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ood inundation area

Search Result 25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rediction of Loss of Life in Downstream due to Dam Break Flood (댐 붕괴 홍수로 인한 하류부 인명피해 예측)

  • Lee, Jae Young;Lee, Jong Seok;Kim, Ki 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879-889
    • /
    • 2014
  • In this study, to estimate loss of life considered flood characteristics using the relationship derived from analysis of historical dam break cases and the factors determining loss of life, the loss of life module applying in LIFESim and loss of life estimation by means of a mortality function were suggested and applicability for domestic dam watershed was examined. The flood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 depth, flow velocity and arrival time were simulated by FLDWAV model and flood risk area were predicted by using inundation depth. Based on this, the effects of warning, evacuation and shelter were considered to estimate the number of people exposed to the flood. In order to estimate fatality rates based on the exposed population, flood hazard zone is assigned to three different zones. Then, total fatality numbers were predicted after determining lethality or mortality function for each zone. In the future, the prediction of loss of life due to dam break floods will quantitatively evaluate flood risk and employ to establish flood mitigation measures at downstream applying probabilistic flood scenarios.

Determination of operating offline detention reservoir considering system resilience (시스템 탄력성을 고려한 빗물저류조 운영수위 결정)

  • Lee, Eui Hoon;Lee, Yong Sik;Jung, Donghwi;Joo, Jin Gul;Kim, Joong 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0
    • /
    • pp.403-411
    • /
    • 2016
  • Recently,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inundation and the severity of flood damage has increased rapidly as the frequency of localized heavy rainfall and the ratio of impervious area increased in urban areas. Most local governments focus on employing structural measures (e.g., the construction of detention reservoirs/pump stations, rehabilitation of drainage and sewer pipes) to prevent urban inundation.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ness of implementing such structural measures is being dimished because there are already many inundation prevention facilities. The limitation of structural measures can be overcoming by employing non-structure measures, such as flood alerts and the operation of drainage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e pump operation rule (i.e., suggesting pump stop level) for a new detention reservoir operating method, which triggers the operation of a pump based on the water level at the monitoring node in urban drainage system. In the new reservoir operation, a total of 48 rainfall events are generated by the Huff distribution for determining the proper pump stop level. First, the generated rainfall events are distributed as frequencies, quartiles, and durations. The averaged system resilience value was determined to range from 1.2 m to 1.5 m is based on the rainfall-runoff simulation with rainfall generated by the Huff distribution. In this range, 1.2 m was identified considering the safety factor of 1.25 by the Standard on sewer facilities in 2011.

An Analysis of the Application Effect of LID Technology in Urban Inundation Using Two-Dimensional Model (2차원 모델을 이용한 도시침수지역에서의 LID기법 적용효과 분석)

  • Minjin Jung;Juho Kim;Changdeok Jang;Kyewon 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1
    • /
    • pp.13-22
    • /
    • 2023
  • The importance of preemptive flood preparation is growing as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climate change increases due to record heavy rai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August 2022. Although it is responding to flood control through reservoirs and sediment sites, the government is preparing excellent spill reduction measures through a preliminary consultation system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In this study, the depth of flooding was simulated when LID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the Sillim 2-drain region in Dorimcheon Stream basin, an urban stream, using XP-SWMM, a two-dimensional model. In addition, the analysis and applicability of the effect of reducing rainfall runoff for the largest rainfall in a day were reviewed, and it was judged to be effective as a method of reducing flooding in urban areas.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in which the reduction effect is overestimated, it is thought that the LID technologies can be a significant countermeasure as a countermeasure for small-scale flooded areas where some flooding occurs after structural flooding measures are established.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Flood Inundation Area using Numerical Models (수치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지역의 수리특성 분석)

  • Jun Kye Won;Ahn Sang Jin;Yeon In Sung;Choi Byung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54-115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2002년 여름 전국을 강타한 태풍 '루사'에 의한 집중호우와 관련하여 충북 영동군 일원에 발생한 하천범람에 따른 침수피해에 대해 하천의 수위 상승과 하천변 제내지의 침수에 따른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홍수유출량 산정에 HEC-HMS모형과 HEC-GeoHMS모형을 사용하였고, 외수위 변동을 해석하기 위해서 HEC-RAS를 이용하여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침수구역의 수리특성과 하상변동, 유사분포 모의를 위해 RMA2, SED2D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하천범람시 유속은 $2.6m/sec\~3.4m/sec$ 분포를 나타내었고, 하상변동의 경우 제방에 근접한 곳에서 제방 절개부와 가까운 지역은 $0.15m\~0.17m$정도 유사가 퇴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Flood Inundation Modeling Techniques of Frequently flooded Area (상습침수지역의 침수범람 모의기법)

  • Cho, Seung-Ho;Ch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75-1579
    • /
    • 2009
  • 풍수해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간적, 공간적 분석을 통해 홍수범람 범위와 배수시간을 분석 검토하여 상습침수지역의 침수피해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습침수지역인 형산강수계 경주시 현곡면 소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침수범위와 홍수심, 현장조건에 따른 배제시간 등을 확인하기 위해 HEC- GeoRAS와 HEC-RAS를 이용하여 침수범람 및 배수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역의 빈도별 홍수위 분석에 따른 홍수범람 위험지역 산정과 배수조건을 제시하고 상습침수지역에 홍수발생시 인명과 재산피해를 대비한 효과적인 홍수피해 경감대책 수립을 위한 범람모의를 실시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Influence of Levee Breach Depth on Flood Wave Propagation in Inundation Area (제방붕괴깊이 조건에 따른 제내지 범람홍수파 거동 실험)

  • 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99-90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제방붕괴에 의한 제내지 홍수파 거동 해석의 일환으로 제방붕괴시 제방의 붕괴깊이에 따른 제내지에서의 홍수파의 거동 양상을 수리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다양한 제방붕괴폭과 초기하도수위 및 제방붕괴고 조건에 대해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와 제내지에서의 최대수심의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범람홍수파 선단(wave-front)의 이동속도는 동일한 하도수위조건에서는 붕괴고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방붕괴시 월류수심 $H_w$가 범람홍수파 전파속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실험조건에서 최대수심은 일정한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방인근 지점에서 최대수심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붕괴부로부터 일정 지점이 지나면 수위가 급격히 감소하여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최대수심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일 수위조건이라면 제방붕괴고가 낮을수록 제내지로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여 초기에 제방붕괴부 주위에서 수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와 최대수심을 산정하는 식을 무차원변수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Flood Wave Propagation in Inundation Area with Structures (제내지 구조물 설치에 따른 제방붕괴 범람홍수파 특성 분석)

  • 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04-908
    • /
    • 2007
  • 도시 지역에서는 범람류에 의한 인명 피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범람류 특성과 침수특성을 파악하는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인명 피해를 야기시킬 수 위험요소로는 홍수파의 전파속도와 범람류의 유속 및 수심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도시 지역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구조물의 영향에 의한 범람홍수파의 거동에 대해서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하여 기초적인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홍수파의 전파속도는 제방 붕괴시 하도 초기수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내지에 구조물 설치 유무가 범람홍수파 전파속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초기 월류수위 효과를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제내지에 구조물이 있음으로써 없는 경우에 비해 제방붕괴부 주위의 최대수심은 증가하였다. 이는 구조물에 의한 배수영향이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구조물 설치밀도가 높은 군집구조물의 경우에 확실하게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와 최대수심을 산정하는 식을 무차원변수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PDF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XP-SWMM Model in Urban Area (XP-SWMM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침수해석)

  • Yeon, K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89-693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집중호우에 의해 도시지역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침수피해를 XP-SWMM모형을 이용하여 침수해석을 수행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대상유역의 강우분석을 선수행하고 하천 외수위 상승에 따른 배수구역의 10년, 20년, 30년, 50년 설계빈도별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하천 외수위 변화에 따른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일어난 지역을 산정하고, 도시유역의 강우-유출해석과 하수관거 해석을 실시한다. 이를위해 XP-SWMM 모형을 이용하여 하수관망 시스템과 하천 외수를 연계 해석하여 장래 하천의 빈도별 홍수량에 대한 침수가능 여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 면적은 62.35ha, 총 관로연장 12,741m, 소유역 60개, 하수관로 175개로 모형을 구성 하였고, 유출해석결과 설계빈도 50년의 임계지속시간은 90분, 총 침수량은 $15,362m^3$, 침수면적은 $65,384m^2$였으며, 최대 침수심은 0.81m인것으로 산정되었다. 침수피해 경감효과로는 245세대, 585명의 피해경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Hydraulic Experiments of Flood Wave Propagation Due to Levee Breach in Inundation Area by Variation of Froude Number (Froude 수 변화에 따른 제방붕괴 범람홍수파의 전파 수리모형실험)

  • Kim, Soo-Young;Lee, Ji-Hun;Jung, Seok-Il;Lee,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8-148
    • /
    • 2012
  • 제방의 붕괴는 전체 수공구조물 중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월류에 의한 피해가 4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제방을 월류하여 제내지로 유입되는 붕괴유량은 높은 속도로 제내지로 전파된다. 제방붕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붕괴파의 거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제방의 붕괴를 수문의 개방으로 가정하여 제내지 유입을 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방의 규격은 높이 3 m, 정부폭 3 m, 사면경사가 1:2인 제방에 대해서 1/10 축척으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제방의 붕괴부를 모래를 축조하여 이동상으로 제작하였고 이동상 제방의 길이는 4 m이다. 제방에 월류를 유도하여 붕괴를 유발하였으며 홍수파가 제내지로 유입되는 속도 및 경향을 기록하였다. 제내지는 길이 6 m, 폭 6 m로 수평하게 제작하였다(그림 1 참조). Froude 수 변화에 따라 제내지로 유입되는 범람홍수파의 전파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Froude 수가 클수록 선단 홍수파의 방향이 하류방향으로 전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Simulation of FLUMEN model for Estimating Flood Inundation in the Adjacent Area of the Hwang-Gu-Ji Stream (FLUMEN 모형에 의한 황구지천 인접지역의 홍수범람 모의)

  • Kim, Min Hyeok;Ahn, Ta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17-321
    • /
    • 2017
  • 본 연구는 황구지천 인접 지역의 홍수지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황구지천 제방 파제시 홍수범람 모의를 실행하였다. 홍수범람모의에 적용한 수치모형은 FLUMEN이며 황구지천 세마교부터 수직교 구간 인접지역의 홍수범람을 모의하였다. 수치지형도에 의한 지형자료와 함께 조도계수 및 홍수수문곡선운 황구지천 관련 계획보고서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월류에 의한 범람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확률홍수시 현 제방고를 적용한 초기 침수 빈도를 적용하였다. 범람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하여 2개의 파제위치를 선정한 후 범람 모의를 수행하였다. FLUMEN은 미리 제방을 파제한 후 처오름 해석으로 모의하는 방법과 하도에 물이 가득 찬 후 제방을 파괴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자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방의 범람에 따른 침수시간, 유속분포의 변화, 침수심, 침수면적 등을 산정하고 제방의 파제에 따른 침수시 파제폭에 관한 변화를 주어 범람면적의 변화 및 시간의 변화 수문곡선상 문제점을 검토하여 해당지점의 적정한 파제폭, 침수심, 침수시간 등을 제시하여 홍수지도 작성시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