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anon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초

안개초(Gyposphila paniculata)로부터 Flavanone 3β-Hydroxylase 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Molecular Cloning, Sequence Analysis, and in Vitro Expression of Flavanone 3β-Hydroxylase from Gypsophila paniculata)

  • 민병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85-91
    • /
    • 2006
  • Flavanone 3$\beta$-hydroxylase (FHT)는 flavonoid 생합성 경로의 가장 중심부에 작용하는 효소로 flavanone으로부터 dihydroflavonol으로의 변환을 촉매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색소유전자의 전이를 통하여 새로운 색소발현체계를 가진 품종을 육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숙성안개초 (Gypsophila paniculata L.)의 꽃봉오리로부터 cDNA-library를 합성하였고 카네이션의 FHT 유전자를 probe로 사용하여 anthocyanin 합성경로의 중요 효소의 하나인 FHT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여 분리유전자의 크기가 1471 bp 이며 이 중 coding region은 1047 bp 임을 확인하였다. 이미 밝혀진 다른 식물체의 FHT 유전자와 서로 염기서열의 일치성을 비교해 본 결과 아라비돕시스, 오렌지, 카네이션, 고구마, 스톡, 페튜니아, 감자 및 포도에서 각각 69% 이상을 나타내었다. 분리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Northern blot분석 및 인위적으로 기내에서의 transcription과 translation을 수행하였고, 분리한 유전자의 효소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dihtydrokaempferol의 작은 peak을 확인하였다. Southern blot 분석의 결과 안개초의 FHT 유전자는 다른 대부분의 식물체와 유사하게 한 개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Uridine-Diphosphate Dependent Flavonoid Glucosyltransferase from Oryza sativa

  • Hong, Byoung-Seok;Kim, Jeong-Ho;Kim, Na-Yeon;Kim, Bong-Gyu;Chong, You-Hoon;Ahn, Joong-Hoon
    • BMB Reports
    • /
    • 제40권6호
    • /
    • pp.870-874
    • /
    • 2007
  • We cloned a uridine-diphosphate dependent glycosyl-transferase RUGT-10 from Oryza sativa. The recombinant enzyme was expressed by glutathione-S transferase gene fusion system in Escherichia coli. RUGT10 showed different regioselectivity depending on the structures of substrates (e.g. flavanone, flavonol, and flavone). Apparently, flavanone such as naringenin and eriodictyol gave one 7-O-glucoside while flavone and flavonol gave more than two products with preferential glucosylation position of hydroxyl group at C-3 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with Flavonoidal Constituents from Aerva persica

  • Ahmed Ejaz;Imran Muhammad;Malik Abdul;Ashraf Muhammad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343-347
    • /
    • 2006
  • A new flavanone Persinol (1) and the new flavanone glucosides persinosides A (2) and B (3), along with known flavonoids (4 and 5) have been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the whole plants of Aerva persica.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extensive analysis of nuclear magnetic resonance (1D & 2D-NMR) spectral data. All of them showed profou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DPPH and cytochrome-c-reduction assays using the HL-60 cell culture system.

한국산(韓國産) 분비나무와 구상나무의 형질분석(形質分析)과 종간유연관계(種間類緣關係) (An Analysis of Morphological Variation in Abies koreana Wilson and A. nephrolepis (Traut.) Maxim. of Korea (Pinaceae) and Their Phylogenetic Problems)

  • 장진성;전정일;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378-390
    • /
    • 1997
  • 국내 젓나무속의 분비나무와 구상나무를 중심으로 집단간 종간 주요 15개의 형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식별(identification)형질과 유별(classification)형질과의 관계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 PCA)과 유집분석(cluster analysis) 결과 종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는 형질로는 잎의 폭, 종자길이, 종자날개의 폭, 길이, 구과 폭, 실편의 폭, 포침의 길이였으나, 종간 형질의 최고-최저의 구간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서로 중첩되어 현실적으로 표본을 중심으로 한 종간 구분은 불가능하였다. 집단별로는 구상나무의 경우 지리산 집단이 구과의 크기와 포침의 길이가 큰 반면, 한라산 집단의 개체들은 대부분 종자크기(폭과 날개)와 실편의 폭 등이 다른 집단에 비해 컸으며, 덕유산 집단은 대부분의 형질이 왜소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젓나무속의 주요 식별형질로 인식되는 잎의 수지구 위치를 집단별로 조사하여 본 결과, 한라산 개체의 경우 구상(나무)형으로 인지되었으나, 지리산 개체의 경우 약 75%정도만이 구상형인 반면 덕유산 가야산의 경우에는 50% 이하가 구상형과 분비형으로 확인되어 두 집단의 일부개체는 분비나무와 구분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flavonoids 분석 결과, flavonol, dihydroflavonol, flavanone 등 3개군(群)의 flavonoids가 확인되었는데, 구상나무에서만 존재하는 flavanone(5-deoxyflavanone)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종간 차이점을 확인할 수 없었다. 구성나무의 경우 한라산과 지리산 집단에서 flavanone의 성분이 발견된 반면, 덕유산의 경우는 이 성분이 존대하지 않아, 화학적으로는 분비나무에 더 가까웠다. 오대산, 명지산, 치악산, 중왕산, 소백산에서 채집된 분비나무의 경우(설악산 집단의 일부개체 제외), 구상나무에서 발견된 flavanone 성분은 없었고 대신 분비나무의 특징인 dihydrokaemferol의 성분이 다량 존재하였다. 일본(日本)과 중국(中國), 대만(臺灣)의 25종의 flavonoids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구상나무에서 발견된 flavanone성분이 중국종(中國種) 중 수지구의 내형과 외형을 모두 가지는 운남성(雲南省), 사천성(四川省)의 A. faxoniana Rehder et Wilson(원시종으로 추측)과 운남성(雲南省), 사천성(四川省), 서장성(西藏省)의 A. georgei Orr에서 발견됨에 따라 수지구위치는 국내종의 경우 집단적 변이에 의한 반면, 중국(中國)에서는 종간 유연관계를 설명하는 주요 형질로 밝혀졌다. 정량적 형질을 중심으로는 분비나무와 구상나무를 식별할 수 있는 형질이 존재하지 않으나 수지구가 안쪽에 위치한 중국(中國)의 A. faxoniana와 A. georgei에서 구상나무의 특유성분인 flavanone이 발견되어 형태적으로 수지구위치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형질로 재확인되었으며 한국의 일부 집단에서 보이는 구상형 연속변이는 분비나무와의 잡종현상이나 또는 신생대 4기 때 분비나무와 구상나무의 유전자교합, 혹은 이입현상에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지구 위치 변이와 화학적 변이의 중간적 형태를 보여주는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지역의 집단유전구조 분석 후에나 그 실체가 밝혀질 것으로 기대되며 현재 연구중이다.

  • PDF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Flavanone-3-hydroxylase Gene from Rubus occidentalis L.

  • Lee, Seung Sik;Lee, Eun Mi;An, Byung Chull;Barampuram, Shyamkumar;Kim, Jae-Sung;Cho, Jae-Young;Lee, In-Chul;Chung, Byung Yeoup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1-128
    • /
    • 2008
  • Flavanone-3-hydroxylase (F3H) is one of the key enzymes for the biosynthesis of flavonals, anthocyanins, catechins and proanthocyanins. F3H catalyzes the $3{\beta}$-hydroxylation of (2S)-flavonones to form (2R, 3R)-dihydroflavonols. In this report, we isolated a full-length cDNA of RocF3H from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L.) using a reverse transcriptase-PCR and rapid amplification of the cDNA ends (RACE)-PCR. The full-length cDNA of RocF3H contains a 1,098 bp open reading frame (ORF) encoding a 365 amino acid protein with a calculated molecular weight of about 41.1 kDa and isoelectric point (pI) of 5.45. The genomic DNA analysis revealed that the RocF3H gene had three exons and two introns. Comparison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RocF3H with other F3Hs revealed that the protein is highly homologous with various plant species. The conserved amino acids ligating the ferrous iron and the residues participating in the 2-oxoglutarate binding (R-X-S) were found in RocF3H at the similar positions to other F3Hs. Southern blot analysis indicated that RocF3H exist a multi-gene family. The isolation of RocF3H gene will be helpful to further study the role of F3H gene in the biosynthesis of flavonoids in R. occidnetalis.

5종 생약(진피, 청피, 귤핵, 지실, 지각)의 Flavanone Glycoside 함량분석과 Peroxynitrite 소거효과 (Quantitative Analsysis of Flavanone Glycosides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Citrii unshiu Pericarpium, Citrii unshiu Semen, Aurantii Fructus, Poncirii Fructus))

  • 누그로호 아궁;박명곤;진성은;최재수;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0-375
    • /
    • 2009
  • Overproduction of peroxynitrite ($ONOO^-$) causes a variety of disease such as atherosclerosis, hypercholesterolemia, diabetes mellitus or obesity.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and HPLC analysis on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belonging to the genus Citrus, Aurantium or Poncirus (Rutaceae family) and HPLC analysis were taken to evaluate flavanone glycosides with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IC_{50}s$ of the five crude drugs were shown as follow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Jinpi, 18.3 ${\mu}g$/ml), Citrii unshiu Pericarpium (Chungpi, 7.50${\mu}g$/ml), Citrii unshiu Semen (Gyulhaek, >50.0${\mu}g$/ml), Aurantii Fructus (Jigak, 18.3${\mu}g$/ml), and Poncirii Fructus (Jisil, >50.0${\mu}g$/ml) where Korean crude drug's names are noted in the parenthesis.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flavanones or their glycosides usually contained in Citrus species were observed as follows: hesperetin (1.89 ${\mu}g$/ml), naringenin (7.77 ${\mu}g$/ml), hesperidin (8.44 ${\mu}g$/ml), poncirin (>50.0 ${\mu}g$/ml)and ponciretin(>50.0 ${\mu}g$/ml). The activities of naringin and poncirin with ${\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 moiety were weak. HPLC analytical data revealed that Jinpi (the peels of mature fruits of Citrus unshiu) and Chungpi (the peels of immature fruits of C. unshiu) had high quantities of hesperidin as the value of 142.1${\pm}$0.21 and 104.51${\pm}$1.10 mg/g dried weight, respectively. Poncirin was clearly detected in only Jisil and naringenin and naringin were not observed on the HPLC chromatogram of the five crude dru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