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r components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4초

GC-MS를 이용한 씀바귀 및 좀씀바귀의 정유 성분 분석 (GC-MS Analyses of the Essential Oils from Ixeris dentate(Thunb.) Nakai and I. stolonifera A. Gray)

  • 최향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4-283
    • /
    • 2012
  •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e essential oils from Ixeris dentate (Thunb.) Nakai and I. stolonifera A. Gray were investigated.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by hydro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Ninety-thre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I. dentate (Thunb.) Nakai essential oil. Hexadecanoic acid(33.73%)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Z,Z,Z,)-9,12,15-octadecatrienoic acid(18.59%), 6,10,14-trimethyl-2-pentadecanonel(10.39%) and phytol(5.21%). Ninety-seven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I. stolonifera A. Gray. Hexadecano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39.7%), followed by (Z,Z,Z)-9,12,15-octadecatrienoic acid(12.63%), 9,12-octadecadienoic acid, ethyl ester(12.36%), pentacosane(5.2%) and 6,10,14-trimethyl-2-pentadecanone(3.18%). The volatile composition of I. dentate (Thunb.) Nakai was characterized by higher contents of phytol and phthalides than those of I. stolonifera A. Gray.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I. stolonifera A. Gray can easily be distinguished by the percentage of sesquiterpene compounds against I. dentate (Thunb.) Nakai essential oil.

오미자첨가 양파 발효 음료의 향미 특성 (Flavor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sandra chinensis Baillion) Added Onion Fermented Beverage)

  • 정은정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71-380
    • /
    • 2023
  • 본 연구는 오미자첨가 양파발효 음료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하여 양파발효 음료 개발의 산업화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미자첨가 양파발효 음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테르펜 유도체 화합물류 4종, 에스테르류 9종, 방향족 화합물류 5종, 알코올류 6종, 케톤류 7종, 알데하이드류 3종, 산류 11종, 함황화합물류 1종, 퓨란류 8종, 기타 1종 등 총 55종의 화합물이 동정 되었다. 전체적인 향기 성분의 함량은 산류가 37.8%, 퓨란류 29.0%로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산류 화합물에서는 양파의 초산발효를 통해 획득된 acetic acid 및 octano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퓨란류에서는 사과 농축액과 황설탕에서 기인된 woody향의 furfural 및 캐러맬 향의 5-(hydroxymethyl)furfural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발효음료의 양파향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2,5-dimethyl thiophene 함황화합물이 검출되었다.

Effect of Maillard reaction with xylose, yeast extract and methionine on volatile components and potent odorants of tuna viscera hydrolysate

  • Sumitra Boonbumrung;Nantipa Pansawat;Pramvadee Tepwong;Juta Mookdasanit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393-405
    • /
    • 2023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nhance the flavor of visceral extracts from skipjack tuna. Flavor precursors and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Maillard reaction were determined. The flavor extract was prepared from the tuna viscera using Endo/Exo Protease controlled in 3 factors; temperature, enzyme amounts and incubation time.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ducing tuna viscera protein hydrolysate (TVPH) was 60℃, 0.5% enzyme (w/w) and 4-hour incubation time. TVPH were further processed to tuna viscera flavor enhancer (TVFE) with Maillard reaction. The Maillard reactions of TVFE were conducted with or without supplements such as xylose, yeast extract and methionine. The Maillard volatile components were analyz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ixteen volatiles such as 2-methylpropanal, methylpyrazine, 2,5-dimethylpyrazine, dimethyl disulfide and 2-acetylthaizone were newly formed via Maillard reaction and the similarity of volatile contents from TVPH and TVFE were virtuali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integrated with heat-map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virtualize aromagram of TVPH and TVFE, odor activity value and odor impact spectrum (OIS) techniques were applied. According to OIS results,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1-octen-3-ol 2,5-dimethylpyrazine, methional and dimethyl trisulfide were the potent odorants contributed to the meaty, creamy, and toasted aroma in TVFE.

천궁(Cnidium officinale)의 휘발성 향기성분 및 유리기 소거활성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nidium officinale)

  • 이지혜;최향숙;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0-338
    • /
    • 2002
  • 건조방법이 다른 신선, 열풍건조, 동결건조 천궁(Cnidium officinale)을 대상으로 전자코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 분석 및 GC/MS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메탄올 및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상온 및 환류 추출로 얻어진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활성을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조방법이 다른 천궁의 휘발성 향기 패턴을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주성분 분석에서 제1 주성분값에 의해서 신선한 천궁과 건조시료간에 판별이 가능하였다. GC/MS에 의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신선한 천궁이 총 85종의 성분으로 가장 많은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열풍건조 시료가 64종, 동결건조 시료가 73종으로 신선, 동결건조, 열풍건조 시료순으로 확인 성분의 수가 많았던 반면, 총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은 동결건조 시료가 784.15 ppm으로 가장 높았고, 신선한 시료가 643.64 ppm, 열풍건조 시료가 218.15 ppm으로 열풍건조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았다. 천궁의 주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인 탄화수소류 및 phthalide류의 함량도 동결건조(383.70 ppm, 235.98 ppm), 신선(376.21 ppm, 134.05 ppm), 열풍건조(122.22 ppm, 69.00 ppm) 시료 순으로 확인되었다. 각 처리군에서 butyl phthalide, neocnidilide, 3-n-butyl phthalide 등의 phthalide류 및 sabinene, ${\beta}-selinene$, myrcene, ${\alpha}-pinene$, $trans-{\beta}-farnesens$, ${\gamma}-terpinen$ 등의 terpene류가 천궁의 주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향기성분은 서양요리에 쓰이는 셀러리의 주요 향기성분과도 유사하였다. 천궁 추출문의 유리기 소거활성을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동결건조 천궁의 methanol 상온추출물 500 ppm이 49.79%로 가장 높은 유리기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동결건조 시료의 ethanol과 methanol 상온 추출물은 250 ppm 이상의 농도에서 $25\;{\mu}M$농도의 ${\alpha}-tocopherol$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유리기 소거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류 추출의 경우는 상온추출물보다 유리기 소거활성이 낮았으며 동결건조 천궁의 ethanol 환류 추출물 500 ppm은 34.71%의 유리기소거 활성을 보였다.

분말가쓰오부시의 제조 및 풍미성분에 관한 연구 3. 분말가쓰오부시의 향기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Powdered Katsuobushi and Its Flavor Constituents 3.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Powdered Katsuobushi)

  • 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69-176
    • /
    • 1989
  • 분말가쓰오부시의 향기성분을 상압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한 후 중성구분, phenol성구분, 산성구분 및 염기섬구분으로 분획하여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을 장치한 고분해능 GC 및 GC-MS에 의해서 분리, 동정하였다. 전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약 300 ppm으로서 중성구분 $48\%$, phenol 성구분 $35\%$, 산성구분 $12\%$, 염기성구분 $5\%$로 이루어져 있었고, 관능검사결과 중성구분 및 phenol 성구분의 기여도가 컸다. 분말가쓰오부시 향기성분으로 총 68성분이 동정확인되었으며, 이 중 30성분이 중성구분으로 동정되었고 hydrocarbon류 8성분, aldehyde류 8성분, furan류 6성분, alcohol류 5성분 및 ketone류 3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phenol성구분은 phenol, guaiacol, dimethon phenol, eugenol 등 16성분, 산성구분은 propionic, butanoit isopentanoic, n-hexanoic, heptanoic, octanoic acid 등 12성분이 동정되 었고, 염기성구분으로는 pyrazine류 7성분, 2-methylpyridine, 2,4-dimethylthiazole 등 10성분이 동정확인되었다. 한편 분말가쓰오부시의 저급휘발성 carbonyl성분을 2,4-DNPH유도체로 만들어 GC로써 분석한 결과 ethanal, propanal, 2-methylpropanal, butanal, pentanal, 2-methylpentanal 등 8성분이 분리 동정되었다.

  • PDF

Aspergillus oryzae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 이택수;한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6-372
    • /
    • 2001
  • Aspergillus oryzae균을 파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GC와 GC-MS를 사용하여 분석 동정한 결과 ester 24종, alcohol 21종, acid 10종, aldehyde 9종, 기타 4종 등 68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일에 ester 13종, alcohol 12종을 비롯한 총 36종이었으나, 발효 2일에 ester 10종, alcohol 8종을 포함한 29종이 추가 검출되어 65종으로 증가되었다. 발효 12일에는 68종으로 향기 성분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eth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benzeneethanol등 alcohol류 12종,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 butyrate 등 ester류 13종, acetaldehyde, isobutyl aldehyde등 aldehyde 4종, pentanoic acid , acetic acid등 acid 6종 등 총 35종은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의 면적비율은 ethanol이 $79.86{\sim}89.54%$로 발효 전기간을 통하여 탁주 술덧에서 타 성분 보다 월등히 높았다. ethanol을 제외하고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면적비율이 높은 성분은 ethyl caprylate,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이었다. 이외 발효기간에 따라서 2-methyl-1-propanol, 1-hexanol, 2,3-butanediol(D.L), 1-dodecanol, 2-phenylethyl acetate, ethyl acetate, mono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 ethylbenzoic acid, acetic acid, isobutylaldehyde등의 성분도 동종 계열간의 향기 성분중 면적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 PDF

Aspergillus kawachii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 이택수;최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44-950
    • /
    • 2005
  • Asp. kawachii균을 파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담금 한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GC와 GC/MS를 사용하여 분석 동정한 결과 ester 22종, alcohol 20종. acid 10종, aldehyde 8종, 기타 3종 등 63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 일에 ester 13종, alcohol 13종을 비롯한 총 32종이었으나, 발효 2일에 ester 6종, alcohol 3종을 포함한 13종이 추가 검출되어 45종으로 증가되었다. 발효 12일에는 63종으로 향기 성분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Eth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benzeneethanol등 alcohol류 12종,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 butyrate 등 ester류 12종, acetaldehyde, iso-butyl aldehyde등 aldehyde 3종, octanoic acid, 1,2-benzenedicarboxylic acid 등 acid 2종, 총 29종은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의 면적비율은 ethanol이 72.18-91.32%로 발효 전 기간을 통하여 탁주 술덧에서 타 성분보다 월등히 높았다. Ethanol을 제외하고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면적비율이 높은 성분은 ethyl caprylate,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 이었다. 이외 발효기간에 따라서 2-methyl-1-propanol, 1-hexanol, 2, 3-butanediol(D.L), 1-dodecanol, 2-phenylethyl acetate, ethyl acetate, mono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 ethylbenzoic acid, acetic acid, iso-butylaldehyde 등의 성분도 동종 계열간의 향기성분 중 면적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닭의장풀의 건조방법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mmelina communis L.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0-386
    • /
    • 1995
  • 야생식용식물인 닭의장풀의 건조방법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음건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17종, 알데히드류 2종, 케톤류 1종, 알코올류 5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3종이 확인되었고, steaming 후 음건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14종, 알데히드류 7종, 케톤류 6종, 알코올류 4종, 에스테르류 8종, 유기산류 5종 및 기타 3종, microwave로 건조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11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4종, 알코올류 6종, 에스테르류 4종, 유기산류 3종 및 기타 3종, 동결건조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8종, 알데히드류 4종, 케톤류 2종, 알코올류 3종, 에스테르류 4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2종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steaming 후 음건시키는 경우 닭의장풀의 강한 내음이 상당히 남아 있었고 동결건조시킨 시료에서 케톤류 및 유기산류가 가장 적게 보여졌다. 본 실험에서는 다른 건조방법을 적용시킨 시료에 비하여 동결건조시킨 시료의 향기가 비교적 온후하였으며 향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솔잎(Pinus densiflora Sieb & Zucc)의 용매분획별 향기성분의 조성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Pinus densiflora Sieb and Zucc according to extracting solvents and steam distillation method)

  • 강성구;강성훈;최옥자;김영환;김용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3-408
    • /
    • 1996
  • 솔잎의 향기성분을 용매분획과 수증기증류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솔잎을 hexane, ethyl acetate 및 ethanol로 연속적으로 추출하였을 때, 29종의 향기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주요 성분은 hydrocarbon이었다. hexane 추출에 의한 솔잎의 주요 향기성분은 ${\alpha}$-pinene, ${\beta}$-thujene, trans-caryophyllene, ${\beta}$-cubebe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솔잎을 hexane으로 추출한 잔사에 ethyl acetate를 가하여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을 경우 추출된 향기성분은 ${\alpha}$-cubebene, 3,6,9,12,15-petaoxanonadecan-1-ol, camphene, 순으로 높았고, 솔잎을 hexane 및 ethyl cetate로 추출한 잔사에 ethanol을 가하여 분석한 경우는 ${\beta}$-D4-tetrahydropyran, ${\gamma}$-cadinene, 3-ethyl-1,4-hexadiene, ${\alpha}$-cubebene등이 주성분이었다. 솔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44종의 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hydrocarbon류가 주성분이었다. ${\beta}$-cubebene, trans-caryophyllene, 2-hexenal, T-muurolol, ${\delta}$-cadinene 순이었다.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방법으로 추출 하였을 때 용매분획 추출시 보다 더 많은 성분이 검색되었고, 용매분획에 따라 추출되는 향기성분의 함량과 조성은 차이가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도 향 기성분의 조성비가 다르게 나타났다.

  • PDF

Microencapsulation of Caramel Flavor and Properties of Ready-to-drink Milk Beverages Supplemented with Coffee Containing These Microcapsules

  • Kim, Gur-Yoo;Lee, Jaehak;Lim, Seungtae;Kang, Hyojin;Ahn, Sung-Il;Jhoo, Jin-Woo;Ra, Chang-Six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80-791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xtend the retention of flavor in coffee-containing milk beverage by microencapsulation. The core material was caramel flavor,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coating materials were medium-chain triglyceride and maltodextrin, respectively. Polyglycerol polyricinoleate was used as the primary emulsifier, and the secondary emulsifier wa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employed to determine optimum microencapsulation conditions, and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was used to detect the caramel flavor during storage. The microencapsulation yield of the caramel flavor increased as the ratio of primary to secondary coating material increased. The optimum ratio of core to primary coating material for the water-in-oil (W/O) phase was 1:9, and that of the W/O phase to the secondary coating material was also 1:9. Microencapsulation yield was observed to be approximately 93.43%. In case of in vitro release behavior, the release rate of the capsules in the simulated gastric environment was feeble; however, the release rate in the simulated intestinal environment rapidly increased within 30 min, and nearly 70% of the core material was released within 120 min. The caramel flavor-supplemented beverage sample exhibited an exponential degradation in its flavor components. However, microcapsules containing flavor samples showed sustained flavor release compared to caramel flavor-filled samples under higher storage temperatures.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coffee flavor microcapsules to coffee-containing milk beverages effectively extended the retention of the coffee flavor during the storage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