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prediction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34초

확산모형에 의한 하구에서의 오염물질이동 예측(수공) (Prediction of Pollutant Transport by Dispersion Model on Estuary)

  • 박영욱;박상현;천만복;이봉훈;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71-377
    • /
    • 2000
  • Environmental impact on a land reclamation project, Hwaong tidal barrier was studied using the dispersion and advection model to predict the influence of polluted water discharged from freshwater reservio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by influence of polluted water discharged during a tidal cycle appeared to be extinguished at atmost all points after two tidal cycle. Peak concentration near the sluice gate is found out to be higher during the spring tide than neap tide. Equi-concentration contour line appeared to distributed a longer according to line of sea dike in spring tide than neap tide. The reasons is because influence by currents of northwest direction is a stronger, compared to spring tide and neap tide in the flood tide.

  • PDF

항구적 한해대책을 위한 전천후농업용수시설의 농업수문학적 배경조사 연구 (I) (경북지방 중심) (Studies on the Agri-Hydrological Backgrounds of the All-Weather-Farming Water Resources Facilities to Prevent the Drought-Disasters Permanently (I))

  • 이기명;김조웅;서승덕;권무남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3-81
    • /
    • 1980
  • In the light of these analysis of the recorded rainfall data from the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in Kyungpook area, hydraulic and hydrological data based on the representative watershed area and questionnaire or visiting letters to the 21 Land Reclamation Association in Kyungpook province, the hydrological backgrounds being the question to the irrigation facilities in Kyungpook Province or nation wide were studied partialy and the system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water sources facilities, prevention countermeasures to the drought and flood disasters, prediction of available surface waterflow and need or needless of new facilities establishment were reviewed in this paper. In the results, Technical and financial management and conservation investments of the already constructed ficalities should urgently and firstly be considered than the newly being established one.

  • PDF

도시지역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발령 기준 산정 (Analysis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Alert Standard for Urban Mid and Small Stream)

  • 송양호;이정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3-4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도시유역 중소하천에 대하여 수리 수문 분석을 바탕으로 홍수예경보 발령을 위한 일련의 분석 체계를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산정된 결과물은 강우지속기간별 경보발령 기준 강우량 수치이다. 이것은 해당 하천이 합류하는 본류 하천의 배수위 영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경보발령 기준 강우량 산정을 위한 도시유역 중소하천의 수리 수문 분석은 가장 일반적인 해석 모형인 HEC-HMS 및 HEC-RAS 모형들을 상호 연계하여 이루어졌으며, 경보발령 기준 강우량 산정에 있어서는 상 하류의 다양한 관측수위 조건을 고려하였다.

  • PDF

돌발홍수 예측을 위한 레이더자료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강수 예측 (Forecast of Precipitation using Radar Data and Deep Learning for Flash Flood Prediction)

  • 노희성;강나래;황석환;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9-179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홍수, 그중에서도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돌발홍수에 대응하려면 정확한 강수예측자료를 빠르게 생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딥러닝(머신러닝)을 이용한 강수예측방법에 대하여 고찰하고, 특히 레이더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강수예측방법에 중점을 두고 그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딥러닝(머신러닝)을 이용한 강수예측자료는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돌발홍수에 대응할 수 있는 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도시홍수 예측을 위한 레이더 적정 관측주기 분석 (Adequate Radar Scan-Interval for Accurate Urban Flood Prediction)

  • 황석환;조효섭;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78-78
    • /
    • 2015
  • 조기에 홍수 위험을 예측하고, 빠르게 이동 또는 진화하는 강수 사상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높은 시간 해상도의 실시간 강우 생산이 필요하다. 레이더는 순간 강우강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긴 시간 간격의 관측 주기는 빠르게 움직이는 폭풍의 레이더 QPE에 상당한 샘플링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관측주기에 따른 강우량의 정량적 차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검토는 2013-2014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X-Band 이중편파레이더로 관측된 사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소 관측주기(관측전략에 따른 최소 관측주기)를 토대로 샘플링을 하여 긴관측주기 자료를 생산하였다. 비교결과, 약 5분 관측주기에서도 5 %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상당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보면 도시홍수 관측을 위해서는 대략 1-2분 정도의 관측주기를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diction of Outflow Hydrograph caused by Landslide Dam Failure by Overtopping

  • Do, XuanKhanh;Kim, Minseok;Nguyen, H.P.T;Jung, Kwansue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6-196
    • /
    • 2016
  • Landslide dam failure presents as a severe natural disaster due to its adverse impact to people and property. If the landslide dams failed, the discharge of a huge volume of both water and sediment could result in a catastrophic flood in the downstream area. In most of previous studies, breaching process used to be considered as a constructed dam, rather than as a landslide dam. Their erosion rate was assumed to relate to discharge by a sediment transport equation. However, during surface erosion of landslide dam, the sediment transportation regime is greatly dependent on the slope surface and the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flow. This study aims to accurately simulate the outflow hydrograph caused by landslide dam by overtopping through a 2D surface flow erosion/deposition model. The lateral erosion velocity in this model was presented as a function of the shear stress on the side wall. The simulated results were then compared and it was coherent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 PDF

행정구역 홍수위험 판단기준 설정 방안 연구 (A Study on Guideline of Flood Risk Evaluation Standards by Local Authorities)

  • 최천규;김경탁;최윤석;김길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6-366
    • /
    • 2019
  • 홍수피해가 발생하면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국내에서는 홍수로 인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홍수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상청은 예상되는 강우량을 수치예보를 활용하여 기상특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홍수통제소는 하천에서 예상되는 홍수위를 기준으로 홍수특보를 발령하고 있다. 그러나 기상특보는 전국을 동일한 기준으로 홍수위험을 전망하여 각 행정구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홍수특보는 주요 하천이 없는 행정구역은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홍수피해 현상 조사를 통해 제시된 각 행정구역별 강우기준과 수치예보 자료 중 하나인 국지규모 앙상블예측시스템(LENS, 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자료를 활용하여 홍수위험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홍수위험 대응단계설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행정구역별 홍수위험 매트릭스는 향후 추가적으로 자료 수집을 통해 매트릭스 적용 및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reservoir sedimentation: A case study of Pleikrong Reservoir

  • Thu Hien Nguyen;XuanKhanh D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36
    • /
    • 2023
  • Sedimentation is a natural process that occurs in all reservoirs. Sedimentation problem reduce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reservoir and limits its ability to provide water for various uses, such as irrigation, hydropower generation, and flood control. Therefore, predicting reservoir sedimentation is important for ensuring the efficient operation and sedimentation management of a reservoir and . In this study, the HECRAS model was applied to predict longitudinal distribution of deposited sediment in the Pleikrong reservoir to 2050. Different scenarios was considered: (i) no climate change, (ii) climate change (under two emissions scenarios, RCP4.5 and RCP8.5), and (iii) climate change and land use change (followed land use planning of the watershed). The computation results with different scenarios were analyses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ervoir reduced storage volume's rate and sedimentation proceed toward to the dam in the case of climate change is faster than in the case of no climate change. Analyses also indicates that following the land used planning could also improve the long-term problem of the reservoir sedimentat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a sustainable plan of sediment management for the Pleikrong reservoir.

  • PDF

DNN 및 LSTM 기반 딥러닝 모형을 활용한 태화강 유역의 수위 예측 (Water level prediction in Taehwa River basin using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DNN and LSTM)

  • 이명진;김종성;유영훈;김형수;김삼은;김수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spc1호
    • /
    • pp.1061-1069
    • /
    • 2021
  • 최근 이상 기후로 인해 극한 호우 및 국지성 호우의 규모 및 빈도가 증가하여 하천 주변의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또는 유역 내 수문학적 시스템의 비선형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물리적 기반의 수문 모형을 활용하여 홍수위를 예측하기에는 선행시간이 부족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Deep Neural Network (DNN) 및 Long Short-Term Memory (LSTM)기반의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울산시(태화교) 지점의 수위를 0, 1, 2, 3, 6, 12시간에 대해 선행 예측을 수행하였고 예측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sliding window 개념을 적용한 DNN 모형이 선행시간 12시간까지 상관계수 0.97, RMSE 0.82 m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DNN 모형을 활용하여 딥러닝 기반의 수위 예측을 수행한다면 기존의 물리적 모형을 통한 홍수위 예측보다 향상된 예측 정확도와 충분한 선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객체지향형 수문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한 금강유역 분포형 강우-유출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System for the Guem River Basin Using an Object-oriented Hydrological Modeling System)

  • 이기하;타카라 카오루;정관수;김정엽;전자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49-153
    • /
    • 2009
  • Physics-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s are now commonly used in a variety of hydrologic applications such as to estimate flooding, water pollutant transport, sedimentation yield and so on. Moreover, it is not surprising that GIS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hydrologic research since this technology offers abundant information about spatial heterogeneity for both model parameters and input data that control hydrological processes.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prediction system for the Guem river basin ($9,835km^2$) using an Object-oriented Hydrological Modeling System (OHyMoS). We developed three types of element modules: Slope Runoff Module (SRM), Channel Routing Module (CRM), and Dam Reservoir Module (DRM) and then incorporated them systemically into a catchment modeling system under the OHyMoS. The study basin delineated by the 250m DEM (resampled from SRTM90) was divided into 14 midsize catchments and 80 sub-catchments where correspond to the WAMIS digital map. Each sub-catchment was represented by rectangular slope and channel components; water flows among these components were simulated by both SRM and CRM. In addition, outflows of two multi-purpose dams: Yongdam and Daechung dams were calculated by DRM reflecting decision makers' opinions. Therefore, the Guem river basin rainfall-runoff modeling system can provide not only each sub-catchment outflow but also dam inand outflow at one hour (or less) time step such that users can obtain comprehensive hydrological information readily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flood control during a flood seas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