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cene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6초

소방기관의 조직 개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Fire Service Agencies)

  • 박경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2_2호
    • /
    • pp.279-284
    • /
    • 2023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at organization of fire service agencies, personnel management and firefighting activities. As a results, Many problems were found out, about ratio of administrative to firefighting personnel, retirement age, promotion, employment, Etc. T herefore, In order to carry out there mission faithful in disasters scene, We proposed that reduction of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firefighter, abolition of the employment system candidates for fire executive positions, reducing of the retirement age and changing of the promotion system.

The "Warm Zone" Cases: Environmental Monitoring Immediately Outside the Fire Incident Response Arena by Firefighters

  • Caban-Martinez, Alberto J.;Kropa, Bob;Niemczyk, Neal;Moore, Kevin J.;Baum, Jeramy;Solle, Natasha Schaefer;Sterling, David A.;Kobetz, Erin 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3호
    • /
    • pp.352-355
    • /
    • 2018
  • Hazardous work zones (i.e., hot, warm, and cold) are typically established by emergency response teams during hazardous materials (HAZMAT) calls but less consistently for fire responses to segment personnel and response activities in the immediate geographic area around the fire. Despite national guidelines, studies have documented the inconsistent use of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by firefighters at the fire scene. In this case-series report, we describe warm zone gas levels using multigas detectors across five independent fire incident responses all occurring in a large South Florida fire department. Multigas detector data collected at each fire response indicate the presence of sustained level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warm zone" of each fire event. These cases suggest that firefighters should not only implement strategies for multigas detector use within the warm zone but also include respiratory protection to provide adequate safety from toxic exposures in the warm zone.

119 소방차 출동 시 실시간 교통상황 분석 및 화재유형 인공지능 적용 연구 (Real-time traffic situation analysis and fire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 study when 119 fire trucks are dispatched Intelligence research)

  • 이한영;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2-224
    • /
    • 2022
  • 우리나라는 매년 2천껀이상의 화재와 매년 2천명 이상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AI드론이 소방차가 화재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실시간 영상 이미지판독 YOLO5를 사용하여 차량이나 입간판등을 판단하여 119소방차의 집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화재현장을 촬영하여 현장상황을 송출하고 연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유형을 판단하여 화재진압시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골든타임을 지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 PDF

소방공무원 건강장해 유해인자에 대한 실증연구 -화재진압대원, 구조대원, 구급대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Firefighters' Health Hazard Factors -Focused on Fire Fighters, Rescue Workers an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erception in Busan Fire Fighters-)

  • 권설아;이민규;박상호;김다영;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20-529
    • /
    • 2019
  • 이 연구는 부산시 소방공무원들의 건강장애 유해인자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건강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우선, 화재진압대원의 유해인자를 보면, 아무래도 화재현장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업무특성을 반영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위험성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음으로 화재 진압시에 추락위험을 높이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구조대원의 유해인자에서는 구조대원이 화재 현장이나 각종 사고현장에서 요구조자를 구조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현장 유해화학물질 위험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또한 구조현장에서의 추락위험을 두 번째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업무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구급대원의 유해인자를 보면, 구급대원의 교대근무의 위험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교대근무가 건강에 유해하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대목이다. 다음으로, 환자이송 과부하가 큰 유해요소로 꼽았다는 것은 그만큼 구급업무의 특성상 많은 이송환자들이 많아짐으로 인해서 각종 2차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구급현장 이송 중에는 빠르게 구급차량을 이동시켜야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도 유해요소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유해인자 인식 비교에서는 구조대원이 가장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업무 특성과도 연관되는데, 구조대원의 경우가 화재 등 각종 위험현장과 가장 근접하게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초고층 건물 화재에서 USN 메쉬 라우팅을 이용한 피난유도 시스템 설계 (Design of Fire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USN Mesh Routing in High-Rise Buildings)

  • 최연이;조인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78-286
    • /
    • 2008
  • 최근 대규모 및 초고층 복합 건물 화재에서 실시간 현장상황 파악 및 신속한 인명 구조와 구조대원의 안전한 생명 보장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기반 첨단 방재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논문에서 초고층 건물 화재의 특성과 위험성을 분석하고 단순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메쉬 라우팅을 이용한 피난유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우리의 연구는 센서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및 재난 발생시 실시간으로 화재 및 생존자 위치정보와 화재상황 정보를 감지하고 유도등과 연계한 메쉬 라우팅 알고리즘 기법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피난경로를 제시한다.

컬러와 동적 특징을 이용한 화재의 시각적 감지 (Visual Sensing of Fires Using Color and Dynamic Features)

  • 도용태
    • 센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1-216
    • /
    • 2012
  • Fires are the most common disaster and early fire detection is of great importance to minimize the consequent damage. Simple sensors including smoke detectors ar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but they are able to sense fires only at close proximity. Recently, due to the rapid advances of relevant technologies, vision-based fire sensing has attracted growing attention. In this paper, a novel visual sensing technique to automatically detect fire is presented. The proposed technique consists of multiple steps of image processing: pixel-level, block-level, and frame level. At the first step, fire flame pixel candidates are selected based on their color values in YIQ space from the image of a camera which is installed as a vision sensor at a fire scene. At the second step, the dynamic parts of flames are extracted by comparing two consecutive images. These parts are then represented in regularly divided image blocks to reduce pixel-level detection error and simplify following processing. Finally, the temporal change of the detected blocks is analyzed to confirm the spread of fire. The proposed technique was tested using real fire images and it worked quite reliably.

Compact near-eye display for firefighter's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 Ungyeon Yang
    • ETRI Journal
    • /
    • 제45권6호
    • /
    • pp.1046-1055
    • /
    • 2023
  • We introduce a display for virtual-reality (VR) fire training. Firefighters prefer to wear and operate a real breathing apparatus while experiencing full visual immersion in a VR fire space. Thus, we used a thin head-mounted display (HMD) with a light field and folded optical system, aiming to both minimize the volume for integration in front of the face into a breathing apparatus and maintain adequate visibility, including a wide viewing angle and resolution similar to that of commercial displays. We developed the optical system testing modules and prototypes of the integrated breathing apparatus. Through iterative testing, the thickness of the output optical module in front of the eyes was reduced from 50 mm to 60 mm to less than 20 mm while maintaining a viewing angle of 103°. In addition, the resolution and image quality degradation of the light field in the display was mitigated. Hence, we obtained a display with a structure consistent with the needs of firefighters in the field. In future work, we will conduct user evaluation regarding fire scene reproducibility by combining immersive VR fire training and real firefighting equipment.

휴먼 증강 소방헬멧 정보처리 시스템 인터페이스 연구 (A Study on the interface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n Human enhancement fire fighting helmet)

  • 박현주;이감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7-498
    • /
    • 2018
  • 화재 현장은 정전과 연기와 유독가스로 인해 열영상카메라 및 제논탐조등으로도 전방 가시거리 1m를 확보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화재현장의 연기입자를 분석해보면, 파장 $5{\mu}m$ 이하의 흰색 연기일지라도, 가시거리가 1미터 이상이 되면 기존의 열영상 카메라 등을 이용할 경우 전방시야 확보가 어렵다. 입자 파장 $5{\mu}m$ 이상의 검은 연기에는 화학소재와 가스, 물분자가 섞여 있어 단일 센서가 아닌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공간투과 센서 기술이 필요하다. 전방 안전시야 확보를 위해 연기투과 및 공간정보 가시화를 위한 라이다 센싱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2bit CPU코어 및 주변회로를 갖춘 정보처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또한 라이다 센서와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휴먼 증강 소방헬멧의 정보처리 시스템을 구현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 PDF

소방기관의 화재원인조사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s for Capacity Building of Fire Cause Investigation in Fire Stations)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08-118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화재조사관련 소방기관의 강점을 분석하고 화재원인조사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방기관의 화재조사역량 강화 방안은 화재조사 인원과 조직 및 장비의 보강, 수사권 확보 등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현재 소방의 잠재력과 강점을 살리고 내부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제시된 방안으로 1) 화재조사 결과는 소방행정의 토대인 만큼 소방서장의 화재조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전환 필요, 2) 관계자진술을 조기에 체계적으로 확보하는 화재조사체제의 구축, 3) 2회 이상 화재현장을 조사하는 실질적인 화재원인조사 체제의 구축, 4) 기계경비 또는 CCTV 등의 자료를 화재원인조사에 활용하는 화재원인조사 체제의 구축, 5) 화재조사를 고려한 화재진화 활동과 진화 후의 현장보존 체제의 구축, 6) 119구급대 및 구조대와 연계한 화재조사체계의 구축, 7) 화재조사 요원에 대한 사기앙양대책 강구 등이다.

소방시설의 화재진압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e of Utilizing Fire Facility in Fire Fighting)

  • 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44-1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들이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을 화재진압에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이를 이용하는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하여 파악하고, 문제가 있다면 개선방안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소방공무원들은 평소 사용하는데 익숙한 휴대 장비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었으며, 62%가 소방시설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한 경험이 있고, 활용한 소방시설은 옥내소화전이 42%로 가장 많았으며,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는데도 활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신속대응을 위해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32.5%로 가장 많았고,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을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한 개선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 매우 그렇다 및 그렇다고 답변하였다. 결론적으로 화재현장에서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 활용도의 변수로서 현장지휘자의 소방시설 활용에 대한 적극성, 소방시설활용 능력, 설치기준 및 구조의 용이성, 소방시설의 신뢰도에 대한 인식 등이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