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stborn fetu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대기오염 노출이 첫 출산아 저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1999년~2003년 출생코호트를 중심으로- (Air Pollution Exposure and Low Birth Weight of Firstborn Fetus -A Birth Cohort Study in Seoul, 1999-2003-)

  • 조용성;손지영;이종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7-234
    • /
    • 2007
  • Recent epidemiologic studies show that gestational exposure to air pollution adversely affects pregnancy outcomes including low birth weight in preform birth.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on LBW (low birth weight) on firstborn fetus throughout the gestational period using the birth cohort between 1999 and 2003 in Seoul. Using birth cohort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Korea we identified 288,346 firstborn births (excluded missing data on lack of information for birth weight and discordance between residential and certificated address from a total of 316,451) during 1999 to 2003 with complete covariate (gender, parity, date of birth, gestational age, parental age and educational level, maternal occupation etc.) and maternal residential history data. Our subjects were defined as more than 37 weeks and less than 44 weeks of completed gestation and we identified 5,457 persons (1.89%) by low birth weight (<2.5 kg) in this study. Using logistic regression, we estimated the risk of mean (entire pregnancy and trimester period)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for CO, $O_3,\;PM_{10},\;NO_2\;and\;SO_2$. In terms of trimester-specific exposure, we found that some air pollutants exposure in each trimester would increase the risk for LBW.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air pollutants exposure during the first and third trimester is higher than during the second trimester. In all trimester, the estimated risk of LBW was 1.831 (95% CI=1.573-2.132) with unit increase for CO, 1.139 (95% CI=1.107-1.172) for 50, and 1.009 (95% CI=1.001-1.017) for $O_3$. Our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during the gestation period to relatively low levels of some air pollutants may be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birth weight on first-born fetus. These findings implicate the effective risk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o minimize the public health impacts for pregnant women.

조선시대 왕실의 유아교육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Joseon Royal Family)

  • 육수화
    • 동양고전연구
    • /
    • 제32호
    • /
    • pp.311-362
    • /
    • 2008
  • 조선시대 왕실문화는 유교문화의 정수였고, 왕실교육은 유교교육의 최고봉이었다.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실현하는 선비이자 내성외왕(內聖外王)을 구현하는 치자로서, 유교의 이상적인 모델이자, 백성들의 모범이 되어야만 했던 것이 바로 조선의 왕이다. 때문에 왕위계승자들의 교육은 일반 사대부들보다 더욱 엄격하고 치열한 교육과정을 이수해야만 했고, 왕실구성원이었던 왕실자손들의 교육 또한 소홀히 할 수 없었다. 태교는 태아의 건강과 좋은 기질의 형성을 위해 산모가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과 몸가짐이다. 이는 애초 산모가 보고 느낀 것을 태아도 태내에서 감응한다는 한의학적 학설에 바탕을 둔 것인데, 유교적 수양론과 결부되면서 교육의 시작이요, 성품형성의 근원으로 여겨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원자와 원손의 교육과정은 왕위계승교육의 일환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아주 체계적으로 구축되었다. 대개 3세 이전에는 보양청(輔養廳)을 설치하여 보육을 담당하게 하였고, 이들이 글을 읽기 시작할 무렵이 되면 강학청(講學廳)을 설치하여 조기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이들을 제외한 다른 왕실자손들의 경우, 보양청은 설치되지 않지만 통상 6세가 되면, 종친부 주관으로 대군과 왕자군의 경우에는 강학청(講學廳)을, 왕손의 경우에는 교학청(敎學廳)을 설치하여 조기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조선왕실 유아교육은 왕위계승자와 왕실자손들 모두 "효경(孝經)" "소학(小學)"과 같은 초학단계를 마치면,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의 단계적 학습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교육과정 자체는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원자의 사부는 정 2품, 원손의 사부는 종 2품이며, 대군과 왕자군의 사부는 종 9품, 왕손의 교부 또한 종 9품으로 규정함으로써 그 위상에 있어서는 현격히 차등을 두어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