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xed bed adsorption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6초

작업현장의 환경조건에 따른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수명예측 -모사에 의한 정화통과 샘플관의 파과시간- (Prediction of Service Life of a Respirator Cartridge by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Simulation of Breakthrough Curve for Respirator Cartridge and Sampling Tube-)

  • 김덕기;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95
    • /
    • 1996
  • To predict the service life of an organic vapor respirator cartridge, the breakthrough curve of respirator was simulated using a fixed-bed adsorption model and compared with that of sampling tube. And the effects of bed porosity, length to diameter ratio and flow rate of the sampling tube were studied. The life time of respirator cartridge was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particle size and bed porosity. And the breakthrough time of sampling tube was affected by the flow rate, however not by the length to diameter ratio. The 10% breakthrough time of the sampling tube was corresponded with that of cartridge.

  • PDF

NaOH 활성화법으로 제조한 폐감귤박 활성탄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s by NaOH Activation)

  • 강경호;감상규;이송우;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1호
    • /
    • pp.1279-1285
    • /
    • 2007
  • The activated carbon was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s using NaOH. With the increase of NaOH ratio, iodine adsorptivity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ctivated carbon prepared were increased, but activation yield was decreased. The optimal condition of activation was at 300% NaOH and $700^{\circ}C$ for 1.5 hr. For the activated carbon produced under optimal condition, iodine adsorptivity was 1,006 mg/g, specific surface area was $1,356 m^2/g$, and average pore diameter was $20{\sim}25{\AA}$. From the adsorption experiment for benzene vapor in fixed bed reactor, it was found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was higher than that of activated carbon purchased from Calgon company.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could be used for gas phase adsorption.

산 처리 및 LiOH 첨착 활성탄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착 특성에 대한 연구 (Study of CO2 Adsorption Characteristics on Acid Treated and LiOH Impregnated Activated Carbons)

  • 한재욱;김대중;강민;김진원;김지만;이재의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312-3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원시 활성탄에 질산을 이용한 산 처리 또는 LiOH를 첨착한 후, 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흡착 특성을 수분의 공존 유, 무 상태에서 고정층 파과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질산 처리 및 LiOH 첨착에 따른 활성탄의 표면 성상 및 물리, 화학적 특성은 SEM, EDS, 질소 흡착, FTIR, XRD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질산 처리로 인해 원시 활성탄의 비표면적은 감소하였지만 활성탄 표면에서 산소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질산의 산화 반응으로 활성탄 표면에 탄소 및 산소 외에 질소를 포함한 새로운 관능기가 생성되었다. LiOH 첨착으로 인한 비표면적의 감소 폭은 질산 처리한 활성탄이 원시 활성탄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LiOH를 2 wt% 이상으로 첨착하면 상당 부분의 LiOH가 활성탄 세공 내부에 들어가지 못하고 외부 표면에 존재하였다. 고정층 파과 실험을 통해 질산 처리 및 LiOH 첨착량 증가에 따라 활성탄의 이산화탄소 흡착 성능은 향상되었다. 또한 공급가스 내에 수분이 공존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LiOH가 첨착된 활성탄에서 이산화탄소 흡착 후 LiOH는 화학반응에 의해 $Li_2CO_3$로 전환함을 확인하였다.

탄소흡착제에 의한 삼성분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ree-components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Activated Carbonaceous Adsorbents)

  • 손미숙;김상도;우광재;박희재;서만철;이시훈;유승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6호
    • /
    • pp.669-67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산업공정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방향족류의 toluene, 케톤류의 MEK, 알코올류의 IPA에 의한 삼성분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탄소계 흡착제에 대한 흡착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입상 활성탄,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단일흡착제와 입상 활성탄과 활성탄소섬유를 동시에 적용한 조합흡착제를 사용하여 흡착성능과 흡착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용 흡착장치를 사용하여 단일성분 및 삼성분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흡착파과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경우에 대해 흡착량과 흡착성능을 비교하였다. 입상 활성탄은 toluene의 단일흡착 시 높은 흡착성능을 보였으나, IPA, MEK의 단일성분과 삼성분계 흡착실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보였다. 활성탄소섬유와 조합흡착제는 단일성분 흡착결과에서 모두 우수한 흡착성능을 보였으나, 삼성분계 흡착의 경우에는 흡착제의 경제성과 흡착효율을 고려하였을 때 입상 활성탄과 활성탄소섬유를 동시에 적용한 조합흡착제가 흡착제로서 가장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del Predicitve Control of First Order Hyperbolic PDE Systems

  • Park, Jinhoon;Lee, Kwang-So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46.3-46
    • /
    • 2002
  • Most of the process control algorithms in practice are based on the finite dimensional control theory. However, many chemical processes are described by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PDE's) and are infinite dimensional in nature due to spatial variation. Especially when the convection is dominant and thus diffusion can be ignored, chemical processes that are described by a system of first order hyperbolic PDE's. Such processes include tubular reactors, fixed bed reactors and pressure swinging adsorption. Conventionally such infinite dimensional systems described by PDE's are controlled by finite dimensional controllers that are designed through finite dimensional reduction of the process m...

  • PDF

작업현장의 환경조건에 따른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수명예측(II) (Prediction of Service Life of a Respirator Cartridge by the Occupational Environment(II))

  • 김기환;김덕기;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72-78
    • /
    • 1996
  • The breakthrough curves of a sampling tube were studied to predict the service life of a respirator cartridge for organic vapors. The fixed bed adsorption model was applied to respirator cartridge and it's variables were calculated from tile experiment of sampling tube. By the experiment and simulation,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service life of a respirator cartridge, however, not adequate at low $CCl_4$ concentration less than 700ppm and at high air humidify. The breakthrough curves of sampling tube were irregular compare to that of respirator cartridge due to .packing density.

  • PDF

고정층 흡착탑에서 다성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활성탄 흡착 특성 (Activated Carbo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Multi-component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 Fixed Bed Adsorption Bed)

  • 조종훈;이시훈;이영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239-24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용활성탄 4가지를 사용하여 산업공정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톨루엔, isopropyl alcohol (IPA), ethyl acetate (EA), 3성분계를 대상으로 흡착특성을 고찰하였다. 고찰결과 3가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활성탄과 가장 친화력이 낮은 IPA의 파과점이 가장 짧았으며 다음으로 EA, 톨루엔 순으로 파과점이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파과점이 짧은 IPA를 기준으로 단일성분, 2성분, 3성분계의 파과점 변화를 고찰한 결과 성분 수가 많아질수록 파과점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친화력이 낮은 물질이 친화력이 높은 물질에 의해 치환되는 경쟁흡착에 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톨루엔-IPA-EA 3성분계 흡착에서는 IPA의 파과를 기준으로 흡착탑을 설계하여야 하며 실제 산업체에서 흡착탑을 설계하는 기준도 가장 친화력이 낮은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Zinc Aluminate 촉매를 이용한 고압연속식 고정층 반응기에서의 바이오디젤 제조 (Biodiesel Production with Zinc Aluminate Catalysts in a High-Pressure-Fixed-Bed-Reactor)

  • ;;김선욱;신은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1호
    • /
    • pp.189-193
    • /
    • 2008
  • 본 연구는 zinc aluminate 촉매를 사용한 고압연속식 고정층 반응시스템에서의 대두유와 메탄올의 transesterification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디젤 제조를 위한 고압 연속식 고정층 촉매 반응에서 반응 조건이 메틸에스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이 주로 조사되었다. 촉매가 없는 경우, 거의 모든 반응 조건에서 메틸에스터의 수율이 4.5% 이하로 매우 낮았지만, $300^{\circ}C$, 1,200 psi 조건에서는 19%의 메틸에스터 수율을 보여 주었다. 이는 반응 조건이 메탄올의 초임계점에 근접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촉매 반응에서는 무촉매 반응과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와 압력에서도 높은 메틸에스터 수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수율에 미치는 반응 조건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반응온도, 압력, 반응물에서 메탄올 몰비가 높을수록 높은 메틸에스터 수율을 보여주었다. 반응 변수 중에서도 반응온도가 메틸에스터 수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올라이트 13X와 실리카-알루미나의 흡착특성 비교 (Comparison of Adsorption Characteristics on Zeolite 13X and Silica-aluminar)

  • 이송우;나영수;안창덕;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29-736
    • /
    • 2011
  • This work is to compare the experiment results by a continuous fixed-bed adsorption of water vapor, acetone vapor, and toluene vapor on zeolite 13X (SAU) and silica-alumina (SAK). SAU and SAK have very different pore structure but similar composition as inorganic adsorb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y and specific pore size range were studied. Adsorption of water vapor was more suitable on SAU than SAK because SAU has relatively more developed pores around $5\;\AA$ than SAK in the pore range of $10\sim100\;\AA$. Adsorption of acetone vapor was more suitable on SAK than SAU because SAK has relatively more developed pores around $5\sim10\;\AA$ than SAK in the pore range of less than $10\;\AA$. Adsorption of toluene vapor was more suitable on SAK than SAU because SAK has relatively more developed pores in the pore range of $10\sim100\;\AA$ than SAK. Adsorption capacity of the adsorbent was closely related to the surface area generated in the specific pore size region. But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lationships between adsorption capacity and micro area, and the external surface area of adsorb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