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istic similarit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현존식생 유형과 생태적 특성 (Vegetation Typ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Plantations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South Korea)

  • 오승환;김준수;조준희;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30-542
    • /
    • 2021
  •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본 단위 설정을 위하여 총 119개 조사구에서 수집한 식생 정보를 바탕으로 TWINSPAN과 DCA ordination 분석을 통하여 현존식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공간 배열 상태를 파악, 기술하였다. 현존식생 유형은 신갈나무-철쭉형, 신갈나무-조록싸리형, 층층나무-산뽕나무형, 신갈나무-까치박달형, 비목나무-찔레꽃형, 졸참나무-산초나무형, 졸참나무-조릿대형 등 총 7개 유형이 도출되었고 대개 위도, 해발고도, 성립 기간, 시업 이력, 주변 임분 특성, 교란 정도 등에 따른 종조성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잎갈나무림과 주변 잠재자연식생(신갈나무림와 졸참나무림)의 종구성적 유사성을 Jaccard 계수에 의해 비교한 결과, 식생유형 간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신갈나무림과는 평균 0.21, 졸참나무림과는 평균 0.32로 나타나 아직 전반적으로 종구성이 이질적인 경향이었다.

식물사회학적 식생자료의 종조성 균질성에 대하여 (On the Homotoneity of Species Composition in the Phytosociologically Synthesized Community Tables)

  • 김종원;엄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33-443
    • /
    • 2017
  • 식생자료의 종조성적 온전성(전형성과 대표성) 확보는 Z.-M. 학파의 정제된 식생자료(phytosociological $relev\acute{e}$)와 식물군락(plant community)을 이용하는 국가식생자원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주요 선행 과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단위식생으로 모둠화된 식생자료의 종조성 균질성에 대한 질적 양적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식생자료의 이질적 요소가 적용된 새로운 균질도, 현존균질도(actual homotoneity: $H_{act}$)와 최적균질도(optimal homotoneity: $H_{opt}$)를 제안하였다. 사례 식생형에서 식물상 변수들, 새로 개발한 균질도, 선행연구의 유사 균질도(Pfeiffer's homogeneity, basic homotoneity-coefficient, corrected homotoneity-coefficient, mean floristic similarity)와의 상관관계는 Spearman 순위 상관계수(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되었다. 현존균질도와 최적균질도는 각각 식생자료 간과 단위식생 간의 식물상 균질성 차이를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식생자료수로부터 가장 독립적인 균질도는 현존균질도였다. 오랜 교란 역사를 지닌 한반도의 현존식생 조건에서 최적균질도는 현존균질도에 대한 더욱 정교한 해석이 가능한 보완적 수단이 되었다. 현존균질도와 최적균질도는 국가 식생자원에 대한 일관성과 객관성을 포함하는 식생자료의 DB 구축을 위한 균질한 식생자료 선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팔공산 내학동일대의 산화적지의 이차식생과 천이 (The Secondary Vegeation and Sucession of the Forest Fire Area of Nae-Hak Dong, Mt. Palgong)

  • Cho, Young 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1호
    • /
    • pp.22-32
    • /
    • 1983
  • The paper is investigation of the secondary vegeation and succession at the forest fire area in Mt. Palgong.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1981 to Stempter, 1982. The floristic compositions were as follows: 50 families, 116 genera, 127 species, 15 varieties and 3 formae(145 kinds). Among them,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pine floor vegetation of the unburned area was 43 families, 80 genera, 88 species, 10 varieties and 1 forma(99 kinds), and that of the secondary vegetatiion after forest fire was 46 families, 106 genera, 120 species, 14 varieties and 3 formae(137 kinds). Index of similarity betwee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 was 0.77. The biological type succeeded in $H-D_1-R_5$type, and the erect form(s) was prevailed. Carex humilis var. nana,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lespedeza cyrtobotrya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 B_1; and; B_2$ area of the seventh year after forest fire. In the degree of succession,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dex, DS, H, and e of the $B_1$ area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B_2$ area. In the soil properties, it assumed that pH,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es of the burned area were nearly recovered to those of the unburned area.

  • PDF

삼나무 인공조림(人工造林) 임분(林分)의 식생(植生)에 관한 연구(研究) (The Study of Forest Vegetation in Cryptomeria japonica D. Don Plantations)

  • 이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42-50
    • /
    • 1985
  • 한국남부지역(韓國南部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삼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의 판정(判定) 및 시업방법(施業方法)의 개선(改善)에 필요(必要)한 기초(基礎)를 얻고자 삼나무 임분(林分)의 식생(植生)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調査地域) 및 임분(林分)의 환경조건(環境條件)은 일본추전현지역(日本秋田縣地域)에 비교(比較)하면 21~25년생(年生) 임분(林分)은 동등(同等)하였으나 51~58년생(年生) 임분(林分)은 불량(不良)한 생육상태(生育狀態)이었다. 2) 총출현종수(總出現種數)는 256종(種)이었고, 조성종수(組成種數)는 42~99종(種)으로 일본(日本)에서 보다 많은 편(便)이나 상한수(上限數)는 같았다. 3) 온대남부(温帶南部) 및 난대북부림대(暖帶北部林帶)에 속(屬)하며 표(表) 4 와 같이 I~IV 급(級)의 임상형(林床型)으로 구분(區分)하였다. 4) 최대종다양도(最大種多樣度)(H' max)와 우점도(優占度)(1-J')는 높았고 Simpson 종다양도(種多樣度)(${\lambda}$)와 균재도(均在度)(J')는 낮은 비교적(比較的) 균일(均一)한 식생(植生)이었다. 5) 유사율(類似率)(PS)은 평균(平均) 3.904 이하(以下)로 낮은 유사성(類似性) 즉 지구간(地區間)에는 특이성(特異性)이 있다. 6) Morista's 지표(指標)($I_M$)에 의(依)하면 8번 구(區)는 일반화(一般化)되어 있고 12번 구(區)는 특성화(特性化)되어 있다. 7) Sneath-Sokal의 근원계수(近遠係數)(I)에 의(依)하면 0.15 이하(以下)의 낮은 비유사계수(非類似係數) 즉 각구간(各區間)의 유사성(類似性)이 매우 높았다.

  • PDF

이앙답(移秧畓)에서 제초제(除草劑)의 혼합(混合), 조합처리(組合處理)가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ture and Systematic Application of Herbicides on Weed Control and Yield in Transplanted Rice)

  • 김제규;구연충;이종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0-30
    • /
    • 1982
  • 본(本) 시험(試驗)은 1981년(年)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답작포장(畓作圃場)에서 Indica${\times}$Japonica 원록교잡종(遠綠交雜種)인 태백(太白)벼(수원(水原) 287호(號))를 기계이앙(機械移秧)하여 제초제(除草劑)의 살초효과((殺草効果) 증대(增大)를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제초제종류(除草劑種類)에 따른 초종(草種)의 다양화(多樣化)와 초종구성(草種構成)의 유사성정도(類似性程度)를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여 제초제(除草劑)를 혼합(混合) 또는 조합처리(組合處理)하거나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를 만들 때 약제선택(藥劑選擇)에 필요(必要)한 정보(情報)를 얻고자 우점초종(優占草種)이 피, 올방개, 올챙고랭이이며 이들의 우점도(優占度)가 각각(各各) 89%, 5%, 3%였던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약해(藥害)는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가 단일제초제(單一除草劑)에 비(比)하여 더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2 단일제초제(單一除草劑)의 사용(使用)보다는 살초(殺草) spectrum이 서로 다른 두가지의 유효성분(有效成分)을 혼합(混合)한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또 벼 이앙(移秧) 전후(前後)에 제초제(除草劑)를 한번 사용(使用)하는 것보다는 이쾌전후(移快前後)와 생육중기(生育中期)에 제초제(除草劑)를 두번 조합처리(組合處理)하는 것이 제초효과면(除草効果面)에서 더 우수(優秀)하였다. 3.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에 의한 초종(草種)의 다양화(多樣化) 정도(程度)는 Simpson 지수(指數)가 높은 Butachlor(3.5G)/SL-49(7G), Butachlor(3.5G)/Pyrazolate(6G) 및 Perfluidone(5G)과 같은 제초제(除草劑)는 잡초군락(雜草群落) 단순화(單純化)시키는 경향(傾向)이며, Simpson 지수(指數)가 낮은 Perfluidone(5G) + Chloromethoxynil(7G), Butachlor(6G) fb Perfluidone(5G), 및 Butachlor(4G)/Naproanilide(6G)와 같은 약제(藥劑)는 초종(草種)을 다양화(多樣化)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4. 초종구성유사성계수(草種構成類似性係數)로 볼 때 제초효과(除草効果)를 가장 높일 수 있는 약제(藥劑)는 초종구성(草種構成)이 크게 달랐던 Perfluidone(5G)과 Chloromethoxynil(7G), Bifenox(7G) 및 Butachlor(6G)의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로 추정(推定)되며, Perfluidone(5G)은 타(他) 약제(藥劑)와의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가 대체(大體)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5. 제초효과(除草效果)가 우수(優秀)하고 벼 수량(收量)(현미중(玄米重))이 손 제초구(除草區)와 비슷하였던 처리(處理)는 Perfluidone(5G), Butachlor (3G)/Chloromethoxynil(6G), Perfluidone(5G) + Chloromethoxynil(7G), Butachlor(6G) fb Bentazon(40 E. C) 및 Butachlor(6G) fb Perfluidone(5G) 처리(處理)였다.

  • PDF

Floristic composition and species richness of soil seed bank in three abandoned rice paddies along a seral gradient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South Korea

  • Cho, Yong-Chan;Lee, Seon-Mi;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3호
    • /
    • pp.90-102
    • /
    • 2018
  • Background: We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ed bank and vegetation in abandoned rice padd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guide management of these sites. We investigated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pecies richness of the soil seed bank and ground vegetation in former paddies along three seral gradients (wet meadow, young forest, and mature forest)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Results: Seed bank samples contained 59 species, of which the dominant families were Cyperaceae, Gramineae, and Polygonaceae. Species richness and seedling density (59 taxa and 19,121 germinants from all samples) were high. Carex spp. (11, 921 germinants) were the dominant taxa. The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ed bank changed gradually as the land transitioned from wet meadow to mature forest. Sørensen's index of similarity between above- and below-ground vegetation was 29.3% for wet meadow, 10.8% for young forest, and 2.1% for mature forest. Germinant density also declined, with 10, 256 germinants for wet meadow, 6445 germinants for young forest, and 2420 germinants for mature forest. Conclusions: Changes in aboveground environment and life history traits such as amphicarpic plants, likely affect the composition of soil seed bank species. Abandoned paddy fields may be good sites for restoration of wetland forest and conservation of wetland habitat. Some intervention may be required to promote the recovery of a natural species assemblage.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 방법에 의한 가야산지구의 식물군집구조분석 (Analysi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Gayasan National Park by the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

  • 이경재;조재창;우종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8-41
    • /
    • 1989
  • 가야산 국립공원과 홍류동 및 치인지구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의 정량적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40개의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에서 최종적으로 8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고, 건조형군집은 소나무 및 잣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습윤형은 졸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습윤형은 다시 표고에 의해 구분할 수 있었으며 낮은 표고에서의 군집은 졸참나무가, 높은 표고에서의 군집은 신갈나무가 우점종이었다. DCA에 의한 ordination결과는 제1축에서 소나무가 우점종인 군집과 졸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가 우점종인 군집으로 분리되었고, TWINSPAN의 제1 division의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DCA의 제1축과 토양수분, 토양산도, 표고, 최대종다양도,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사도지수는 각군집간에 매우 낮은 값이었으며, 각 군집의 종다양성분석에서는 각 군집의 우점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개체수와 종수와의 관계는 개체수가 증가할 수록 종수는 감소하였으며, 개체수가 증가할 수록 종다양성지수는 감소하였다.

  • PDF

우리나라 남해안지역(南海岸地域)에 있어서 해송림(林)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y of the Pinus thunbergii Forest on the Southern Seacoast of Korea)

  • 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83-91
    • /
    • 1988
  • 우리나라 남해안(南海岸)의 각지역(各地域)에 분포(分布)되고 있는 해송림(林)의 적절(適切)한 조림방법(造林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한 기초적(基礎的) 자료(資料)를 얻고자 임내(林內)의 식생조성(植生組成)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상층목(上層木)의 해송에 대(對)한 평균밀도(平均密度), 평균(平均)거리, 평균지적(平均地積) 등(等)은 조사지간(調査地間)에 차이(差異)가 적게 보였다. 하층(下層)에 있어서 남해안(南海岸) 동부구(東部區)의 조사지(調査地)는 해송의 상대우점치(相對優占値)가 14-98%, 서부구(西部區)에서는 3-7%의 범위(範囲)로서 낮은 값을 보였다. 남해안(南海岸) 동부구(東部區)에서 출현(出現)된 종수(種數)는 26종(種), 서부구(西部區)에서는 37종(種)으로 서부구(西部區)의 조사지(調査地)가 많았다. 다양도지수(多樣度指數)도 남해안(南海岸) 서부구(西部區)의 조사지(調査地)가 동부구(東部區)의 조사지(調査地)보다 높았으며 최대다양도(最大多樣度), 균재도(均在度)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는 서부구내(西部區內)의 조사지간(調査地間)에서 높았으며 동부구내(東部區內)의 조사지간(調査地間)에서는 낮은 경향(傾向)이었고 서부구(西部區)와 동부구간(東部區間)에서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주문진(主文津) 인공(人工) 방파제(防波堤)에 서식(棲息)하는 해조상(海藻相) 및 주기성(週期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at Joomoonjin Sea Bank)

  • 김양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29-46
    • /
    • 1991
  • 강원도(江原道) 주문진(注文津) 방파제(防波堤)에 부착, 서식하는 해조류(海藻類)를 1989년 8월부터 1990년 7월까지 종조성(種造成) 및 계절적(季節的) 주기성(週期性)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 지역에서 채집(採集) 동정(同定)된 해조류(海藻類)는 총 70종으로 녹조류(綠藻類) 7종, 갈조류(褐藻類) 21종 및 홍조류(紅藻類) 42종이었다. 상관적(相觀的) 우점종(優占種)은 괭생이모자반, 미역, 다시마 및 도박류였으며, 이들 우점종(優占種)에 의하여 모자이크 식생류형(植生類型)을 보였다. S${\phi}$rensen의 류사도지수(類似度指數)를 이용하여 군집(群集)의 계절적 변화를 집낙분석(集落分析)한 결과 이 지역의 해조상(海藻相)은 수온상승(水溫上昇) 기해조상(期海藻相)(1-7월)과 수온하강기해조상(水溫下降期海藻相)(8-12월)으로 류사도(類似度) 45% 수준에서 크게 2개의 집낙(集落)으로 나누어진다. 또 수온상승기해조상(水溫上昇期海藻相)은 다시 겨울 해조상(海藻相)(1-4월)과 봄-여름 해조상(海藻相)(5-7월)으로 2개의 소집낙(小集落)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때 구분 수온은 $14^{\circ}C$였다. 또한, Cheney의 R+C/P수치에 의하여 밝혀진 해조상(海藻相)의 특징은 온대성(溫帶性)과 寒帶注(한대주)의 혼합해조상(混合海藻相)으로 나타났다.

  • PDF

금오산에서 산회지와 비산화지의 식물군집구조 비교 (A Comparison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Mt Kumo-san)

  • Kim, Woen;Sung, Kyung-H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1996
  • This is a report on the recovery of vegetation and secondary succession in the burned area studied from April, 1990 to April. 1991. The forest fire occurred in a part of Mt. $K\v{u}mo-san$ on April, 1986 and the pine forest and its understory vegetation were burned out completely. The floristic compositions of burned (B) and unburned (U) areas were composed of sixty eight and thirty one species (vascular plants), respectively. These species were divided into invaders (47 species), increasers (15 species), deceasers (3 species), neutrals (3 species), and retreaters (10 species) on the basis of summed dominance ratio ($SDR_3$).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in both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The species of Lespedeza ($SDR_3$=94.7), Miscanthus (91.95), Festuca (68.33), and Spodiopogon (52.06) were dominant in the burned areas, while the species of Pinus (76.67), Robinia (56.25), Quercus (52.08), and Carex (40.25)were dominant in the unburned area. Dominance index (C) in burned and unburned areas was 0.15 and 0.25, respectively. the index of similarity (CCs) was 0.42. The degree of succession (DS) and species diversity (H) in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675.8, 884.2 and 4.07, 2.05, respectively. The degree of succession in the burned area graduall increased and the burned area was recovered to be simmilar to the unburned area. Evenness index in burned and unburned areas was 0.965 and 0.595,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