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t plate system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7초

Economics on Structural Floor Systems of Super Tall Buildings

  • 신성우;안종문;최명신;서대원;김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6권2호
    • /
    • pp.609-613
    • /
    • 2004
  • An economic analysis is one of the most dominant factors to determine the project feasibility of super tall building. In economic considerations, it is very important toadopt optimum structural floor systems because these are dependent on both the cost and the duration of construction. The economics affected by structural floor systems are more distinct athigher story. As the story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of floor system. is accumulated linearly, while the cost of lateral resisting system is increased geometr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al effects of super tall buildings through application of optimum structural floor systems. Three types of structural systems(RC beam-column frame, RC flat plate frame, and Steel frame) of super tall buildings having 50-storie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and compared to RC flat plate slab with other systems. Analytical result shows that RC flat plate slab using lightweight concrete ismost effective in both the cost and the duration of construction.

  • PDF

태양열 이용 냉난방 공조시스템중 평판형 집열기의 동계 상부 열손실 해석 (Analysis of the Top Loss Coefficient for Flat Plate Collector in a Solar Air-Conditioning System during Winter)

  • 김보철;최광환;금종수;김종렬
    • 태양에너지
    • /
    • 제18권3호
    • /
    • pp.15-24
    • /
    • 1998
  • 태양열 집열기의 열손실은 크게 3가지 즉 상부 열손실, 하부 열손실, 측부 열손실로 대별되나 단열이 양호한 집열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측면으로의 열손실은 무시한다. 측부 열손실을 제외한 두 열손실 중에서도 상부 열손실은 집열기의 대부분의 열손실을 차지하는 지배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태양열 집열기의 집열 성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부 열손실 계수를 정확하게 계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재생기)는 하계에는 제습 및 냉방을 행하고 동계에는 난방을 행하는 전천후 집열판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장치의 전환없이 겨울에 난방용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의 집열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옥외에서 실험을 하였다. 동계 기간 실험을 통하여 본 집열기의 상부 열손실 계수는 약 $3{\sim}4.5W/m^2^{\circ}C$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집열표면에 선택흡수막을 입혀서 난방용으로 사용하면 주위와의 복사 열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본 집열기의 집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ock-pile식(式) 집열기(集熱器)를 이용(利用)한 농산물건조(農産物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Drying of Agricultural Products by the Flat-plate Solar Collector with Rock-piled Heat Storage Medium)

  • 장규섭;김만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75-81
    • /
    • 1983
  • 태양열(太陽熱) 축열장치(蓄熱裝置)의 개발(開發)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태양열(太陽熱)의 축열매체(蓄熱媒體)로 돌을 이용(利用)한 평판집열기(平板集熱器)을 제작(製作)하여 집열기(集熱器)의 효율(效率), 총열전달계수(總熱傳達係數), 집열기(集熱器)에 의(依)한 상승온도등(上昇溫度等)을 분석(分析)하고 이를 열원(熱源)으로 벼와 고추에 대(對)한 건조실험(乾燥實驗)을 하였다.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 24.5%인 벼를 14.5%까지 건조(乾燥)시키는데 상온통풍건조(常溫通風乾燥)에서는 약(約) 18일(18日), 튜브형집열기(型集熱器)에서 약(約) 12일(12日), 평판집열기(平板集熱器)에서 약(約) 10일(10日)이 소요(所要)되었으며 통고추 건조(乾燥)의 경우 일광건조(日光乾燥)에서 약(約) 68시간(68時間), 튜브형집열기(型集熱器)에서 약(約) 38시간(38時間), 평판집열기(平板集熱器)에서 약(約) 36시간(36時間)이 소요(所要)되었다. 고추를 절단(切斷)하여 건조(乾燥)할 경우 수평(水平)으로 절단(切斷)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건조(乾燥) 과정중(過程中) capsanthine과 capsaicine성분(成分)의 변화(變化)는 건조방법(乾燥方法)이나 절단방법(切斷方法)에 따라 고추의 품질(品質)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정도(程度)는 아니라고 사료(思料)되었다.

  • PDF

초고층 주거용 건물 FLAT PLATE SLAB SYSTEM 시공 사례

  • 조순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141-147
    • /
    • 2002
  • I-PARK 삼성동 APT PROJECT는 무역센타에서 영동대교 사이의 구릉에 위치한 지상 46층의 주거용 건물로서 3개동 449세대로 구성되었고 각 동을 4세대 조합의 타워형으로 설계되었다. SLAB 구조 방식은 2방향 플랫 프레이트 구조(2WAY FLAT PLATE SLAB SYSTEM)로서 SLAB는 수직하중에 대한 기본적인 지지구조 역할 뿐만 아니라 주 골조 SYSTEM 구성 요소의 일부로서 풍하중 및 지진하중등의 횡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SLAB 구조 SYSTEM을 적용한 국내 최고 높은 건물로서 당 현장에 적용된 시공사례중 가설계획, 고강도 콘크리트, SYSTEM FORM, RE-BAR, 4-DAY CYCLE SCHEDULE 등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 PDF

초음속 충돌제트의 유동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of a Supersonic Impinging Jet)

  • 신필권;신완순;이택상;박종호;김윤곤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0-19
    • /
    • 1998
  • 초음속 부족팽창제트가 충돌할 때 유동장은 매우 복잡한 유동구조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음속노즐 출구 직경의 1.5배 거리에 경사각 $60^{\cire}$~$90^{\cire}$로 설치된 평판에 미치는 초음속 제트에 대해 쉴릴렌 장치를 이용하여 유동구조를 가시화 하였으며, 평판 위에 작용하는 압력분포를 측정하였고 감열지를 이용하여 평판 표면 유동을 가시화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간단한 방법으로 저마하수에서의 평판 유동을 가시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충돌제트의 유동구조를 규명하였다.

  • PDF

Liquid Crystal을 이용한 원형충돌분류의 전열특성 연구 (Heat Transfer on a Heated Flat Plate by an Impinging Round Jet Using Liquid Crystal)

  • 오승묵;이상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8호
    • /
    • pp.1566-157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원형수직 충돌분류에 의한 가열평판의 전열특성을 해석하기 위 하여 최근 표면온도 측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liquid crystal을 이용하였다. 즉 liquid crystal의 감온특성과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레이놀즈수 및 노즐과 충돌판 사이의 거리(L/D) 변화에 따른 전열면의 온도장 변화를 측정하였다.

평판 위에 충돌하는 초음속 과소팽창 제트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Supersonic Underexpanded Jet Impinging on a Perpendicular Flat Plate)

  • 이택상;신완순;이정민;박종호;김윤곤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53-61
    • /
    • 1999
  • 충돌제트는 미사일 또는 수직/단거리 이착륙기의 배기가스가 지면이나 화염 편향기 등에 부딪힐 때 발생하며 노즐의 형상, 노즐과 평판과의 거리등에 따라 유동양상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속 노즐을 통해 과소 팽창된 제트가 평판에 부딪힐 때 형성되는 평판 압력분포 및 버블 발생 등에 대한 시험결과를 선행된 충격파 풍동을 이용한 시험 결과와 비교하고 초음속 유동시험장치 이용시의 유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초음속 유동시험장치와 충격파 풍동의 평판에서 압력분포는 저압 챔버 내의 수분과 온도 때문에 차이가 나타났고 과소 팽창비에 따른 압력분포는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 PDF

평지붕 PV거치 시스템의 형태에 따른 풍압영향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Effect of the Wind Pressure according to Form on the Flat Roof mounted PV System)

  • 윤두영;이응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105-112
    • /
    • 2013
  • The new renewable energy became popular as a clean and sustainable alternative energ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entire world is facing severe abnormal climate due to the use of fossil fuel, and among which, solar energy can be obtained anywhere and is not difficult to apply it into the existing buildings, which makes it possible to be widely distributed. However, as PV module is installed into a single plate system, it shows structural weaknesses which are vulnerable to wind load and give loss to design elements in external appearance. Accordingly, this study planned one-step parallel system to complement the problems occurring from a single plate system and used STAR-CCM+ V.8 made by CD-Adapco,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simulation tool to measure wind load stability and support based on the design standards for a single plate system and one-step parallel system. Building height was limited to less than 10m and wind speed was given when increasing from 35m/s to 50m/s by 5m/s on PV system installed into the flat roof. In this case, our analysis suggested that step-one parallel system was in class 7-9 according to Beaufort's wind power classification, which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 fixed PV system, and the single plate system is considered to cause risks in designing wind speed in central districts because it is more than wind power class 12.

평만형 태양열 집열기 를 설치한 자연 순환식 급탕시스템 의 성능 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of Natural Circulation Hot Water System with Flat-Plate Solar Collectors)

  • 윤석범;전문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579-589
    • /
    • 1985
  • 본 논문의 모의 실험에 사용한 자연순환식 급탕 시스템과 지금까지 발표된 것 과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집열기의 집열성능 계산에 Close의 모델은 시스템의 평 균 온도를 이용하였으며, Mertol의 모델은 집열기의 성능을 일정하게 하여 자연순환식 급탕 시스템의 성능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Young의 모델은 집열기 입구 및 출구 유 체의 평균 온도로 집열기의 집열 성능을 계산하였다. Shitzer, Ong의 연구에서 밝혀 진 바와 같이 집열기 집열판의 온도와 유체 온도는 서로 다르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 것들에서 오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집열기 순환 유체의 평균 온도와 집열판의 온도를 해석적으로 구하여 집열기의 성능과 순환 유체의 성질 계산에 이용하였다.

배플판 형상이 다른 Gun식 가스버너의 난류유동 특성치 고찰 (Investigation on the Turbulent Flow Characteristics of a Gun-Type Gas Burner with the Different Shape of Baffle Plate)

  • 김장권;정규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8권4호
    • /
    • pp.475-485
    • /
    • 2004
  • This paper was studi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inclined baffle plate on the turbulent flow characteristics of a gun-type gas burner through X-Y plane and Y-Z plane respectively by using X-probe from hot-wire anemometer system. For this purpose, two burner models with a cone-type baffle plate and a flat-type one respectively were used. The fast jet flow spurted from slits plays a role such as an air-curtain because it encircles rotational flow by swirl vanes and drives mixed main flow to axial direction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baffle plate. The inclined baffle plate causes axial mean velocity component and turbulent intensities etc. to be greatly concentrated towards the central part of a burner, and its effect especially appears in the range of about X/R=1.0-2.0. Also, it gives much larger size to axial mean velocity component and turbulent intensities etc formed near the slits in the range of X/R=1.4103. Especially the inclined baffle plate shifts more the Reynolds shear stress uw to the central region of a burner(Y/R=${\pm}$0.75) than the flat-type one, moreover it develops more strongly than u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