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m employment growth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growth rate on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SMEs) in Korea

  • Han, Jung-Hee
    • 벤처창업연구
    • /
    • 제1권1호
    • /
    • pp.105-125
    • /
    • 2006
  • This paper relates recent empirical research on the growth. Smaller and younger firms have been growing more quickly than larger and older firms, thus, generating proportionately more new jobs.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why small and medium firms receive so much attention. Because SMEs provide about 80 percent of private sector employment so SMEs performance is an important economic and social factor. Despite this, they are subject to higher risk and mobility than those at the large firms. This paper is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growth measured as growth in employment, sales and production and firms age, size and R&D investment. The growth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determinants is linked to industrial policy in Korea. Empirical results are based on an unbalanced panel data covering period 1999-2002. Result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rowth, size and age of firm.

  • PDF

고성장기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평가지표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terminants of High-growth Firms: Focusing on Technology Appraisal Indicators)

  • 김성태;홍재범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3호
    • /
    • pp.373-396
    • /
    • 2015
  • 본 연구는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자료를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3가지이다. 첫째, 현재 고성장 기업이 아닌, 향후 고성장기업으로 성장할 기업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둘째, 고성장기업을 매출과 고용 2가지 측면에서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즉, 매출증가와 고용창출에서 모두 고성장을 달성한 경우, 고용창출 측면에서는 고성장을 기록했지만 매출증가 측면에서는 저성장인 경우, 그리고 매출증가만 고성장을 달성하고 고용창출은 저성장을 기록한 경우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기술보증기금 기술평가모형(KTRS)의 기술평가지표를 설명변수로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의 수명주기상 위치가 적절하고 기술의 완성도가 높을 경우에는 향후 매출과 고용이 모두 고성장하고 있다. 기술인력관리가 잘 되는 기업은 고용측면에서는 고성장을 하지만 매출측면에서는 오히려 저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고성장기업이 주로 기술인력관리가 중요한 하이테크산업에서 발생될지도 모른다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이에 하이테크산업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하이테크산업에 속한 기업은 고용고성장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보였다.

기업의 ICT투자가 '고용 없는 성장'을 이끄는가? (Does the ICT Investment of Firms Create Jobless Growth?)

  • 심재윤;이종호;박수호;정우진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3호
    • /
    • pp.1-16
    • /
    • 2019
  • Jobless Growth, one of the most issue keywords for Korea's economy at this moment, stands for an economic situation where the unemployment rate once edging up at the downturn does not fall sharply even after a business cycle is on the stage of its recovery. A remarkable progress of ICT has intensified the apprehension of technology displacing human labor. A remarkable progress of ICT has intensified the apprehension of technology displacing human labor historically. Nowadays, ICT as the main cause for recent jobless growth in Korea ends up with pointing ou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CT leads to an economic situation of jobless growth. We serv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firm-level panel data from 2009 to 2013 and estimated the effects of ICT on both firm's employment and productivity. A result suggests not only does the employment increase with the rise of ICT investment, but also the employment becomes a complete mediator in terms of linking ICT and firm's productivity. It turns out to be a groundless fear that the ICT rules out human labor causing jobless growth for Korea's economy according to the result revealed.

제조업 고용구조변화의 특징 분석 (Structural Change and Employment in Manufacturing Sector -Polarization by Firm Size-)

  • 고상원
    • 기술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14-35
    • /
    • 1999
  • This paper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ce of structural change and the magnitude of employment growth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n OECD countries. To measure the pace of structural change, the compositional change index in value-added in manufacturing sector is introduced. For mid to long-term there seems to b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ace of structural change and the magnitude of employment growth. In those countries with higher value of the compositional index, the employment growth in manufacturing sector was generally higher.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change in manufacturing sector, this paper classifies manufacturing industries into groups: one based on technology, one on orientation, one on wages and one on skills.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manufacturing sector's employment patterns based on above four classifications are presented. International comparison suggests that Korean manufacturing sector move into jobs with more skills and knowledge The structural change of SMEs and large firms are compared based on above four classification methods. It is shown that SMEs' employment in low value sectors, that is low-technology, labor-intensive, tow-wage, and unskilled sectors, have risen faster than SMEs' employment in high-technology, science-based, high-wage and skilled sectors. Large firms' employment have been mainly increased in high value sectors. However, the employment growth of both large and small firms have been concentrated on production worker-intensively-using sectors, i.e. unskilled sectors. This widened the wage differential of production workers by firm sizes and concurrently led to severe shortage of production workers for SMEs, which has little ability to pay high wage to production workers because they usually belong to low-wage sectors. Korea need to push SMEs forward to high value sectors. The premise of that is, however, to pull large firms out of production worker-intensively-using sectors.

  • PDF

Institutional Quality, Regulatory Environment and Microeconomic Performance: Evidence from Transition and Non-transition Developing Countries

  • Ochieng, Haggai Kennedy;Park, Bokyeong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5권3호
    • /
    • pp.273-309
    • /
    • 2021
  • The development of regulatory systems varies between transition and non-transition economies. This suggests that they provide different incentives for entrepreneurial development and could have varied effects on the econom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methods to deal with market failure. However, limited empirical evidence exists to prove the assumption of dichotomy. Using comprehensive data for institutional quality, labor market and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this research sought to analyze their effect on employment growth at micro level. The results show that the quality of institutions in transition economies are poorer relative to those in non-transition economies, but their financial and labor markets are more developed than the latter. Further analysis for the transition sample shows that the three variables are individually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ment growth. For the non-transition sample, institutional quality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bear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enters the model with a negative coefficient when regressed alone, but a joint test of significance finds that all the variab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growth. This result could imply that there is interdependence between institutional quality, labor flexibility and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in firm-employment-growth relationship, or complementarity between regulations and the quality of institutions. Alternatively, this finding suggests that a stringently regulated credit market in non-transition economies have a selection effect-allocating credit only to entrepreneurs who already demonstrate strong growth potential. In sum, despite differences in the evolution of regulatory environment between the two samples, both of them complement employment growth at firm level. The overall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less rigid regulations and coherent policies that are enforced with impartiality provide incentives for firms to expand.

중소기업 R&D활동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R&D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R&D expenditures on SMEs' employ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R&D funding)

  • 배영임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3호
    • /
    • pp.75-8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 211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과 정부의 R&D투자, 정부R&D지원사업 참여경험이 기업의 고용증가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의 R&D투자와 고용증가율간의 관계에서 정부 R&D투자규모와 정부R&D지원사업 참여경험이 조절역할을 하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R&D투자와 정부R&D투자규모는 고용증가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부R&D투자는 기업의 R&D투자와 고용증가율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기업의 R&D 투자규모가 큰 기업과 작은 기업으로 나누어 정부R&D투자와 고용증가율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업의 R&D투자규모가 큰 기업군에서 정부R&D투자가 고용증가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R&D투자는 고용창출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혁신역량이 높은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R&D투자가 고용창출에 대한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부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에 따라 차별화된 R&D투자 전략을 통해 고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pecialization, Firm Dynamics and Economic Growth

  • Cho, Jaehan;Ge, Zhizhuang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3권2호
    • /
    • pp.169-202
    • /
    • 2019
  • Productivity in agriculture or services has long been understood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manufacturing. In this paper we present a general equilibrium model in which manufacturing growth is stimulated by non-manufacturing sectors that provides goods used in both research and final consumption. The model permits the evaluation of two policy options for stimulating manufacturing growth: (1) a country imports more non-manufacturing goods from a foreign country with higher productivity and (2) a country increases productivity of domestic non-manufacturing. We find that both policies improve welfare of the economy, but depending on the policy the manufacturing sector responses differently. Specifically, employment and value-added in manufacturing increase with policy (1), but contract with policy (2). Therefore, specialization of the import non-manufactured goods helps explain why some Asian economies experience rapid growth in the manufacturing sector without progress in other sectors.

한국내 외국인투자기업 투자지분율형태와 CEO국적에 따른 고용효과 분석 (A Study on the Employment Effect of Foreign Invested Companies in Korea by Investor Ratio Type and CEO Nationality)

  • 김경애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7-16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진출한 외국인투자기업의 투자지분율차이와 CEO국적별차이가 고용에 어떠한 차이를 미치는지 보기 위해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을 하기위해, 투자비중, CEO국적, 설립시기, 기업규모등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고용증가율(EMPG)을 종속변수로 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회귀분석하였다. INVRATIO는 투자비중을 나타내는 변수로서 1-0%<투자비중<50%, 2-투자비중=50%, 3-50%<투자비중${\leq}100%$을 나타내는 변수이며 CEO국적은 1-한국, 2-공동, 3-외국인을 나타내는 변수이다. 실증분석 결과 투자비중=50%, 50%<투자비중${\leq}100%$에서 0%<투자비중<50%보다 고용을 더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EO국적에 따른 고용행태를 실증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투자지분율형태와 CEO국적별에 따른 고용분석을 이론적 검토와 통계적 분석을 함으로써 대한(對韓) 외국인직접투자에서 고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고용에 있어서 향후 투자지분율을 현재보다 더욱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이라는 점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 PDF

기업의 무형화, 수익률 그리고 고용성장 (Intangibility, Profitability and Employment Growth of Firms)

  • 서한석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3호
    • /
    • pp.175-200
    • /
    • 2018
  • 본 논문은 무형화가설에 입각하여 기업의 무형자산비율의 증가가 고용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경제의 무형화과정에서 기업의 높은 수익률이 높은 고용성장률로 나아가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과 성장의 연결고리(nexus)가 견고하게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살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들이 당면한 실물투자와 고용의 정체가 어떠한 요인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KIS VALUE의 KOSPI 상장기업을 OECD의 산업분류법에 따라 5개 산업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분석기간은 1988~2017년이다. 추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화가 기업의 고용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통 제조업에서는 비유의적이지만, 2009년 이후 산업 전체적으로는 음의 유의적인 결과가 나왔다. 둘째, 수익률이 기업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은 무형화와 비슷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전통 제조업에서는 영향이 비유의적이지만 산업 전체적으로는 1988년 이후 2017년에 이르기까지 전 기간에 걸쳐 수익률의 고용성장률의 영향은 유의한 음의 값을 갖는다. 셋째, 수익률의 고용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무형화비율에 의해 좌우되고 있음을 수익률과 무형비율의 상호 교차항을 통해 확인하였다. 넷째, 위의 추정결과를 통해 무형화의 진전에 따라 (수익률 ${\rightarrow}$ 기업의 고용성장률)의 선순환의 연결고리가 사라지면서 음의 관계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고용과 투자정체현상이 무형화 경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확장적 수요정책보다 숙련공급과 무형화의 속도와 방향을 조율할 수 있는 산업정책이 더 효과적이다.

고성장 산업군의 발굴 및 육성전략 -가젤산업에 대한 시론을 중심으로- (Discovery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High-Growth Industries -Focusing on the Introductory Study of Gazelle Industry-)

  • 김대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821-2830
    • /
    • 2014
  • 본 연구는 빠른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고성장 산업군을 발굴하여 육성전략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성장 산업군을 가젤산업이라고 명명하고 '사업체당 종사자수가 10인 이상이면서 최근 5년간 Birch 고용성장지수로 측정한 고용창출 기여도가 모집단 전체의 상위 10% 이내인 산업'이라고 정의하였다. 가젤산업의 정의에 따라 충남의 가젤산업을 105개 선정하고, 전국대비 충남 가젤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해보고 충남도내 각 시 군간 경쟁력 차이를 분석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업체규모계수(BQ)와 산업성장률(IG)을 개발하고 산업발전단계 유형화 방법을 고안하여 충남가젤산업의 산업발전단계별 육성전략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