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e surface area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17초

Epidemiologic Analysis of Burns in Military Hospital

  • Choi, Jangkyu;Park, Sejin;Kim, Hyun Chul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0권4호
    • /
    • pp.145-157
    • /
    • 2017
  • Purpose: We accessed epidemioloy of 908 acute burns (7 years) in the military, of injuries and propose proper educational programs to suit community. Methods: We surveyed burn demographics, circumstances of injuries, size, result of treatment. Results: The mean age was 20.6 years. The flame burns (FB) (325, 35.8%) were most common, followed scald (SB) (305, 33.6%), contact (CB) (219, 24.1%), electric (EB) (45, 5.0%) and chemical burns (ChB) (14, 1.5%). The more occurred during winter (29.7%). SB had mean 3.9% total body surface area (TBSA). The 251 (82.3%) had superficial burns by spillage of hot water/food on lower limbs (45.6%), feet (33.8%) in summer (34.8%), treated with simple dressing (92.8%). Morbidity rate was 5.6%; post traumatic stress disease (PTSD) (0.7%). FB had large wound (9.3% TBSA). The 209 (64.3%) had superficial burns by ignition to flammable oils (31.7%) and bomb powders (29.2%) on head/neck (60.3%), hands (58.6%) in summer (31.7%), autumn (30.2%). They underwent simple dressing (83.4%) and skin graft (16.0%). Morbidity rate was 18.8%; PTSD (10.5%), inhalation injuries (4.0%), corneal injury (3.7%), amputations (0.9%), and mortality rate (1.2%). CB had small (1.1% TBSA), deep burns (78.5%) by hotpack (80.4%) on lower limbs (80.4%). The more (59.8%) underwent skin graft. EB had 6.8% TBSA. The 29 (64.4%) had superficial burns by touching to high tension cable (71.1%) on hand (71.1%), upper limbs (24.4%) in autumn (46.8%). They underwent simple dressing (71.1%) and skin graft (24.4%). They showed high morbidity rate (40.0%); loss of consciousness (13.3%), nerve injuries (11.1%), neuropathy (8.9%), amputations (2.2%), and mortality rate (2.2%). Conclusions: The cook should wear apron over the boots during work. The lighter or smoking should be strictly prohibited during work with flammable liquids or bomb powders. Don't directly apply hotpack to skin for a long time. Use insulating glove during electric work. Keep to the basic can prevent severe injury and proper education is important.

실물 연소 실험이 진행된 비닐장판의 연소거동 및 탄화 패턴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ombustion Behavior and Carbonization Pattern of Vinyl Flooring on Which a Real-Scale Combustion Test Was Performed)

  • 조희수;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20-12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구획된 공간에 비닐장판을 깔고, 인화성 액체 50 ml를 뿌리고 실물 연소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소가 진행될 때의 연소 거동을 실시간 분석하였으며, 탄화된 비닐장판의 표면 및 단면의 탄화 패턴을 해석하였다. 휘발유에 착화되어 화염이 최성기에 도달하면 지속적으로 화염이 일어나는 영역, 간헐적으로 화염이 일어나는 영역, 플룸 영역 등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0 ml의 휘발유가 비닐장판 위에서 연소되는데 약 26 s가 소요되었으며, 달무리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등유를 비닐 장판 위에 동일하게 뿌리고, 가스 토치를 이용하여 착화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연소가 완료된 후의 비닐장판의 탄화 범위는 가로 600 mm, 세로 380 mm이며, 탄화 면적은 1,000 ㎟로 분석되었다. 탄화된 비닐장판의 표면은 열에 의해 코팅층이 탄화층으로 변형되어 더욱 딱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탄화된 비닐장판의 경계면을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단면을 분석한 결과 부풀림 현상이 확인되었고, 코팅층 하부의 흰색 경계층이 없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폐 카본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不純物 분리 제거 (Removal of Impurities from Waste Carbon Sludge for the Recycling)

  • 이성오;국남표;오치정;김선태;신방섭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0권3호
    • /
    • pp.51-59
    • /
    • 2001
  • 본 연구는 폐 카본 슬러지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품위 수성 카본을 제조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성 카본 슬러지는 NH$_3$를 제조하기 위해서 물의 불꽃 반응에 의해 수소가스를 생산하는 동안 부산물로써 다량 발생된다. 발생된 카본 슬러지는 황, 철, 애쉬 등의 다량의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어 탈수 후 일부 저품위 카본 원료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소각되어지고 있다. 고품위 수성 카본은 기능성 카본 블랙으로써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시 환경오염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오일블랙에 비해 3~5배의 가격이 비싸다. 고품위 수성 카본은 일반적으로 밧데리, 플라스틱 착색제, 전선피복 고무 첨가제 등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수성카본 슬러지를 전도체로써 사용하기 위해서는 99%이상의 탄소와 매우 낮은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어야한다 따라서 제품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되는 불순물의 제거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폐카본슬러지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분쇄, 자력선별. 부유선별, 초음파처리 등을 포함한 불순물 정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전도체로써 사용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애쉬0.01%, 철 0.01%, 황 0.3%이하로 대부분의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비표면적은 930 m$^2$/g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