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r components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7초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4보,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휘발성 냄새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Corn Oil IV.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Volatile Flavor Component Composition in Corn Oil)

  • 이근보;한명규;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2-277
    • /
    • 1998
  • 탈취온도를 상이하게 처리한 옥수수기름들로부터 정유성분을 추출하여 이의 favor 성분을 GC로 분리 정량하였다. Flavor성분으로는 8종의 aldehydes를 포함하여 총 16종이 검출되었으며, 주요 flavor성분은 propane, pentane, hexanal 등으로 이는 전체의 70~75%를 차지하였다. 탈취온도가 상승할수록 ethane 및 8종의 propane, pentane, hexane, octane, pentyl furna 함량은 뚜렷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총 flavor 성분함량은 245$^{\circ}C$ 처리군에서 가장 낮아 특이성을 나타내었으며, 탈취온도의 상승에 따라 aldehydes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탈취과정 중 stripping steam, 진공도 등의 영향으로 인한 부분인 자동산화, 분해, 중합, 가수분해 등의 부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취물질의 극소화를 위하여는 지나친 고온탈취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참나물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Pimpinella brachycarpa)

  • 송희순;최향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74-680
    • /
    • 1997
  •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Pimpinella brachycarpa) were colle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method, and essential oil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wenty five, 17 and 23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e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samples, respectively; however, the kinds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ts percent content of the total volatiles were varied depending on samples. The principal components of Chamnamul were isobutanal, trans caryophyllene, trans ${\beta}$-farnesene, and ${\alpha}$-selinene. Terpenoid compounds reached 44.11%, 33.91% and 72.63% respectively in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 PDF

저염 오징어젓갈 제조 방법 및 향미성분 1. 저염 오징어젓갈의 휘발성 향기성분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and its Flavor Components 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 최성희;임성임;허성호;김영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1-267
    • /
    • 1995
  • Low-salted and fermented squid product, squid jeotkal was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10% salt and fermented for 50 day at 1$0^{\circ}C$. During fementation of squid,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were examine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raw squid and low-salted squid jeotkal were extracted using a rotary evaporating system. The volatile concentrates were identified by GC and GC-MS.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raw squid were methional and 2-methyl-2-propanol. However, alcohols such as propanol, isoamyl alcohol, methionol and phenylethyl alcohol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fermentation. The model reaction using microorganism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nfirm formation mechanism of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e squid during fermentation. The main volatile components of Pseudomonas sp. D2 model system were isoamyl alcohol and acetoin. Those of Staphylococcus xylosus model system were isoamyl alcohol and phenylacetaldehyde.

  • PDF

숙성에 의한 육두구(Myristica fragrans Houttuyn)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Nutmeg(Myristica fragrans Houttuyn) during Aging)

  • 김현위;허경택;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60-765
    • /
    • 1989
  • 향미료 또는 착향료로서 서양요리에 주로 이용하는 육두구 (Nutmeg, Kernels of the fruits of Myristica fragrans Houttuyn)를 $37^{\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상압수증기 증류장치로 향기성분을 추출한 후, capillary GC와 CC/MS를 이용하여 이들 휘발성 화합물의 조성변화를 관찰하였다.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저비점화합물의 백분율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고비점화합물의 백분율은 증가하였고, 중비점화합물은 약간 증가하였다. 특히, 고비점화합물 중 myristicin과 myristic acid는 현저하게 증가하여, 6개월째 각각 24.50% 및 18.69%이었다. 전체 휘발성 화합물의 양은 4개월까지 증가하다가 이후는 점차 감소하였다.

  • PDF

보리등겨, 보리메주 및 시금장의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the Flavor Components of Barley Bran, Barley Meju and Sigumjang)

  • 최웅규;곽동주;손동화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3-30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보리등겨, 보리메주 및 시금장의 향기성분 조성차이를 규명하였다. 보리등겨, 보리메주 및 시금장에서 동정된 향기성분은 각각 46, 67 및 61종이었다. 시금장의 향기성분은 tetramethylpyrazine > 2-furancarboxaldehyde > ethyl palmitate > 4-ethylphenol의 순으로 많았다. 보리등겨, 보리메주 및 시금장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성분은 13종이며, 이 중 butan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 octanoic acid 및 2-보리메주와 시금장으로 진행될수록 그 함량이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nonanoic acid, 2-furancarboxaldehyde, benzenacetaldehyde 및 tetramethylpyrazine은 보리등겨에서 보리메주와 시금장으로 진행될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 PDF

콩고오지를 사용한 개량식고추장의 숙성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Ch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improved kochujang prepared with soybean koji during fermentation)

  • 최진영;이택수;박성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44-1150
    • /
    • 1997
  • 찹쌀로 담금한 콩고오지 사용의 개량식 고추장 숙성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purge and trap 장치로 포집하여 GC-MSD로 분석 , 동정한 결과 alcohol 16종, ester 15종, acid 7종, aldehyde 4종, alkane 5종, ketone 3종, benzene 1종, alkene 1종, phenol 2졸, 기타 2종 등 56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직후에 alcohol 9종, ester 8종, aldehyde 3종 등 총 32종이 검출되었으나, 30일에는 alcohol 5종, ester 6종을 비롯한 15종이 추가 검출되어 46종으로 증가되었다. 90일에는 55종으로 향기성분 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숙성 전 과정을 통하여 검출된 향기성분은 2-methyl-1-propanol, ethanol, 3-methyl-1-butanol 등 alcohol류 9종,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2-methylpropyl acetate 등 ester류 8종, butanal, acetaldehyde, furfural 등 aldehyde 3종, 기타 11종 등 총 31종이었다.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숙성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ethanol. ethyl acetate, ethyl butanoate, 2-methylpropyl acetate, 2-methyl-1-propanol, 3-methyl-1 -butanol 등이 높아 이들 성분이 콩고오지사용 고추장의 향미 주 성분으로 나타났다 이들성분 중 숙성시기별로 가장 높은 면적비율을 보인 향기성분은 담금직후와 90일에 ethanol, $30{\sim}60$일에는 ethyl acetate 가, $120{\sim}150$일에는 3-methyl-butanol 이었다.

  • PDF

SPME를 이용한 참외와인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Oriental Melon Wine Using SPME)

  • 조용준;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7-21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SPME를 이용하여 참외 알코올 발효과정 중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참외 원과의 향기성분은 주로 melon 및 풋내향이 주로 나타났으며 풋내성분은 nonanal, 1-butanol, 1-octen-3-ol 및 benzene으로 동정되었고 상대적 농도는 16.66%로 나타났다. 머스트에서는 풋내성분 중 nonanal은 농도는 감소하였으나 나머지 성분들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주로 sweet향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benzene의 상대적 함량이 25.58% 증가하여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알코올 발효 후 1-butanol을 제외한 풋내유발 성분들의 함량이 매우 감소하였으며 숙성 중 모두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취의 원인이 되는 풋내유발 물질들은 발효 및 숙성과정을 통해 모두 소멸되었으나 acid류의 휘발성 향기성분들은 알코올 발효과정에서 생성되었으며 특히 불쾌취를 유발하는 octanoic acid는 상대적 농도가 숙성과정 중 60.99%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숙성 중에 자극적인 신냄새의 acetic acid가 생성되는 경향으로 나타나 향후 참외 와인 제조에 있어 향기 개선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닭의장풀의 식용부위별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Commelina communis L.)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4-470
    • /
    • 1995
  • 야생식용식물인 닭의장풀의 식용부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전초에서는 탄화수소류 33종 알데히드류 4종, 케톤류 9종, 알코올류 23종, 에스테르류 6종, 유기산류 10종 및 기타 4종이 확인되었고, 잎에서는 탄화수소류 14종 및 알코올류 7종및 에스테르류 2종, 주기에서는 탄화수소류 3종 및 알코올류 3종, 뿌리에서는 탄화수소류 13종, 케톤류 1종, 알코올류 3종 및 유기산류 1종이 확인되었다. 닭의장풀 잎의 경우 줄기 및 뿌리부위보다 탄화수소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고 다른 부위보다 알코올류의 함량은 적었으나 그 수는 더욱 다양하였다. 줄기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가장 적은 수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으나 알코올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월등히 높았다.

  • PDF

국내산 천궁의 향기 성분 (Th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Cnidium officinale Makino)

  • 최성희;김혜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2-585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lavor compnenets of Korean Cnidium officinale M.. The extraction of the flavor compounds of Cnidium officinale M. was accomplished by a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using a Likens and Nickerson's extraction apparatus.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analyze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and GC-mass spectrometry. The change of the 림팩 contents in each samples was determined in terms of two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The flavor contents of sample at low temperature storage were higher than those at room temperature storage, and increased until storage period of 70 days. The major components of Cnidium officinale M. were terpene compounds including α-pinene, β -selinene, γ-selinene, and phthalides including butylidenephthalide, cnidilide, neocnidilide, senkyunolide A, ligustilide, which are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characteristic flavor of the Cnidium officinale M.. Especially, great amount of cnidilide and ligustilide was shown in sample of low temperature storage.

  • PDF

GC/MS에 의한 저장중 츄잉껌 향기성분 변화연구 (Changes of Flavor Components in Chewing Gum during Storag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신성기;김상호;이윤형;이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28
    • /
    • 1992
  • 츄잉껌 품질향상의 일환으로 저장기간 및 여러 가지 상대습도하에서 츄잉껌 향기성분의 변화를 GC/MS로 분석하였다. 츄잉껌 향기성분을 시료전처리로 포집하고 tetradecane을 내부표준용액으로 이용해서 각 성분과의 peak area ratio로써 향기성분함량의 감소량을 측정한 결과 저장초기에는 53% R.H 저장분 보다 33, 75% R.H에서 감소속도가 빨라으나 그 이후는 차이가 별로 없었으며 16주 후에는 $45{\sim}49%$의 잔존량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