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sh brownin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4초

Symptomatology of Citrus mosaic sadwavirus (CiMV) in Some Citrus Cultivars and Effect of CiMV Infection on Citrus Fruit Quality

  • Hyun, Jae Wook;Hwang, Rok Yeon;Choi, Cheol Woo;Jung, Kyung Eun;Han, Seung Gab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1호
    • /
    • pp.106-110
    • /
    • 2020
  • Citrus mosaic sadwavirus (CiMV) is a closely related virus with the Satsuma dwarf virus (SDV) along with Navel orange infectious mottling virus (NIMV), Natsudaidai dwarf virus (NDV), and Hyugagatsu virus (HV).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typical symptoms of CiMV-infected citrus fruits include the appearance of dark blue speckles or ringspots on fruit rinds and the browning of oil glands in the spots as rind coloring began. As rind coloring progressed, the spots gradually faded, whereas the browning of the oil glands worsened to the point that the tissues surrounding the oil glands became necrotic. In very early satsuma mandarins (Citrus unshiu 'Miyamoto Wase') and 'Setoka' cultivar (C. hybrid 'Setoka') of late-maturity citrus, the symptomatic fruits were eventually dropped. And in early satsuma mandarin (C. unshiu 'Miyakawa Wase'), the peel hardness of the virus-infected fruit (1,618.3 ± 305.5, g-force) was more than twice as hard as that of the healthy fruit (636.5 ± 39.1, g-force). The ratio of flesh weight to total fruit weight was higher for the healthy fruit (77.3 ± 1.7%) than for the infected fruit (70.7 ± 0.6) and peel puffing was more severe in the infected fruit (2.9 ± 0.4 mm) than in the healthy fruit (0.9 ± 0.2 mm). The soluble solids content in infected citrus fruits was less values than the healthy fruit by 0.5-1.5 °Brix. These findings reveal that CiMV infection on citrus trees reduces the fruit quality of citrus.

Ethephon 및 Aminoethoxyvinylglycine 처리가 '원황' 배 모의수출 환경에서의 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ephon and aminoethoxyvinylglycine on fruit quality and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during simulated exportation environment in 'Wonhwang' pears)

  • 최진호;이욱용;안영직;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2호
    • /
    • pp.79-86
    • /
    • 2013
  •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harvest spray of aminoethoxyvinylglycine (AVG), an inhibitor of ACC synthase activity, on fruit quality of 'Wonhwang' pear (Pyrus pyrifolia Nakai). And the effects were compared with ethephon which releasing ethylene to elucidate treatment efficacy of ethylene biosynthesis inhibitor on Asian pears. Chemicals were sprayed on 30 days before harvest with AVG (75 and 150 mg/L) and ethephon (100 mg/L), respectively. Highest flesh firmness during 21 days of shelf-life at $25^{\circ}C$ after 30 days of cold storage was attained in the fruit treated with 150 mg/L AVG (26.5N)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16.7N), while the fruits treated with 100 mg/L ethephon completely lost their marketability within 14 days of shelf-life by mass drop of firmness down to 11.6N. Low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including pithiness and core browning were attained at the fruits treated with 150 mg/L AVG when we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No occurrence of mealiness found in the fruits treated with AVG but ethephon treated fruits showed 36.4% during 14 days of shelf-life. Consequently, AVG spray at the concentration of 150mg/L on Asian pear 'Wonhwang' fruit regarded as useful preharvest management approach for keeping quality during marketing period after simulated exportation.

Controlled atmosphere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기체조성 변화가 조생 '후지' 사과의 저장 중 품질 및 내부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rolled atmosphere conditions on the quality and internal disorder of early season 'Fuji' apples during storage)

  • 천호현;박석호;최동수;최승렬;김진세;이진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1-138
    • /
    • 2016
  • 본 연구는 CA 저장시스템 및 기체치환 기밀 챔버를 개발하여 조생 '후지' 사과의 저온저장 중 기체 환경 조성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변화 및 내부갈변 장해 발생률 구명에 따른 국산 사과의 CA 저장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70일 저장 후 경도는 CA 조건 챔버에 저장된 사과 시료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중량감소율은 1~5% $CO_2+0.5{\sim}2%$ $O_2$ CA 조건 및 95% RH 습도로 설정된 챔버의 시료가 0.49~0.53%을 나타내어 대조구의 1.02%보다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한편, 적정산도와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챔버 1~8에 저장된 사과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내부장해 발생은 일반 저온저장한 대조구(챔버 8)가 2%를 나타냈으며 1% $CO_2+2%$ $O_2$ CA 조건(챔버 1)에서는 약 4%의 내부 갈변장해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3~5% $CO_2+2%$ $O_2$ CA 조건(챔버 4~6)에서는 20~26%의 높은 내부갈변 장해발생률을 보였기 때문에 조생 '후지' 사과의 경우 CA 저장 시 $CO_2$ 농도를 2% 미만으로 유지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1% $CO_2+2%$ $O_2$ CA 조건 및 95% $RH+0^{\circ}C$ 저장환경에서 사과의 호흡억제 및 숙성 노화지연 등으로 계획된 기간 동안 품질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품종의 국산 사과의 CA 저장기술 실용화를 위해 재배지역 및 수확시기 등에 따른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분석과 소비자 기호도 조사의 데이터베이스화하여 CA 저장 장해극복 방안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동양배 '원황' 및 '화산'의 상온유통 중 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1-methylcyclopropene (1-MCP) 처리의 영향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 (1-MCP) on Fruit Quality and Occurr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of Asian Pear (Pyrus pyrifolia), 'Wonhwang' and 'Whasan', during Shelf-life)

  • 이욱용;오경영;문승주;황용수;천종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34-5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1-MCP 처리가 조생종 '원황' 및 중생종 '화산 '배의 상온유통기간 중 과실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 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원황' 배는 만개 후 130일과 140일에, '화산' 배는 만개 후 135, 145 및 150일에 각각 수확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1-MCP를 $1{\mu}L{\cdot}L^{-1}$ 농도로 처리한 후 $25^{\circ}C$ 상온에서 21일간 유통시킨 후 과실경도를 조사한 결과, 1-MCP 처리에 의한 과실 경도 저하 지연효과가 인정되었다. '원황' 배에 있어 만개 후 130일에 수확한 과실의 경우, 무처리구의 과실 경도는 상온유통 14일 후 32.3 N, 21일 후 10.1N으로 유통기간이 경과하면서 경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1-MCP 처리구는 같은 조사 기간에 각각 39.4 및 33.1N으로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유지되었다. 만개 후 140일에 수확한 '원황'에 있어서는 상온유통 14일에 각각 14.8 및 35.0N으로 1-MCP 처리구의 경도가 두 배 이상 높게 유지되었고 유통 21일에는 1-MCP 처리구가 33.3N이었던 반면 무처리구는 6.6N으로 상품성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화산'에 대한 1-MCP 처리 효과는 수확시기가 늦은 과실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원황'에 대한 1-MCP 처리는 각 수확기에 있어 가용성고형물 함량이 높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화산'에 있어서는 1-MCP 처리에 따른 함량차이는 인정되지 않았고 1-MCP 처리에 의한 산함량 감소지연효과도 '원황'에서만 나타났다. 에틸렌 발생량은 '원황'의 경우 수확시기가 늦은 과실에서 다소 높게 측정되었으나 최대 $0.58{\mu}l{\cdot}L^{-1}$으로 매우 소량에 머물렀는데 '화산'의 경우에는 '원황'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1-MCP 처리유무 및 유통기간의 경과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유통기간 중 1-MCP 처리에 따른 과실의 호흡량은 '원황'에 대한 1-MCP 처리는 만개 후 130일 및 140일 수확 과실에 있어서 상온유통 14일에 무처리구 대비 각각 44 및 50% 감소시킨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산'의 호흡량은 '원황'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고 1-MCP 처리에 따른 호흡률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과실내부에 발생하는 생리장해를 측정한 결과, 두 품종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지는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원황'에 있어 만개 후 130일 수확 과실에 대한 1-MCP 처리는 과육갈변을 완전히 방지하였고, 바람들이 및 과심갈변의 발생을 현저히 경감되었던 반면 flesh spot decay 장해는 증가하였다. 1-MCP 처리는 '원황'에서만 생리장해 경감효과가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화산'에서는 그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두 '대석조생'의 숙기 및 저온저장 온도에 따른 저온장해과 발생 및 품질특성 (The Chilling Injury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Ooishiwase' Plums (Prunus salicina L.) according to Ripening Stages and Cold Storage Temperature)

  • 조미애;홍윤표;최선영;정대성;임병선;박수정;이승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51-660
    • /
    • 2011
  • 자두 '대석조생'의 생육단계별 수확시기 및 저온저장 온도에 따른 저온장해과 발생 양상과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고자, 자두 '대석조생'을 60%, 80% 그리고 90% 이상의 착색율로 구분하여 수확한 후, 1, 4, 5, $6^{\circ}C$ 그리고 $20^{\circ}C$에 최대 48일간 그리고 $20^{\circ}C$에서 3일간 숙성시키면서 호흡 변화, 품질 특성 및 저온 장해과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60% 착색기에 수확한 자두를 보다 낮은 저온에 저장하였을때 경도, 색도, 중량감소율과 적정산도의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에틸렌 발생량과 호흡량도 보다 낮게 유지되었다. '대석조생' 자두의 저온장해 증상은 주로 내부 갈변을 동반한 gel breakdown과 과육투명화 현상이었는데, 이러한 저온장해과는 모든 숙기별 처리구 그리고 $6^{\circ}C$ 이하의 모든 저장 온도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성숙이 진행되지 않은 과일일수록, 그리고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저온장해과 발생율을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석조생' 자두의 저온장해과 발생이 저장기간 동안의 호흡 양상과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최소가공 Fuji사과의 포장재 및 전처리 방법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cut Packaged Fuji Apples during Storage)

  • 황태영;손석민;이창용;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69-473
    • /
    • 2001
  • 최소가공처리를 행한 신선 사과의 저장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사과 품종 중 Fuji사과를 이용하여 최소가공 처리를 행한 후 서로 다른 산소, 이산화탄소 및 수분 투과도를 가지는 필름으로 포장하여 저온저장 하였다. 저장중의 색도 변화, texture,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포장재 내부의 공기조성을 측정하였다. 신선절단 및 유기산 처리를 한 사과의 firmness는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다가 저장 3주부터 감소하였다. 신선절단 사과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과육의 갈변현상은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1주일을 전후로 일어났으며 1% oxalic acid를 처리한 사과의 경우 포장 필름의 종류에 상관없이 저장 초기에는 백색도가 증가하였으나 시간경과에 따라 과육의 연화 현상과 함께 갈변이 심화되었고 특히 L340필름으로 포장한 경우 L값의 변화가 가장 심하게 일어났다. 반면 사과를 1% ascorbic acid 용액에 침지한 후 P640필름에 포장하여 저장한 구는 색도, pH, 가용성 고형분, 적정산도에서 품질 변화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 PDF

Nondestructive Internal Defects Evaluation for Pear Using NIR/VIS Transmittance Spectroscopy

  • Ryu, D.S.;Noh, S.H.;Hwnag, H.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권1호
    • /
    • pp.1-7
    • /
    • 2003
  • Internal defects such as browning of the flesh and blackening and rot of the ovary of pear can be easily developed because of the inadequate 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fruit. The quality assurance system for the agricultural product is to be settled in Korea. All defected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be excluded prior to the distribution to enhance the commercial values. However, early stage on-line defect detection of agricultural product is very difficult and even more difficult in a case of the internal defect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detect and classify internal defects of agricultural produce on-line using VIS/NIR transmittance spectroscopy. And Shingo pear, which is one of the famous species of Korean pear, was used for the experiment. Soft independence modeling of class analogy (SIMCA) algorith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transmittance spectroscopic data qualitatively. On-line classification system was constructed and classific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s a result,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CCR) using the developed classification model was 96.1 %.

  • PDF

모의 수출 '후지' 사과의 품질에 미치는 수확후 1-MCP 처리 및 CA저장 효과 (Analysis of Postharvest 1-MCP Treatment and CA Storage Effects on Quality Changes of 'Fuji' Apples during Export Simulation)

  • 박윤문;박효근;임병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3호
    • /
    • pp.224-231
    • /
    • 2011
  • '후지' 사과의 8개월 장기저장 후 모의수출과정에서 품질에 미치는 수확 후 1-MCP 처리와 CA저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장기저장용 성숙기로는 다소 늦은 10월 29일에 청원지역과 안동지역 두 과수원에서 수확한 사과를 $1{\mu}L{\cdot}L^{-1}$ 1-MCP 처리를 한 후 8개월 간 $0^{\circ}C$ 저온저장과 controlled atmosphere(CA) 저장을 수행하였다. 저장 후 2주 저온 컨테이너 운송과 현지유통 7일로 설정한 수출과정은 추가적인 2주 저온저장과 $20^{\circ}C$ 실온보관 방식으로 모의하였다. 1-MCP 처리 및 CA저장은 저장 및 모의운송 후 호흡과 에틸렌 발생을 억제하였고 모의 수출과정 후까지 적정 산도와 과육경도 유지에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장기저장에 적합한 성숙단계를 지나 수확한 사과의 경우, 1-MCP 처리만으로는 수출 시장에서 소비자 관능을 만족시키는 조직감 유지에 충분한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 수확 시기가 지연되는 '후지' 사과의 8개월 이상 장기저장 후까지 수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CA저장 혹은 1-MCP 처리/CA저장 병용 프로그램 적용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동양 배 '진황'에 있어 1-MCP 처리에 따른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의 유통력 비교 (Comparison of Fruit Maketability at Various Temperature Environment in Asian Pear 'Jinhwang' Treated with 1-Methylcyclopropene)

  • 이욱용;최진호;김윤경;오광석;김성주;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동양배 '진황'의 1-MCP처리 후 유통온도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과실의 감모율의 경우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적었으며 1-MCP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적은 감모를 보였다. 수확 후 1-MCP처리는 과육경도에서 유통온도(18, 25 및 $30^{\circ}C$)와 관계없이 20N이상으로 무처리구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과피색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어두워졌으며, $a^*$값은 18 및 $25^{\circ}C$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30^{\circ}C$에서는 1-MCP처리구가 유의하게 적은 변화를 보였다. 과실의 생리장해에서 과심갈변, 분질과 발생은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발생이 적었으며,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낮은 발생을 보였다. '진황'과실에서 1-MCP처리후 유통온도에 따른 과실의 품위유지 기간은 18 및 $25^{\circ}C$에서는 28일 내외이며, $30^{\circ}C$에서는 21일 내외로 1-MCP 처리로 유통기간을 약 7일 이상의 품위유지에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고온의 시장조건에서는 조생종 '진황' 과실에 1-MCP처리가 품위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Potential of Initial CA Condition on Quality Maintenance of 'Fuji' Apples during Export Simulation after Long-term Storage

  • Park, Youn-Moon;Park, Hyo-Ge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4호
    • /
    • pp.400-408
    • /
    • 2012
  • Effects of initial controlled atmosphere (CA) treatment on quality maintenance of 'Fuji' apples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and continuous CA storage. Apples were harvested twice at different maturity, treated with 1 ${\mu}L{\cdot}L^{-1}$ 1-MCP and then stored for 8 months at $0^{\circ}C$ under 3 conditions: air, CA for the first month followed by air (initial CA), and continuous CA (full CA). CA storage was performed with 1.5 kPa $O_2$ and < 1.0 kPa ($N_2$ balance). Following long-term storage, export simulation, refrigerated shipment and local distribution, were performed by holding apples at $0^{\circ}C$ for 2 weeks and on the shelf at $20^{\circ}C$ for 7 days. Both the application of 1-MCP and CA storage reduced ethylene production and respiration rates. Initial CA storage was also effective on reducing the metabolism although the effects were not as noticeable as full CA. Full CA storage with or without 1-MCP treatment maintained titratable acidity, flesh firmness, and sensory quality at the acceptable to excellent level even after the export simulation following 8-month storage regardless of harvest maturity. In contrast, effects of initial CA storage were limited to the maintenance of firmness and texture in early-harvested apples.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harvest maturity is the critical factor for export fruit quality after long-term storage when separate treatment of initial CA storage or 1-MCP treatment is applied as a postharvest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