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and shellfish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4초

수리실험을 통한 요철형 인공어초 안정성 검토 (Hydraulic model test for corrugated artificial reef stability)

  • 백승화;신범식;김규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327-5332
    • /
    • 2014
  • 우리나라 연안생태계는 백화현상(갯녹음)에 의한 해조류의 감소와 어패류 등 어업자원의 감소로 인해 연안역의 황폐화에 직면해 있다. 새로운 유형의 인공어초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단면수조를 이용하여 새롭게 개발된 인공어초의 설치수심에 따른 재현파고, 주기, 흐름 등 외력을 변화시켜 요철형 어초의 안정 조건이 되는 한계치를 구하고, 설계외력(파랑, 흐름 등)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인공어초의 설계 및 실해역에 시공하기 위해 구조물의 안정성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는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조류 이식형 인공어초의 수리적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검토 (Experimental study on new artificial reef for hydraulic stability)

  • 신범식;정현준;김규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55-560
    • /
    • 2014
  • 우리나라 연안생태계는 백화현상(갯녹음)에 의한 해조류의 감소와 어패류 등 어업자원의 감소로 인해 연안역의 황폐화에 직면해 있다 새로운 인공어초의 새로운 유형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단면수조를 이용하여 새롭게 개발된 인공어초의 설치수심에 따른 재현파고, 주기, 흐름 등 외력을 변화시켜 해조류 이식형 어초의 안정 조건이 되는 한계치를 구하고, 설계외력(파랑, 흐름 등)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인공어초의 설계 및 실해역에 시공하기 위해 구조물의 안정성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는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다낭난소증후군 환자의 우울증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식습관과의 관련성 (Dietary intake, dietary habits, and depression in Korea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 김승현;김혜숙;박승희;황지윤;정혜원;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3호
    • /
    • pp.229-23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food intake patterns, and depression in Korea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a participant was depressed or not. The dietary habits were assessed by the Min-Dietary Assessment (MDA) method, and food intake data were collected by the 24-hour recall method on two non-consecutive days, at least 7 days apart, and the average of the two days was used to estimate the usual dietary intake. The total MDA scores of the Depress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Depression Group ($31.5{\pm}6.4$ vs $33.4{\pm}6.0$, p = 0.027). The intake of cereals/potatoes/sugar products, milk and milk products, plant protein, and calcium for the Depressio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No-Depression Group. The Depress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energy intakes from protein as well as the consumption of fish and shellfish compared to the No-Depression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milk and milk products consumption an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OR (95% CI) for the highest tertile compared to the lowest: 0.390 (0.177-0.857); p for trend = 0.016].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the consumption of the following: fish and shellfish [OR (95% CI) for the highest tertile compared to the lowest: 2.319 (1.128-4.770); p for trend = 0.009], animal protein (p for trend = 0.049), and the percentage of energy intakes from protein [OR (95% CI) for the highest tertile compared with the lowest: 2.546(1.156-5.609); p for trend = 0.025].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take of protein and of animal protein is indeed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PCOS patients in Korea and the possible mechanisms thereof. The results of our study can be applicable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nutrition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PCOS patients with depression as part of their successful treatment regimen.

한국 노인의 식사 섭취와 노쇠와의 연관성 연구: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frailty and dietary intake amongst the Korean elderly: based on the 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양수현;장원;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31-643
    • /
    • 2021
  • 본 연구는 제7기 3차년도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노쇠에 따른 영양소와 식품섭취의 차이를 분석하고 식품섭취와 노쇠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른 노쇠 유병률은 남성은 9.7%, 여성은 21.9%로 여성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성별에 관계없이 남녀 노쇠군은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 (MAR)와 18가지 식품군에 대한 총 식품 섭취량이 유의하게 적었다. 식품 섭취수준에 따른 노쇠와의 연관성은 남성의 경우 과일류 (OR [95% CI] = 0.34 [0.13-0.93])의 상위 3삼분위 섭취군이 하위 1삼분위 섭취군에 비해 노쇠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여성의 경우 어패류 (OR [95% CI] = 0.55 [0.30-0.99])의 상위 3삼분위 섭취군이 하위 1삼분위 섭취군에 비해 노쇠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식이섭취와 노쇠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남성의 경우 과일류 섭취가, 여성의 경우 어패류 섭취가 낮은 노쇠 위험과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 didyma (Gastropoda: Naticidae)의 수온과 염분 및 먹이에 따른 생존율과 성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Food on Survival Rate and Growth of the Bladder Moon, Glossaulax didyma didyma (Gastropoda: Naticidae))

  • 황규;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7-173
    • /
    • 2008
  • 본 논문은 수온과 염분 및 먹이에 따른 큰구슬우렁이의 생존율과 성장을 실내 수조에서 실험한 결과이다. 30일동안 사육한 수온별 생존율은 $15^{\circ}C$(50%)와 $20^{\circ}C$(60%)의 수조에서 $25^{\circ}C$(50%)와 $30^{\circ}C$(0%) 수조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실험기간동안의 총증중량은 $20^{\circ}C$에서 3.79 g, $15^{\circ}C$에서 3.13 g, $25^{\circ}C$$30^{\circ}C$에서는 모두 폐사하였다. 증중률은 $20^{\circ}C$에서 12.20%, $15^{\circ}C$에서 9.95%였으며, 일간 증중율은 $20^{\circ}C$에서 0.407%, $15^{\circ}C$에서 0.332%였다. 염분별 생존율은 30 psu(70%)와 35 psu(70%)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20 psu에서는 10%로 낮게 나타났으며, 10 psu와 15 psu에서는 실험시작 10일 이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총중량으로 산정한 실험기간 동안의 증중률은 35 psu에서 11.641%, 30 psu에서 9.766%, 25 psu에서 1.437%, 20 psu에서 0.896%였으며, 일간증중율은 35 psu에서 0.388%, 30 psu에서 0.326%, 25 psu에서 0.048%, 20 psu에서 0.030%였다. 총 60일간 사육한 먹이에 따른 큰구슬우렁이의 생존율은 새우류를 먹인 실험구가 62.5%, 패류를 먹인 실험구가 87.5%, 어류를 먹인 실험구가 75.0%로 패류를 먹인 실험구가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다. 총중량으로 산정한 실험기간동안의 총증중량은 조개류 급이군에서 6.63 g, 어류 급이군에서 1.68 g, 새우류 급이군에서 1.50 g의 순이었으며, 성장률은 조개류 급이군에서 15.001%, 어류 급이군에서 3.934%, 새우류 급이군에서 3.567%를 나타내었으며, 일?lt;봉揚껨 조개류 급이군에서 0.250%, 어류 급이군에서 0.066%, 새우류 급이군에서 0.059% 순으로, 조개류 급이군에서의 성장이 가장 좋았으나, 어류와 새우류 급이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낙동강(洛東江) 하류지역(下流地域)에 있어서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殺蟲劑)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On the Organe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Downstream Area of Nakdong River)

  • 유선재;박청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87-197
    • /
    • 1984
  • 낙동강(洛東江) 하류지역(下流地域)에서 낙동강(洛東江)물, 수도물, 토양(土壤), 저질(底質) 및 붕어와 뻘조개에 대(對)한 유기염소계살충제(有機鹽素系殺蟲劑) 농약(農藥)을 G.C-ECD로 분석(分析)하였다. 수중(水中) 잔류염소계(殘留鹽素系) 농약중(農藥中) 주(主)로 BHC만 검출되었는데, 이들 농약(農藥)의 잔류농도(殘留濃度)는 $ND{\sim}56ppt$로 공중보건(公衆保健)에 해(害)를 줄만 한 것은 아니다. 낙동강(洛東江)물과 수도물의 월별(月別) total BHC 농도(濃度)는 여름이 높고 겨울로 갈수록 낮았으며, 강수량(降水量)과는 약(弱)한 양의 상관성(相關性)을 나타냈다. 토양(土壤)에서 ${\alpha}-BHC$${\beta}-BHC$$ND{\sim}3.3ppb$$ND{\sim}769.7ppb$이었으며 저질(底質)에서 ${\alpha}-BHC$${\beta}-BHC$$ND{\sim}2.0ppb,\;ND{\sim}409.9bbp$이었다. 각(各) 지점(地點)에서 저질(底質)로의 total BHC 농축계수(濃縮係數)는 $83{\sim}3,218$이었고, 강열감량(强熱減量)과는 양(量)의 상관성(相關性)이 있었다. 붕어에서 ${\beta}-BHC$와 total BHC의 농축계수(濃縮係數)는 각각 2,619와 435 그리고 뻘조개에서 두가지 BHC 잔류성분(殘留成分)의 농축계수(濃縮係數)는 각각 3,261과 375였다.

  • PDF

측정방법에 따른 장염비브리오균의 검출율의 비교 (DIFFERENCES IN VIBRIO PARAHAEMOLYTICUS DETECTION RATIO BY ANALYTICAL METHODS)

  • 장동석;김영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4
    • /
    • 1978
  • 장염비브리오균 검사에 있어서 검출방법에 따른 검출율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지방을 중심으로 해수 298개 시료, 112개 시료, 패류 169개 시료 어류 80개 시료 총 659개 시료를 단일 시험관을 사용하였을 때와 다수의 시험관을 사용하였을 때, 원시료 또는 일단계희석하였을 때의 검출율를 비교 실험한 자료를 분석 검토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수에 있어서 10 ml를 접종 배양할 때에 장염비브리오균 음성인데도 같은 시료에서 1/100 는 1/1000로 희석한 시료에서 장염비브리오균 양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이토, 패류, 어류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2. 총 659개 시료 중에서 $52\%$에 해당하는 343개 시료가 장염비브리오균 양성으로 판정되었는데 이중희석하지 않은 시료에서 이 균이 검출된 것은 $22.5\%$인 149개 시료에 불과하였다. 시료별로 보면 해수는 $50\%$$24.5\%$, 이토의 경우는 $65.2\%$$28.6\%$, 패류에서는 $56.2\%$$22.5\%$에 불과하였다. 3. 최확수법에 의한 장염비브리오균 검출율은 단일희석법으로 측정했을 경우의 2배 이상이었다. 4. 3개 시험관을 사용한 최확수법에 있어서 제일 낮은 희석단계에서 양성으로 판정된 것은 $28.9\%$, 3개의 시험관 모두가 양성인 것은 $9.4\%$뿐이었다.

  • PDF

시판 수산식품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 1. 건제품의 위생지표 세균에 관하여 (BACTERIOLOGICAL STUDIES ON MARKET SEA FOODS 1.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in Sundried Sea Foods.)

  • 장동석;최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87-91
    • /
    • 1973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수산 건제품에 대한 위생지표 세균의 오염도를 파악하고 나아가서 식품의 위생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70년 9일부터 12월까지 부산시 남포동 건어물 시장과 충무동 어패류 처리조합에서 건제품 21종을 수집하여 위생지표 세균인 대장균군, 분변계대장균, 분변계연쇄상구균, 장구균 및 일반생균수를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 식품을 통하여 fecal strepococci나 enterococci는 coliform group이나 fecal coliform MPN보다 훨씬 높았다. 3, 일반적으로 enterococci MPN은 대부분 1,000이상이었으며 fecal coliform MPN은 18이하였다. 3. 대장균군의 중앙치는 78이었으며 분변계연쇄상구균은 3,300이었고 일반생균수의 중앙처는 $9.9\times10^4$이었다. 4.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과 접촉이 많은 제품은 다른 제품에 비하여 세균 오염도가 높았다. 5. 해조류의 세균 오염도는 어패류나 연체류에 비하여 매우 낮았다. 6, 각 위생지표 세균과 일반 생균수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 PDF

어패류에 오염된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emolyticus)에 대한 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 (Bactericidal Effects of Hypochlorous Acid Water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Contaminated on Raw Fish and Shellfish)

  • 김희연;최진경;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19-724
    • /
    • 2015
  • 넙치, 방어 어류 2종과 가리비, 참굴 패류 2종에 수산식품의 주요 식중독균인 장염비브리오균(V. parahaemolyticus)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와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넙치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 공히 1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결과, 약 4.0 log가 감소하였으며, 3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경우,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나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방어에 있어서도 넙치와 비슷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가리비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 공히 1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결과, 약 4.2 log가 감소하였으며, 3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경우에는 장염비브리오균이 검출되지 않아 강력한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참굴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 공히 1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결과, 약 3.8 log가 감소하였으며, 3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경우, 7.0 log가 감소하여,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넙치, 방어, 가리비에 비해서는 살균효과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어류 근육이나 가리비에 비해 참굴에 오염된 장염비브리오균에 대한 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것은 참굴의 표면 구조의 복잡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가속용매추출장치(ASE) 및 다층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어패류 중의 dioxin-like PCBs의 분석 (The Analysis of Dioxin-like PCBs in Fishes and Shellfishes using Accelerated Solvent Extraction (ASE) System and Multilayer Column Chromatography)

  • 오금순;박성수;정소영;소유섭;김정수;장승철;이종옥;김희연;우건조;서정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2-127
    • /
    • 2007
  • 식품 중에서 dioxin-like PCBs를 분석하기 위하여 가속용매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다층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어패류에 실제로 적용하여 그 오염수준을 조사하였다. 시료는 균질화하여 33 mL 추출 셀을 포함한 가속용매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산성 실리카겔, 중성 실리카겔 및 염기성 실리카겔이 연속으로 충전된 컬럼을 통과하여 지방 및 방해성분을 제거하였다. 기기분석은 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해능 10,000에서 4 window MID (multiple ion detection) mode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회수율은 94.1-104.1% (${\pm}8.4$)이었고 검출한계는 신호 대 잡은 비 (S/N)>3에서 0.1 pg/g이었다.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식품시료에 적용한 결과 dioxin-like PCBs의 오염수준은 0.030-1.836 pg TEQ/g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