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ate deficiency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paternal folate deficiency on placental folate content and folate receptor ${\alpha}$ expression in rats

  • Kim, Hye-Won;Choi, Yun-Jung;Kim, Ki-Nam;Tamura, Tsunenobu;Chang, Nam-S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2호
    • /
    • pp.112-116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ternal folate status on folate content and expression of the folate transporter folate receptor ${\alpha}$ ($FR{\alpha}$) in rat placental tissues. Rats were mated after males were fed a diet containing 0 mg of folic acid/kg of diet (paternal folate-deficient, PD) or 8 mg folic acid/kg of diet (paternal folate-supplemented, PS) for 4 weeks. At 20 days of gestation, the litter size, placental weight, and fetal weight were measured, and placental folate content (n=8/group) and expression of $FR{\alpha}$ (n=10/group) were analyzed by microbiological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bserved in litter size or fetal weight, but significant reduction (10%) in the weight of the placenta was observed in the PD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PS group. In the PD group, placental folate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by 35%), whereas $FR{\alpha}$ expression was higher (by 130%) compared to the PS group. Our results suggest that paternal folate status plays a critical role in regulating placental folate metabolism and transport.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상태와 동 영향인자 (Maternal Folate Statu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Early Pregnancy)

  • 이정아;이종임;임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31-338
    • /
    • 2004
  •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은 태아의 신경관 손상을 예방하는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엽산 필요량이 증가하는 임신후기를 대비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에 있는 151명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식사를 통해 얼마의 엽산을 섭취하는지를 조사하고,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여 엽산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이들의 엽산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조사당시 임신기간은 9.1$\pm$2.3주이었으며, 초산부가 46%이었고 나머지는 경산부이었다. 에너지 및 엽산 섭취량은 각각 1559$\pm$589 ㎉/day 및 230.8$\pm$145.2 $\mu$g/day로 각 권장량의 72.5%및 46.2%로 낮았다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는 각각 5.5$\pm$1.9 ng/mL 및 266.6$\pm$75.0 ng/mL으로, 연구 대상자의 7.8%가 혈청 엽산 수준이 3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 해당하였고 60.3%는 경계역(3∼5.9 ng/mL)에 속하였으며, 적혈구 엽산 농도가 l57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는 4.3%가 해 당하였다. 그러나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정상범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대상자의 엽산영양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고 판정되었다. 혈청 엽산 농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유의한 인자는 건강상태점 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연령 (-), 임신기간(-) 및 엽산 섭취량(+) 순으로 그 영향력이 높았고, 적혈구 엽산 농도의 영향인자는 교육수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 신장(+),연령(-)및 에너지 섭취량(+)이었고,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영향인자는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 신장(-), 경제수준(+),혈청 엽산 농도(-)와 임신전 체중(+)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장이나 적혈구의 엽산 농도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지 않고도, 임신초기에 있는 모체의 엽산영양상태를 개략적으로 판정하는데 있어 주관적으로 평가한 불량한 건강상태, 높은 교육수준 또는 경제수준, 지난번 출산에서 작은 체위의 영아를 출산한 경력, 고연령 또는 엽산이나 에너지섭취량 부족을 위험 인자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임신기간이 진행되었을수록 엽산영양상태가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도 나타내준다. 앞으로 임신초기 임신부의 엽산영양상태를 어떤 위험인자를 몇 가지나 가졌느냐에 따라 평가하는 연구결과가 나와야 이들 위험 인자의 실용성 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선 이들 위험 인자를 많이 지닌 임신부라면 임신초기부터 엽산 섭취량을 늘리거나 엽산보충제 섭취를 일찍 시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엽산영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염산의 항비타민제인 9-Methyl Folate가 흰쥐의 엽산대사에 미치는 영향 (9-Methyl Folate, an Antagonist of Folic Acid : Ist Effect on the Metabolism of Folic Acid in the Rat)

  • 민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337-343
    • /
    • 1991
  • 엽산의 항비타민제인 9-methyl folate가 흰 쥐의 엽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 암컷 쥐를 엽산 결핍식이군, 대조군, x-methyl folate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9-methyl folate는 실험동물에게 엽산 결핍증을 유발시키는 x-methyl folate의 성분 가운데 주된 항비타민제이며, 본 실험에서는 식이 1kg당 5g의 x-methyl folate를 첨가하였다. x-methyl folate를 실험동물에게 먹였을 때 히스티딘의 산화속도와 간장내의 엽산 농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며, $[^{3}H]folate$를 복강에 투여한 후 24시간 내에 간장에 보유되는 엽산의 양도 x-methyl folate 투여군에 있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이 실험 결과에서 9-methyl folate는 흰 쥐에 있어 엽산이 간으로 유입되어 보유되는 과정을 저해하므로써 간장 내의 엽산의 양을 저하시키며, 그 결과 히스티딘의 산화속도도 저하된 것으로 보인다.

  • PDF

어미 쥐의 엽산 영양상태가 자손 쥐의 수초기본단백질(Myelin Basic Protein)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ernal Folic Acid Nutritional Status on the Expression of Myelin Basic Protein in the Offspring)

  • 채은혜;김수정;이화영;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30-137
    • /
    • 2007
  • Myelin basic protein (MBP), a major structural protein of the myelin, is thought to be important for the maintenance of myeli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ternal folic acid nutritional status on the folate level and the synthesis of MBP in the offspring.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either folic acid sufficient (8 mg/kg diet) or deficient (0 mg/kg diet) diet from 2 wks prior to the mating throughout the entire pregnancy, lactation and weaning period. We examined plasma folate level by the radioimmunoassay and homocysteine level by HPLC, respectively. The MBP expression was measured by the western blot analysis. The maternal folic acid deficiency decreased plasma folate level with a concomitant increase in plasma homocysteine level in their offspring. The maternal folic acid deficiency decreased hepatic levels of SAM and SAM/SAH ratio with a concomitant increase in hepatic levels of SAH and the MBP expression of spinal cord in their offspring at 7 wks of 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ternal folic acid nutritional status affect plasma folate and homocysteine level in their offspring. Moreover, the maternal folic acid deficiency mi호t inhibit the MBP expression of the spinal cord and disrupt many other vital CNS reactions in their offspring.

Evaluation of Pasma Folate and Total Homocysteine in Korean Alcoholics

  • Hyesun Min;Kim, Chang-Su;Jungsook Seo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60-65
    • /
    • 1999
  • Chronic alcoholism often leads to folate deficiency. In recent years it has been reported that mild elevation of plasma homocysteine (Hc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ronic ethanol consumption on folate status and the relation between plasma folate and Hcy. A human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lasma folate, total Hcy, cysteine(Cys), total cholesterol and hemoglobin(Hb) concentrations in 44 Korean alcoholics(men aged 30 to 50yr) and 45 Korean non-alcoholic subjects(men aged 30 to 50 yr). In alcoholic subjects, 52.6% were folate deficient and 34.2% were marginally deficient, which suggested that most alcoholics were subnormal in folate status. Plasma total Hcy concentration of alcoholics was twice as high as in control subjects (p<0.001). We fou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lasma folate and plasma total Hcy(r=-0.271, p<0.05)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sma folate and plasma Cys(r=0.249, p<0.05) in total subjects. Hb concentrations in alcoholic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control subjec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between alcoholics and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ronic alcohol consumption may impair the disposal of Hcy by interfering with folate metabolism.

  • PDF

수유기간별 모유의 엽산 함량과 수유부의 엽산영양상태 (Folate Content of Human Milk During Extended Lactation and Folate Nutritional Status of Lactating Women in Korea)

  • 정다운;임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6호
    • /
    • pp.518-529
    • /
    • 2008
  • Lactating women have an increased need of folate in the breastfeeding period and, as a consequence, may be in risk of folate deficiency. Folate content of breast milk, furthermore, is important for infants to support exponential growth.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folate content of breast milk from Korean lactating women and their folate nutritional status. In this study,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folate status of Korean lactating women and the folate content of their breast milk during extended lactation. A total of 10 subjects who delivered full-term infants participated this study voluntarily. Dietary folate intakes were measured and blood and breast milk were collected at 1, 2, 3, and 6 months postpartum. The women who did not take folic acid supplements failed to meet the recommended intake(RI) of folate for lactating women during all the study periods but those who did met the RI. The unsupplemented women showed lower plasma folate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supplemented women and all the women were in suboptimal folate status determined by plasma folate concentration throughout the study periods. But the supplemented women showed lower prevalence of suboptimal folate status only at 3 or 6 months postpartum. Plasma folate concentrations of both groups decreased with the progression of lactation. Erythrocyte folate concentration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at of the unsupplemented reduced further as time progressed. Plasma homocysteine level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entrations of erythrocyte folate and plasma homocysteine were not changed throughout the study periods. Folate contents of their breast milk through the study period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nd it decreased as lactation progressed in both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olate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lactating women might be deteriorated with the progression of lactation without folic acid supplements.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high-dose folic acid on biomarkers of methylating reaction in vitamin $B_{12}$-deficient rats

  • Min, Hye-S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2호
    • /
    • pp.122-127
    • /
    • 2009
  • Folate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safe water-soluble vitamin for supplementation. However, we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to confirm the potential effects and safety of folate supplementation and the interaction with vitamin $B_{12}$ deficiency.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a greater methyl group supply could lead to compensation for vitamin $B_{12}$ deficiency. On this basi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igh-dose folic acid (FA) supplementation on biomarkers involved in the methionine cycle in vitamin $B_{12}$-deficient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fed diets containing either 0 or $100{\mu}g$ (daily dietary requirement) vitamin $B_{12}/kg$ diet with either 2 mg (daily dietary requirement) or 100 mg FA/kg diet for six weeks. Vitamin $B_{12}$-deficiency resulted in increased plasma homocysteine (p<0.01), which was normalized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high-dose FA (p<0.01). However, FA supplementation and vitamin $B_{12}$ deficiency did not alter hepatic and brain S-adenosylmethionine (SAM) and S-adenosylhomocysteine (SAH) concentrations and hepatic DNA methyl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upplementation of high-dose FA improved homocysteinemia in vitamin $B_{12}$-deficiency but did not change SAM and SAH, the main biomarkers of methylating reaction.

MTHFR Polymorphism and Folate Status of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 Choi, Jeong-Hwa;Kim, Hee-Ah;Lim, Hyeon-Sook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35-41
    • /
    • 2006
  • It should be concerned to the women with mutated genotype of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C677T or A1298C, since they need more folate than those with wild genotyp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folate status of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according to their MTHFR polymorpiysm. Dietary folate intakes, plasma and erythrocyte folate concentrations,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and urinary excretions of para-aminobenzoylglutamate (pABG) and para-acetoamidobenzoylglutamate (ApABG) of twenty-five subjects aged between 19 and 35 years old were determined Folate intakes seemed to be inadequate, being only three-quarters of the Korean RDA of folate. More than one-quarter of the subjects was exposed to folate deficiency risk as determined by erythrocyte folate concentration and almost one-quarter of the subjects showed hyperhomocysteinemia, although they had normal plasma folate concentrations. Urinary excretions of pABG and ApABG seemed to be low and ApABG constituted more than $85\%$ of total folate catabolit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etary folate intakes, plasma concentrations of folate and homocysteine, and urinary excretions of pABG and ApABG among the geneotypes of both C677T and A1298C. However, the subjects with 1298AC genotype had significantly lower erythrocyte folate concentration than those with 1298AA. Erythrocyte folate concentration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urinary excretions of pABG and ApABG.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utations of 677C$\rightarrow$T and 1298A$\rightarrow$C in the study were not associated with decreased plasma folate and raise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A1298C polymorphism night be, however, more influential on erythrocyte folate concentration than C677T polymorphism, and urinary excretions of folate catabolites, pABG and ApABG, might be reliable indexes of folate nutritional status like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엽산 결핍이 에탄올을 급여한 흰쥐의 체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late Defficiency on Plasma Cholesterol and Antioxidative System in Ethanol-fed Rats)

  • 배민정;양경미;민혜선;서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8호
    • /
    • pp.801-810
    • /
    • 2003
  • 본 연구는 만성적인 에탄올 섭취시 엽산 결핍이 체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Sprague-Dawley종 흰쥐에게 총 열량의 36%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함유한 액체식이를 4주간 급여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일 체중증가량과 사료효율은 알코올 급여군이 각각의 pair-fed군보다 낮았고 엽산 공급의 유무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엽산 결핍과 함께 에탄올을 급여시킨 ED군과 Pair-fed군인 PD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엽산과 함께 에탄올을 급여시킨 EF군이 pair-fed군인 PF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과 HDL/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전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내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엽산 결핍군인 PD와 ED군 모두 높았으며 엽산급여군에서는 에탄올을 급여한 EF군 pair-fed군인 PF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서 에탄올에 의한 지질과산화물 함량증가에 엽산 공급이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 마이크로솜 내 지질과산화물 함량 역시 혈장내 지질과산화물 함량과 동일한 경향으로 에탄올 급여로 증가된 지질과산화물 함량에 대하여 엽산이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ADH 활성화는 전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catalase 활성도는 엽산을 결핍시킨 PD와 ED군과 에탄올 급여와 함께 엽산을 공급한 EF군이 pair-fed군인 P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간 세포질에서 SOD 활성은 전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GSH-Px 활성은 에탄올 급여군이 각각의 pair-fed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에탄올과 함께 엽산을 공급한 EF군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GST 활성은 전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내 retinol 함량은 엽산의 공급 유무와 상관없이 에탄올 급여군인 ED와 EF가 각각의 pair-fed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간조직 내 retinol 함량은 엽산 결핍군에서는 에탄을 급여군인 ED군이 pair-fed군인 PD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엽산 공급군에서는 에탄올에 의한 retnol 함량 저하에 대하여 엽산이 보호효과를 보였다. 간조직 내 retinyl palmitate 함량 역시 엽산의 공급 유무와 상관없이 에탄올 급여군이 비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혈장내 비타민 E 함량은 엽산을 결핍시킨 군 중 에탄올 급여군인 ED군이 pair-fed군인 PD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비타민E 함량이 낮았으며 엽산을 공급시킨 군에서는 에탄올 급여군과 pair-fed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에탄올 급여시 혈장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엽산 섭취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지질과산화물과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 영양소의 변화에 대하여 엽산결핍이 에탄올 섭취에 의해 변화된 항산화계의 손상을 더욱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산과 비타민 $B_{12}$ 결핍에 의한 호모시스테인혈증 흰쥐의 조직내 비타민 지표간의 상관관계 분석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Biomarkers of Folate and Vitamin $B_{12}$ in Nutritional Homocysteinemia)

  • 민혜선;김미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23-433
    • /
    • 2009
  • 본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엽산결핍 또는 엽산결핍/비타민 $B_{12}$결핍/0.3% 호모시스틴 식이의 공급을 통해 각각 경미한 호모시스테인혈증과 중위의 호모시스테인혈증을 유도한 후, 혈장, 간 및 뇌 조직내 메티오닌 대사회로 biomarker와 엽산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영양성 호모시스테인혈증의 특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6 주령 Sprague-Dawley 숫컷 쥐에게 엽산이 충분한 식이 (FS), 엽산결핍식이 (FD), 또는 동일 식이에 호모시스틴을 첨가한 식이 (FSH and FDH), 엽산결핍/비타민 $B_{12}$ 결핍/호모시스틴 첨가 식이 (FDHCD)를 8주간 공급하였다. 1) FD와 FDH 식이군은 경미한 호모시스테인혈증을 (17.41 ${\pm}$ 1.94 nmol/mL) 나타냈으며, FDHCD 식이군은 중위의 호모시스테인혈증을 (44.13 ${\pm}$ 2.65 nmol/mL) 나타내어 엽산과 비타민 $B_{12}$결핍에 의한 영양성 호모시스테인혈증의 모델로 이용할 수 있었다. 2) FD, FDH, FDHCD 식이군의 간 (p < 0.001)과 뇌조직 (p < 0.01) 내 엽산 농도는 FS, FSH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FD, FDH, FDHCD 식이군의 간 및 뇌조직의 엽산농도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혈장 엽산 농도는 FDHCD 식이군 (126.5 ${\pm}$ 9.6 nmol/L)이 FD, FDH 식이군 (21.1 ${\pm}$ 1.4 nmol/L, 22.0 ${\pm}$ 2.2 nmol/L)(p < 0.001) 보다 약 6배 높았으며, 이는 비타민 $B_{12}$ 결핍에 의한"methyl-folate trap"으로 인해 엽산이 효율적으로 조직내 보유되지 못하고 혈류로 나와 소변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3) FD와 FDH 식이군의 간조직의 SAH 농도는 각각 대조군 보다 44% 및 50%씩 증가되었고 (p < 0.001), 간 SAM 농도는 각각 대조군 보다 72%, 71% 저하되었으며 (p < 0.001), 그 결과 두 군 모두 SAM/SAH 비율이 대조군 보다 약 80% 저하되었다 (p < 0.001). 한편 FDHCD 식 이군의 간 SAH 농도를 대조군과 비교할 때 대조군 보다 107% 증가되었고 (p < 0.001), SAM 농도는 대조군 보다 81% 저하되었으며 (p < 0.001), 그 결과 SAM/SAH 비율이 대조군 보다 약 90% 저하되어 매우 낮은 SAM/SAH 비율을 나타냈다 (p < 0.001). 뇌조직 SAM 농도는 엽산결핍, 비타민 $B_{12}$결핍 및 호모시스틴 급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을 보여 뇌조직내 SAM의 항상성을 나타냈으나, FDHCD 식이군의 뇌조직 SAH 농도는 대조군 보다 60% 증가되었으며 (p < 0.05), 그 결과 SAM/SAH 비율은 대조군 보다 약 28% 저하되었다 (p < 0.05). 따라서 중위의 호모시스테인혈증을 나타낸 실험군에서만 뇌조직의 SAH 농도가 증가되었다. 4) 영양결핍 (엽산 또는 비타민 $B_{12}$)에 의한 호모시스테인혈증의 특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혈장, 간 및 뇌 조직내 메티오닌 대사회로 biomarker와 엽산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혈장 호모시스테인은 간 엽산과 음의 상관관계 (r = -0.641, p < 0.01)을 보였으나, 뇌 엽산 또는 혈장 엽산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 대조적으로 FDHCD 식이군을 제외시킨 나머지 네개의 실험군 자료만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혈장 호모시스테인과 뇌 엽산 (r = -0.321, p < 0.05), 혈장 엽산 (r = -0.581, p < 0.01), 간 엽산 (r = -0.684, p < 0.01) 사이에 모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혈장 호모시스테인과 간조직의 SAH 및 SAM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FDHCD군을 제외시킨 나머지 네개의 실험군 자료만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뇌조직 SAH 농도들 제외한 모든 상관계수가 전체실험군 자료로 분석한 경우보다 높았다. 따라서 엽산결핍/비타민 $B_{12}$결핍으로 인한 호모시스테인혈증 (FDHCD)에서는 혈장 엽산이 엽산결핍군 (FD, FDH)보다 높으면서 동시에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식이 중 엽산만 결핍된 경우와 엽산결핍과 비타민 $B_{12}$ 결핍을 동반할 경우"methyl-folate trap"으로인해 혈장 엽산과 호모시스테인 농도 패턴에 차이가 있었으며, 메티오닌 대사회로의 biomarker 사이의 상관관계와 혈장 엽산, 뇌 엽산 및 뇌 SAH와 호모시스테인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엽산 결핍과 비타민 $B_{12}$ 결핍으로 인해 나타나는 뇌 SAH 농도의 증가는 메틸화를 저해시킴으로써 인지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