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e spread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6초

Pool fire에서의 화염의 높이 계산에 관한 실험식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experimental equations on measurement of fire hight on pool fire)

  • 황운기;권창희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3
    • /
    • 2017
  • In this study, the height of the flame required to estimate the heat flow path and flame spread in pool fire has been applied by the empirical formula, but it is calculated without applying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parameters of the fire room. Until now, the height of the flame applied to pool fire was $l_F=0.235Q^{2/5}-1.02D$ in the Heskestad empirical formula, but accurate temperature calculation was not possible due to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which are not influenced by the flame height. Therefore, apply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round it can calculate the exact flame height, which can be applied to fire investigation and fire dynamics. The structure of the flame is divided into a continuous flame, an intermittent flame, and a buoyancy flame, but it is assumed that the flame height is calculated from the visual aspect to the intermittent flame reg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buoyancy flame is very low. The effect of heat of vaporization on the height of flame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flame heigh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around the fire room.

용접 불티 차단막 개발을 위한 섬유류의 적정 방염처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Suitable Flame Retardant to the Fibers for Welding Blanket Development)

  • 이근원;김관응;이두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8-55
    • /
    • 2002
  • 본 연구는 용접불티 차단막 개발을 위해 섬유류의 방염처리 후 화재성능 평가를 통해 적정한 방염 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재료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섬유류이며, 방염처리는 난연제와 방화도료를 사용하였다. 화재성능 실험은 한국과 일본 기준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방염처리된 섬유류는 방염 및 난연성능이 충분하였으며, 그들의 난연등급은 A급에서 C급으로 나타났다. 최소산소지수는 방염제로 처리된 모든 시료가 국제기준을 만족하였다. 용접불티 차단막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대 높이에 관계없이 난연 A급에서 C급의 성능을 가진 제품을,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난연 C급 성능을 갖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용접불티에 의한 화재확산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알루미늄 복합 패널의 수직 화염전파속도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Vertical Flame Spread Analysis of Aluminum Composite Panel)

  • 김일권;김봉찬;구인혁;서동구;임남기;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15-317
    • /
    • 2013
  • To analyze vertical fire spreadability of aluminum composite panel, real scale test of aluminum composite panel and fire retardant aluminum composite panel was conducted as well as analysis of domestic code, test and domestic reaserch resulted in following conclusion. Fire spread risk assessment of aluminum Composite Panel is impossible with the current regulations (Cone Calorimeter Test). It need to changes of regulatory and combustion expanded risk assessment and regulatory changes in the test methods need to be judged. Also, there is quite a big different between the general aluminum Composite Panel and semi-non combustible of aluminum Composite Panel. However it is also deemed to be danger when present in the sidewall to the top consisting of fire spread. From now on, it is needed the study about interpretation of fire spread and sidewall of vertical fire spread analysis not only experiments for aluminum Composite Panel.

  • PDF

필로티건축물의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시범시공 (Trial Construction for the Prevention of Fire Spread in Piloti Building)

  • 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7-88
    • /
    • 2019
  • In case of Korea, The Large-scale fire is consistently being such as 2015 Uijeongbu Fire, 2017 Jecheon Fire, 2018 Sejong Hospital Fire. Such a fire has a problem that the fire is spreading upper due to external flame spread. As a countermeasure the fire safety, the study about axial temperature prediction of external flame spread is consistently doing. But in korea, Vertical spandrel is specified as 40cm, and improvement is urgently needed. In this study, a repair material was selected to prevent the fire from spreading to a building where a flammable exterior material was installed and then pilot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Also, fire safety measures for buildings constructed with flammable exterior materials were examined.

  • PDF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연기 및 화염의 조기 감지 최신 연구 동향 (Survey for Early Detection Techniques of Smoke and Flame using Camera Images)

  • 강성모;김종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3-52
    • /
    • 2011
  •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초고층 건물들이 도처에 세워지고 밀집되어 있다. 이러한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면 발화지점 근처로 불이번지면서 대형화재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런 대형화재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화재를 미연에 감지하는 화재감지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불꽃감지기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감시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화염과 연기를 초기에 감지하는 화재감지 시스템의 최근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화염과 연기 감지 알고리즘들을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구현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초전형 삼파장 적외선식 불꽃감지기 신호회로 개발 (A Study on Signal Circuit of the Triple Pyroelectric Infrared Flame Detector)

  • 송현선;이의용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201-207
    • /
    • 2010
  • This thesis studies development of a triple pyroelectric Infrared flame detector to have appropriate reaction characteristics with proper operational features in various and radiant energy characteristics of fire sources, and to contribute to minimize the losses of human lives and properties by detecting fire in very early stage to restrict the spread of fire.

화재 실험을 통한 에어컨 실내기의 화염확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lame Spread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by Fire Tests)

  • 최승복;이승훈;최민기;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9-9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소 실험을 통하여 에어컨 실내기의 화염확산에 관한 형상을 관찰하여 화재원인 및 발화지점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실험은 화염이 주변으로부터 에어컨 상단에 옮겨 붙는다는 것을 가정하여 실내기 상단을 n-햅탄을 적신 천으로 착화시켰으며, 동일한 조건으로 2회의 반복실험을 하였다. 착화 후 559 s와 734 s 사이에 실내기와 연결된 냉매관이 파열되면서 내부에 충입되어 있던 냉매와 함께 윤활유가 커다란 폭음을 내며 고온 고압의 화염이 급격히 분출되었으며 연소 잔류물을 확인한 결과, 증발기 일부와 모터, 금속함 등을 제외한 대부분은 소실되었다. 에어컨 자체에서 발화되었을 경우와 외부 화염에 의해 소훼되었을 경우 배선의 합선흔적 위치는 유사하였다. 따라서 연소 잔류물의 형상만으로 발화원인과 지점을 특정 짖는 것은 불확실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RANZFIRE 모델에서 Flame Spread 적용성 검토 (Flame Spread Calculation in BRANZFIRE Model)

  • 박계원;정재군;김운형;김종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7-78
    • /
    • 2013
  • BRANZFIRE 모델은 가연성 내장재의 화재위험성을 평가하는 존모델이다. 내장재의 화염확산에 따른 화재성장모델을 공간화재에 적용하는 다실형 존모델로서 특히 ISO 9705 시험화재 시나리오 적용에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성장모델에서의 화원 및 공간특성 따른 열방출비율과 화염확산 예측 인자의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 PDF

필로티 건물 이격거리에 따른 화재확산 위험성 연구 (A Study on the Fire Spread Risk of Resident Buildings With Pilotis)

  • 최승복;최두찬;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103-110
    • /
    • 2017
  • 필로티구조를 가진 저층 위주의 도시형생활주택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필로티 공간은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어, 이에 따른 화재의 위험이 따른다. 특히 주차장과 같은 공간은 차량으로 인해 화재하중이 높기 때문에 화염의 분출길이가 길어진다. 또한 기둥으로만 구성된 필로티의 특성상 바람의 영향으로 화세가 거세져 화염이 주변으로 확산될 경우 같은 필로티 형태의 건물이 서로 인접해 있을 경우 때 건물로의 화염 확산 위험이 있다. 필로티 구조의 주택 대부분은 이곳을 통해 출 입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필로티가 막히면 입주자는 건물에 갇혀 유독가스 및 화염으로 부터 안전을 위협받게 된다. 필로티 구조 건물의 주차장이 서로 인접할 때 화염 확산 방지를 위해 일정한 간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필로티 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해야 옆 건물로의 화재 확산을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건물은 최소 3.0m 이상을 이격하여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