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xation point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초

시각탐사에서 활성화 기반 전략과 공간적 전략 (Activation-based Strategy and Spatial Strategy in Visual Search)

  • 이강우;신명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149-151
    • /
    • 2014
  • 주의(attention)를 어떻게 할당하는가는 정신물리학뿐만 아니라, 컴퓨터 시각과정을 모델링하는데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다. 기존 연구는 saliency와 같은 활성화 값에 의해서 주의탐사 순위가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주의탐사과정을 병렬처리를 통한 활성화 값 추출과정과 순차적 처리를 통한 공간적 전략과정으로 구분하였다. 단서패러다임에 기초한 계산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인간의 수행결과를 AUC와 Levenshtein 척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Fixation point 비교에서는 인간과 활성화를 기반으로 한 계산모형의 수행은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주의궤적 혹은 scanpath 분석에서는 활성화기반 전략보다는 공간적 전략 모형이 더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이는 주의탐사과정이 병렬처리과정을 통해 얻어진 saliency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목표물간의 근접성 등의 공간적 전략을 통해 순차적 (sequential) 경로가 생성됨을 의미한다.

  • PDF

두개저 골절과 동반된 외상성 양측성 외전신경 마비 1례 (A Case of Traumatic Bilateral Abducens Nerve Palsy Associated with Skull Base Fracture)

  • 황정인;조진성;이승철;이정훈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1권1호
    • /
    • pp.66-69
    • /
    • 2008
  • Traumatic bilateral abducens nerve palsy is rare and is associated with intracranial, skull and cervical spine injuries. We report a case of bilateral abducens nerve palsy in a 40-month-old patient with a skull base fracture. The injury mechanism was associated with direct nerve injury caused by a right petrous bone fracture and indirect injury by frontal impact on the abducens nerve at the point of fixation to the petrous portion and Dorello's canal. The emergency physician should be aware of injuries and the mechanism of abducens nerve palsy in head trauma.

Analysis of the Effect of Mordants on the Degradation of Alizarin in Silk Dyed with Natural Madder Dye

  • Li, Longchun;Ahn, Cheunso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28-242
    • /
    • 2019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rdants on the degradation of madder dye in silk when silk was treated by the H2O2/UV condition as a laboratory simulation of burial induced degradation. Alum, iron, and alum/iron composite mordanting methods were applied to silk before dyeing with madder dye. Dye extracted from silk was examined using HPLC-DAD-MS analysis. The abundance of the chromatogram peak at 8.88 min retention time was used as the concentration of alizarin pigment in silk. K/S values, CIE $L^{\ast}a^{\ast}b^{\ast}$ values; in addition, Munsell HVC values were obtained using a spectrocolorimeter.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lizarin degraded most severely in silk mordanted by alum/iron composite mordanting than alum mordanting or iron mordanting. Mordanting with alum alone provided a relatively lower dye fixation at the point of dyeing; however, it provided a better survival of alizarin after 12 hours of degradation treatment.

시선추적을 이용한 카페 공간 마감재 차이의 시각주의력 특성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for the Different Type of Material Finishing in Cafe Space Using by Eye-tracking)

  • 최진경;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3-11
    • /
    • 201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intensionally changing eye - gaze on the cafe space images with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the Yarbus' experiment, he argued that changing information that an observer is asked to obtain from an image changes pattern of eye movements. Based on the scan path evidence, this research have questions as (1) the difference of visual attention on finishing floor material stimulus, (2) visual attention of initial activity time and type of movement paths on AOIs, and (3) visual relation floor area with another AOIs. Eye movements were recorded with the SMI REDn Scientific, which sampled eye position at 30Hz and lasted 2 minutes(120s). Although viewing was binocular, only the right eye was tracked. Of the 66 observers(mean age 22 years, standard deviation: ${\pm}1.82$)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done by the four point calibration and validation procedures at the beginning tasks. Analyzing qualitative data from the number of fixation and duration on AOIs divided into four parts (AOI I-Floor, AOI II-Wall, AOI III-Ceiling, and AOI IV-Counter) in the stimulus.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analyzed as follows. First, it was significant in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number of AOIs fixation times observed for the spatial image using the wood tile flooring material and the polishing tile. The wood tile flooring of stimulus had higher fixation number on AOI-II, AOI-III, and AOI-IV than the polishing tile. On seeing AOI-I was higher attention in the polishing tile stimulus. Second, the observers examined AOI-II intensively in both stimuli. However, the visual intensity was also followed by on the AOI-IV and AOI-I in the wood tile flooring stimulus, and on AOI-I, AO-IV in the polishing tile. Third, visual attention data on each AOIs have divided into the time range of "5 sec" for both images. In the wood tile stimulus,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followed by AOI-II, AOI-IV, and AOI-II. In the polished tile stimulus, the movement path followed by moving vertically to AOI-II, AOI-I, and AOI-II. This study approached meaningfully and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intentions of visual attention, the relationship pathways of visual mechanism appeared and also activated by eye-tracking experiments.

Safe Margin beyond Dens Tips to Ventral Dura in Anterior Odontoid Screw Fixation :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Scan of Odontoid Process

  • Sung, Min-Jae;Kim, Kyoung-Tae;Hwang, Jeong-Hyun;Sung, Joo-Kyung;Cho, Dae-Chu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4호
    • /
    • pp.503-508
    • /
    • 2018
  • Objective : Anterior odontoid screw fixation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odontoid fractures. The surgical technique is recommended for perforation of the apical cortex of the dens by the lag screw. However, overpenetration of the apical cortex may lead to potentially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damages of adjacent vascular and neural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ole of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CT) scan to evaluate the safe margin beyond dens tip to ventral dura for anterior odontoid screw fixatio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three-dimensional CT scans of the cervical spines in 55 consecutive patients at our trauma center. The patients included 38 males and 17 females aged between 22 and 73 years (mean age${\pm}$standard deviation, $45.8{\pm}14.2years$). Using sagittal images of 3-dimensional CT scan, the safe margins beyond dens tip to ventral dura as well as the appropriate screw length were measured. Results : The mean width of the apical dens tip was $9.6{\pm}1.1mm$. The mean lengths from the screw entry point to the apical dens tip and posterior end of dens tip were $39.2{\pm}2.6mm$ and $36.6{\pm}2.4mm$. The safe margin beyond apical dens tip to ventral dura was $7.7{\pm}1.7mm$. However, the safe margin beyond the posterior end of dens tip to ventral dura was decreased to $2.1{\pm}3.2m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afe margins beyond dens tip to ventral dura with patient gender and age. Conclusion : Extension by several millimeters beyond the dens tip is safe, if the trajectory of anterior odontoid screw is targeted at the apical dens tip. However, if the trajectory of the screw is targeted to the posterior end of dens tip, extension beyond dens tip may lead to damag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vental dura mater.

분할 정위방사선 치료 시스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System)

  • 이동한;지영훈;이동훈;조철구;김미숙;유형준;류성렬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1호
    • /
    • pp.9-14
    • /
    • 2002
  • 두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pedestal mounting system과 couch mounting system의 장점을 수용한, 새로운 형태의 분할 정위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두부 고정을 위한 프레임은 두랄루민으로 제작하였고, 카우치에 부착되게 하였다. 프레임 내에서 환자의 두부를 고정하기 위해 치아 고정장치와 3.2 mm 열프라스틱으로 전두부와 후두부에 마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정위 좌표 구현을 위한 전산화 단층촬영 localizer는 각 병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Brown-Roberts-Walls(B.R.W)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고 제작 단가도 낮추고자 하였다. 프레임 mounting system은 pedestal mounting system을 수정, 보완한 형태로 개발하였다. 시스템은 카우치를 지지하는 바닥 면에 고정되어 카우치에 부착된 프레임과 결합할 수 있고, 시스템과 카우치의 잠금 장치를 푼 채 자유롭게 x, y축으로 유동할 수 있다. 프레임 mounting system의 중심축은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포인터 형태로 제작하여, 치료기의 구동 정확성을 검증하는 정도 관리에 응용 가능하다. 개발된 시스템의 재현성과 정확도 검증을 위해 아크릴 팬텀과 포인터를 제작하였고,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에서 획득한 팬텀 내 목표점의 정위 좌표를 dial-gauge와 E.C.L 필름으로 검증하였다. 실험의 결과 x축 방향의 재현성 오차는 0.71$\pm$0.19 mm, y축 방향은 0.45$\pm$0.15 mm, z축 방향 재현성 오차는 0.63$\pm$0.18 mm로 나타났고, 최대 1.3 mm 이내의 우수한 재현성을 보였다. 연구 결과로 개발된 분할 정위방사선 치료 시스템은 재현성이 우수하고, 전체 중량이 가벼워 사용하기 쉽게 제작되었다. 특히 수정된 pedestal frame mounting system으로 설계되어 후두부 방사선 조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 PDF

Gross, organoleptic and histologic assessment of cadaveric equine heads preserved using chemical methods for veterinary surgical teaching

  • Rodrigo Romero Correa;Rubens Peres Mendes;Diego Darley Velasquez Pineros;Aymara Eduarda De Lima;Andre Luis do Valle De Zoppa;Luis Claudio Lopes Correia da Silva;Ricardo de Francisco Strefezzi;Silvio Henrique de Freitas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29.1-29.11
    • /
    • 2024
  • Background: Preservation of biological tissues has been used since ancient times. Regardless of the method employed, tissue preservation is thought to be a vital step in veterinary surgery teaching and learning.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usability of chemically preserved cadaveric equine heads for surgical teaching in veterinary medicine. Methods: Six cadaveric equine heads were collected immediately after death or euthanasia and frozen until fixation. Fixation was achieved by using a hypertonic solution consisting of sodium chloride, sodium nitrite and sodium nitrate, and an alcoholic solution containing ethanol and glycerin. Chemically preserved specimens were stored at low temperatures (2℃ to 6℃) in a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 specimens were submitted to gross and organoleptic assessment right after fixative solution injection (D0) and within 10, 20, and 30 days of fixation (D10, D20, and D30, respectively). Samples of tissue from skin, tongue, oral vestibule, and masseter muscle were collected for histological evaluation at the same time points. Results: Physical and organoleptic assessments revealed excellent specimen quality (mean scores higher than 4 on a 5-point scale) in most cases. In some specimens, lower scores (3) were assigned to the range of mouth opening, particularly on D0 and D10. A reduced the range of mouth opening may be a limiting factor in teaching activities involving structures located in the oral cavity. Conclusions: The excellent physical, histologic,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in this sample support their usability in teaching within the time frame considered. Appropriate phys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color, texture, odor, and flexibility) of the specimens in this study support the use of the method described for preparation of reusable anatomical specimens.

인산감수성(燐酸感受性)이 다른 대두엽(大豆葉)의 광합성(光合成) 호흡(呼吸) 평형(平衡)과 유리(遊離) 아미노산에 대(對)한 질소원(窒素源)의 영향(影響) (Effects of Nitrogen Sources on PRE-point and Free amino acids in Soybean Leaves different In Phosphorus Sensitivity)

  • 챨스 A. 스뚜디;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9-244
    • /
    • 1973
  • 대두(大豆)의 안산(燐酸) 감수성(感受性)과 관련(關聯) 엽(葉)의 광합성(光合性)-호흡평형점(呼吸平衡點)과 유리(遊離) 아미노산에 대(對)한 질소원(窒素源)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유리(遊離) 아미노산 함량(含量)은 암모니움 태(態)에서 최고(最高)였고 요소태(尿素態)에서 최저(最低)였다. glycine, serine, alanine과 특히 histidine이 암모니움태(態)에서 높았다. aspartic acid 는 초산태(硝酸態)에서 높았다. 광합성(光合性)-호흡평형점(呼吸平衡點)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에서 높고 초산태(硝酸態)에서 보다 암모니움태(態)에서 높았다.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에서 과잉흡수(過剩吸收)된 암모니움을 광합성(光合性) 회로(回路)에서 중간대사물(中間代謝物)을 탈취(脫取)하여 조해(阻害)하고 오탄당(五炭糖) 회로(回路)와 광호흡회로(光呼吸回路)가 활발(活發)해지며 인산감수성품종(燐酸感受性品種)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조장(助長)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축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the Change of Astigmatism Axis When the Fixation Point Moved Far Distance to Near Distance)

  • 주석희;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7-59
    • /
    • 2007
  • 이 연구는 원 근거리 상태에서의 난시 성분별, 연령별, 난시축의 분포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주시선이 이동 할 때 난시축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안질환이 없고 눈 수술의 경험이 없는 1,598안(남 698안, 여 900안)을 대상으로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 성분들의 변화는 전체난시에서 무변화안 1,020안 (63.8%), 변화안은 578안 (36.1%)을 나타냈으며, 직난시는 사난시로, 사난시는 직난시로, 도난시는 사난시로의 변화가 각각 가장 많았다. 각막난시에서는 무변화안 1,164안(72.8%), 변화안은 434안(27.1%)을 나타냈으며, 직난시는 사난시로, 사난시는 직난시로, 도난시는 직난시로의 변화가 각각 가장 많았다. 잔여난시에서는 무변화안 935안(58.5%) 변화안은 663안(41.4%)을 나타냈으며, 직난시는 사난시로, 사난시는 도난시로, 도난시는 사난시로의 변화가 각각 가장 많았다.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축의 회전은 전체난시의 경우 무회전이 761안 (48.5%), $10^{\circ}$ 이상 회전이 837안(52.3%)으로 나타났으며, 각막난시의 경우는 무회전이 846안(52.9%), $10^{\circ}$ 이상 회전이 752안(47%)으로, 잔여난시의 경우는 무회전이 614안(38.4%), $10^{\circ}$ 이상 회전이 984안(62.5%)으로 나타났다. 전체난시의 평균 회전 정도는 반시계방향으로 $31^{\circ}$, 시계 방향으로 $20^{\circ}$로 나타났으며, 각막난시의 평균 회전 정도는 반시계 방향으로 $25^{\circ}$, 시계 방향으로 $27^{\circ}$로 나타났다. 잔여난시에서의 평균 회전 정도는 반시계 방향으로 $33^{\circ}$, 시계방향으로 $35^{\circ}$를 나타냈다.

  • PDF

연령에 따른 원·근거리 난시의 굴절력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the Change and Distribution of Far Sighted and Near Sighted Astigmatism Power according to Age)

  • 주석희;박성종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36
    • /
    • 2007
  • 이 연구는 안질환이 없고 눈 수술의 경험이 없는 1,598안(남 698안, 여 900안)을 대상으로 양안 개방형 자동굴절검사 기기를 이용한 검사를 실시하여, 5세에서 67세 사이의 12개 연령 군으로 나누어 각각 원거리, 근거리 상태에서의 연령별 난시 굴절력 분포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주시선이 이동할 때 난시 굴절력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거리 난시의 평균 굴절력은 전체난시에서 직난시가 -0.79D, 각막난시에서 직난시가 -1.07D, 잔여난시에서 도난시가 -0.79D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거리에서 각막난시와 전체난시의 상관관계는 y=0.7493 x + 0.5661 r=0.6510, 잔여난시와 전체난시의 상관관계는 y=0.248 x - 0.5926 r=0.2598, 각막난시와 잔여난시의 상관관계는 y=-0.4439 x - 0.1813 r=-0.5551 을 나타냈다. 전체난시는 잔여난시보다 각막난시의 변화와 관계가 크며, 난시성분별 상관관계는 전체난시와 각막난시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거리 난시의 평균 굴절력은 전체난시에서 직난시가 -0.92D, 각막난시에서 직난시가 -1.12D, 잔여난시에서 도난시가 -0.87D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거리에서 각막난시와 전체난시의 상관관계는 y=0.6872 x + 0.5934 r=0.6204, 잔여난시와 전체난시의 상관관계는 y=0.303 x - 0.6066 r=0.3165, 각막난시와 잔여난시의 상관관계는 y=-0.46 x - 0.0626 r=-0.5322을 나타냈다. 근거리전체난시는 잔여난시 보다 각막난시의 변화와 관계가 크며, 난시성분별 상관관계는 각막난시와 전체난시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 성분별 굴절력 차이는 전체난시 $-0.07D{\pm}0.44D$, 각막난시 $-0.04D{\pm}0.54D$, 잔여난시 $0.01D{\pm}0.53D$ 차이로 잔여난시의 사난시를 제외하고는 근거리에서 대부분 난시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굴절력의 변화가 있는 경우가 전체난시 540안 (33.7%), 각막난시 638안(39.9%), 잔여난시 841안(52.6%)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