of subjects rated that this program covers major topics 'well ' or 'very well', and that it was 'easy'to 'very easy'to understand the contents on website. Two-thirds of subjects rated quite positively on questions regarding attractiveness, overall quality and technical quality of website. In addition, about three-fourths of subjects answered that this website was helpful in increasing nutrition knowledge and in applying nutrition information into daily life.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sing a website as a means of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and education for young adult women.

  • PDF

당뇨병 환자의 체중분포별 식사요법 실행 및 자료의 활용 실태 (A Study on Using of Materials and Compliance of Diet Therapy by Distribution of Body Weight in Diabetic Patients)

  • 한지숙;정지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33-541
    • /
    • 2004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들의 체중분포별 식사요법 이행 및 자료의 활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 해 부산 지역에 있는 보건소 및 종합병원을 방문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체중분포는 BMI법에 의해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으로 나누었으며 저체중군이 18.5%, 정상체중군이 51.5%, 과체중군이 16.9%, 비만군이 13.1%이었다. 유병기간은 59.2%가5년 미만이었고, 당뇨 관리 기간중 체중이 감소한 환자가 62.3%, 당뇨병으로 입원한 경험이 있는 환자는 35.4%, 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38.5%를 차지했다. 체중분포별로 식사요법 지식 정도를 살펴 본 결과 각 항목의 총점에서 비만군 및 과체중군이 낮았으며 특히 하루 열량 필요량과 식품교환표에 관한 항목의 지식정도가 낮았다. 식사요법 실천 정도 역시 비만군 및 과체중군이 낮았으며 특히 외식시 실천정도가 가장 낮아서 외식시 식사요법 실천 방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였다. 당뇨병 환자들의 대부분은 식사요법 자료를 전문인을 통해 얻었고 식사요법이 중요하다고 인식은 하고 있었으나, 실행하는데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는 환자들에게 식사요법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실천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식사요법 자료의 활용은 저 체중군이 50.0%, 정상체중군이 41.8%, 과체중군이 22.7%, 비만군이 35.3%이었으며, 식품교환표를 이용하여 식사요법을 실천하는 환자는 더욱 적었다. 식사요법 자료에서 당뇨병 환자들이 이해하기 힘든 내용은 식품교환표, 실제 섭취할 식품의 양, 끼니별 교환단위수 배분, 1일 총 열량 계산법 등이었으며, 가장 필요로 하는 내용은 식단작성방법, 식품 선택시 유의사항, 외식시 메뉴 선택방법 등이었다. 이처럼 당뇨병 환자들은 식사요법 지식이나 실천정도, 자료의 활용실태, 필요로 하는 내용 등이 체중분포에 따라 각기 달랐기에, 앞으로 당뇨병 프로그램을 만들 때 이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내용 등을 충분히 고려한 후 당뇨병 환자들의 체중분포별로 쉽고 체계적인 교육자료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혈액투석 환자 대상 영양교육과 상담이 짠맛 미각, 영양지식 및 식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on the Salty Taste Assessment,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f Hemodialysis Patients)

  • 이영미;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2-41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on the salty taste assessment,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f 21 hemodialysis patients. Five times of the nutrition education and three times of nutrition counseling were performed for a period of 5 months. Bi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creatinine was significantly high (p < 0.001), blood urea nitrogen and serum albumin were significantly low (p < 0.05, p < 0.01) and Na, K, Cl, K, P and uric aci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istribution rate of unsalty taste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 and the distribution rate of salty taste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low after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p < 0.001). Nutrition knowledge significantly improved following 5th month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 < 0.01). Particularly, the scores for questions related to sodium were improved. The dietary attitude was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the counseling period (p < 0.05). There were improvements in responses to 'use food exchange list on diet' and 'habitually add salt or soy sauce before the meal'. According to these results, salty taste assessment,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hemodialysis diet therapy practices of hemodialysis patient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re was a need for low-salt diet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to help them recognize the taste of low-salt foods and strive towards a preference for less salty tasting foods and the consumption of a low-salt di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