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afety

검색결과 3,739건 처리시간 0.027초

이야기치료 기법을 활용한 마음상처 치유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효과분석 (A study on curing the wounded heart applications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by utilizing narrative therapy techniques)

  • 하태현;백현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7-2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치료의 원리와 과정을 참여자에 맞게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이야기치료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은 문제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문제에 스스로 대항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새로운 이야기를 찾을 수 있게 하여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발전시키게 한다. 따라서 이야기치료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은 참여자 스스로 문제를 벗어나 보다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청소년의 상처 난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으로 그들에게 익숙한 스마트 기기에 이야기치료 기법을 접목시켰다. 청소년들의 상처 난 마음은 성인이 되어서도 쉽게 치유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Doll & Doll의 이론을 토대로 해서 이야기 흐름을 관계형성 단계, 외재화 단계, 새로운 이야기 만들기 단계, 새로운 이야기 강화하기 단계 등 4 단계로 구조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치료 기법을 활용한 마음상처 치유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전북소재 대학생 30명에게 마음건강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마음건강에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의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분석 - 확률론적 최대지반가속도(PGA) (An Analysis of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in the Korean Peninsula - Probabilistic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 경재복;김민주;이상준;김준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2-6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의 고유한 지진-지체구조 특성이 반영된 입력자료를 사용하여 한반도의 확률론적 지진위험지도를 제작하는 것이다. 지진입력자료들은 다수의 전문가에 의해 제공받았으며, 최대지반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PGA)에 대한 지진위험도값은 USGS 지진재해도 프로그램(Harmsen, 2008)을 일부 수정하여 산출하였다. 전문가들로부터 제공된 지진입력자료들의 불확실성은 논리수목 방법을 적용하여 최종 지진재해도 계산에 반영하였다. PGA 분포 패턴은 각 전문가들이 제시한 면적지진원도 형상에 매우 민감하며, 그 형상과 유사한 모양을 보여준다. 지진위험지도는 5, 10, 20, 50, 100, 250, 500년 동안 초과확률 10%에 해당하는 최대지반가속도를 등치선 형태로 나타내었다. 모든 재현주기에서 황해도 일대를 제외한 북한지역이 남한지역보다 현저하게 낮은(약 50%) PGA 기댓값을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남한의 동남부 일대와 북한의 황해도 일대가 약간 높은 값을 보이면서 북서-남동 방향으로 등치도 값의 분포가 신장되어 나타남을 보인다. 또한, 강원도 북부 일대가 타 지역에 비해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주요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대성이 반영된 원자력발전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of Nuclear Power Generation Reflected in the Times)

  • 박철구;황철환;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483-491
    • /
    • 2017
  •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대성이 반영된 각종 잠재적 위험요소와 원자력(방사선)발전의 위험성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문 대상은 다양한 계층으로 하고 그 중에 총 293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잠재적 위험요소 중에서 화재에 대한 위험도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방사선 테러와 핵(원자력)에너지의 위험도를 다른 위험요소들에 비해 비교적 높게 인식하였다. 연령별, 학력별, 정치 이념 성향에 따른 분석에서 원자력발전의 필요성과 위험성, 안전성에 대해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정치이념의 성향에 따른 잠재적 위험요소와 원자력발전에 대한 인식은 보수적 이념집단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진보적 집단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치 이념의 성향에 따라 원자력발전 인식 분석에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원자력(방사선)발전 정책 방향 설정과 방사선 이용 관련 산업에 있어서 전문가 의견과 일반인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서 결정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고, 일반인도 사실을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에 입각해 각종 잠재적 위험과 원자력(방사선)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지 말고 유연한 대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1930년대에 전개된 경호 활동 고찰 (The Security Service History focused on 1930s in Korea)

  • 김은정
    • 시큐리티연구
    • /
    • 제19호
    • /
    • pp.23-41
    • /
    • 2009
  • 1930년대 경호 활동의 고찰을 통해 지금까지 경호사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실들을 네 가지 측면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만주의 한인 자치기관인 국민부는 재만 한인들의 공안을 담당하기 위해서 경호국과 경호분국을 설치했다. 그 후에 경호조례까지 제정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만주의 한인들이 가진 경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경찰 업무 중에 범인 호송을 위한 '차량 경호', 원활한 행정업무를 조성하는 면사무소 경호, 산불 벌목에 대비한 '임야경호단' 등의 다양한 경호 활동들이 등장했다. 당시의 경호활동은 신변보호에만 한정된 개념이 아니고, 보호와 안전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포괄적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각종 행사에서의 경호는 '만보산사건'처럼 정치적인 측면 외에도, 대중들이 운집하는 장소에서 안전 및 질서유지와 의전을 담당했다. 이를 통해, 1930년대 각종 행사에서 오늘날 사설 경호 활동의 모습과 유사한 점을 찾을 수 있다. 넷째, 언론에 반영된 해외의 경호는 구체적인 업무를 표방하는 다양한 사례들에서 이색적으로 나타났다. 당시의 경호는 직접적인 신변보호의 측면만이 아니라, 물건이나 유해물질에 관한 대처까지도 포함하는 통괄적인 보호 개념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보건계열학과와 비보건계열학과 학생들의 구강위생지식 및 관리 실태 (Oral Hygiene Knowledg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Care for the Students in the Public Health and non-Public Health Departments)

  • 이종도;신두만;박종탁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47-45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ral hygiene knowledg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care for the students in the public health and non-public health Departments. Methods: The survey sample consisted of 262 randomly selected students. 197 of them are public health-related students and 65 are non-public health-related student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4 items for general information, oral health status of 2 items, 5 items for Oral hygiene knowledge and actual condition of oral care of 5 item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rosstabs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Win 19.0 statistics program. Result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53.8% of first-year student, 26.0% of second-year student and 20.2% of third-year student among 52.3% of males and 47.7% of females. The subjects received less than "100,000" won(13.0%), "100,000-190,000" won (5.0%), "200,000-290,000" won(30.9%), "300,000-390,000" won (33.2%) and more than "400,000" won(17.9%) a month for an allowance. The subjects had 'none' (44.3%), '1'(6.5%), '2'(12.6%), '3'(5.0%), '4'(5.3%), 'more than' 5(0.8%) of dental caries and 'do not know' were 25.6%. The numbers of dental prosthetics were 'no' (35.5%), '1'(13.7%), '2'(17.2%), '3'(10.3%), '4'(11.5%), and 'more than 5'(11.8%). The public health students(84.8%) had a higher positive response rate than the non-public health students(66.2%). The public health students(80.2%) had a higher negative response rate than the non-public health students(78.5%) in the result of onset of gum disease pain awareness. The non-public health students(65.5%) had a higher negative response rate than the public health students(68.3%)) in the result of heredity of gum disease. The t-test showed that 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M=8.264, SD=0.821) had more knowledge about oral hygiene than non-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M=8.015, SD=1.082). 'do not use' in the oral care products except toothpaste and toothbrush showed that 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60.4%) use the products more than non-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66.2%). Conclusion: In this study, 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 had higher oral hygiene knowledge and actual condition of oral care compared to non-public health-related students, but low in practical action. Due to the lower level of dental care products use in non-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a continuous oral care education program is required.

An Improved Movable 3 photomultiplier (3PM)-γ Coincidence Counter Using Logical Sum of Double Coincidences in β-Channel for Activity Standardization

  • Hwang, Han Yull;Lee, Jong Ma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76-80
    • /
    • 2020
  • Background: To improve the measurement accuracy of liquid-scintillation counting for activity standardization, it is necessary to significantly reduce the background caused by thermal noise or after-pulses. We have therefore improved a movable 3 photomultiplier (3PM)-γ coincidence-counting method using the logical sum of three double coincidences for β ev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designed a new data-acquisition system in which β events are obtained by counting the logical sum of three double coincidences. The change in β-detection efficiency can be derived by moving three photomultiplier tubes sequentially from the liquid-scintillation vial. The validity of the method was investigated by activity measurement of 134Cs calibrated 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KRISS) with 4π(PC)β-γ(NaI(Tl)) coincidence counting using a proportional counter (PC) for the β detector. Results and Discussion: Measurements were taken over 14 counting intervals for each liquidscintillation sample by displacing three photomultiplier tubes up to 45 mm from the sample. The dead time in each β- and γ-counting channel was adjusted to be a non-extending type of 20 ㎲. The background ranged about 1.2-3.3 s-1, such that the contributions of thermal noise or after-pulses were negligible. As the β-detection unit was moved away from the sample, the β-detection efficiencies varied between 0.54 and 0.81. The result obtained by the method at the reference date was 396.3 ± 1.7 kBq/g. This is consistent with the KRISS-certified value of 396.0 ± 2.0 kBq/g within the uncertainty range. Conclusion: The movable 3PM-γ method developed in the present work not only succeeded in reducing background counts to negligible levels but enabled β-detection efficiency to be varied by a geometrical method to apply the efficiency extrapolation method. Compared with our earlier work shown in the study of Hwang et al. [2], the measurement accuracy has much improved. Consequently,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improved method suitable for activity standardization of β-γ emitters.

초장대 해저터널의 공사중 환기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 현황 및 개선필요사항 중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for temporary ventilation of long subsea tunnels - focu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 조형제;전규명;김종원;이주경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53-166
    • /
    • 2015
  • 일반적인 장대 철도터널에 비해 해저터널은 환기 및 방재를 위한 별도의 연직갱 또는 경사갱 설치에 공간상 많은 제약을 받게 되므로, 인공섬을 건설하여 환기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인공섬 설치에는 시공상의 문제 뿐만 아니라 건설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인공섬 설치를 최소화하여 환기구간 거리를 늘려야 한다. 이에 따른 환기거리의 증가시, 누풍에 의한 신선공기 공급량이 커지게 된다. 공급풍량이 과대해지면, 구조물 한계에 의해 설치가능한 덕트직경이 제한적이므로, 팬 정압 및 동력도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초장대 해저터널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하고, 시공중 터널내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초장대 해저터널에 적합한 공사중 환기 방식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연구로써, 국내외의 공사중 환기용량 산정방법 비교를 통해, 스위스의 SIA 196 코드가 초장대 해저터널계획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덕트 접속부의 누출에 관한 실험을 통해, 국내의 덕트 접속방식은 100 m당 누풍율이 1.5~3.0% 사이임을 확인하였다. S등급 덕트의 경우 환기가능거리가 10.2 km 이므로, 덕트의 접속방법을 개선한다면, 환기가능거리는 더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사중 덕트의 누풍개선이 초장대 해저터널의 공사중 환기의 주요 이슈임을 확인하였다.

장애아전문어린이집 피난훈련을 통한 피난행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vacua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hild Care Center through Evacuation Experiments)

  • 이정수;오영숙;권용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8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 아동을 전문으로 보육하는 2개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피난 훈련을 통해 피난 행태를 분석함으로서, 건축 및 피난 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의 입지여건은 소방서 및 119 안전센터로부터 반경 1Km 또는 5분 이내 위치하고 있으나, 건축 및 피난 환경은 시설 여건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장애 아동의 피난 행태는 장애 유형에 따라, 안고 피난하는 경우, 안고 걸리고 피난하는 경우, 휠체어 피난, 그리고 매트로 피난하는 경우 등 다양한 피난 행태를 보이고 있다. 셋째, 피난 거리 및 피난 속도 분석결과, 장애 아동을 안고 피난하는 경우, 안고 걸리면서 피난하는 경우, 그리고 휠체어 피난의 경우 등으로 속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수직 피난이 어려운 장애 아동의 경우, 소방관이 구난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임시 피난구역을 각 층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친환경 비스무스 필름 전극을 이용한 중금속 분석 최적조건 도출 및 현장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Field Application and Optimum Operational Condition for Heavy Metals Analysis Using Environment-Friendly Bismuth Film Electrode)

  • 김소연;양용운;전숙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7-142
    • /
    • 2011
  • 본 연구는 실험실 조건에서 비스무스 필름 전극(Bismuth film Electrode)을 사용한 양극산화벗김분석법(Anodic Stripping Voltammetry)에서 비스무스의 첨가 농도와 적정 전해질을 선택하여 최적 조건을 산출하고 최적조건을 기반으로 현장에서 중금속 모니터링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하였다. 비스무스(Bi)와 혼합중금속(Pb, Cd, Zn) 실험을 통해 정확한 중금속의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중금속보다 1:1 이상의 비스무스가 첨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해질 테스트에서는 0.1 M acetate buffer (pH 4.5), 0.1 M chloroacetate buffer (pH 2.0), 0.1 M HCl (pH 2.0), 0.1 M $HNO_3$ (pH 2.0) 중 0.1 M acetate buffer가 비스무스 필름전극을 이용한 중금속 분석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적용시, 중금속 표준용액 100 ppb 첨가 테스트 결과 Pb은 36~45 ppb, Cd는 84~91 ppb, Zn은 90~98 ppb가 측정되었다. 첨가한 중금속보다 낮은 농도로 중금속이 측정되는 것은 현장수 매질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추후 현장수 매질과 중금속 측정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ICT기술을 이용한 방재정보 관리의 환류기능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btaining Feedback Function of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Ko, Jaes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73-88
    • /
    • 2015
  • 최근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 등의 원인으로 인해 동남아시아와 북미, 남미 등 대륙 전반에 태풍, 홍수, 설해 등 대규모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그 동안 안전지대로 여겨졌던 지진과 해일 등의 위험성도 점차 커지고 있으며, 태풍, 홍수, 폭염, 폭설 등 재해유형도 다양화되고 있으며 피해규모도 대형화 추세이다. 또한 과거에는 지형적 특성 또는 기반시설의 미비에 따라 재해의 발생범위가 특정지역 또는 도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국토 전반에서 재해가 발생하고 있어 재해 예방을 위한 대비책이 시급한 현안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해 경감을 위해서 사전 예방적이며 소프트웨어 적인 측면에서 방재정보의 효율적인 환류기능의 확보방안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며 이를 위해 내용적, 과정적 그리고 상황적 측면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내용적 측면에서 방재정보 통신기반 구축, 도시 및 지역방재시스템 구축, 정보의 동시성과 공유성의 확보를, 둘째, 과정적 측면에서는 예방단계의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적극 활용, 대비단계의 방재정보 수집 및 분석력 강화, 대응단계의 의사결정 구조 및 현장 지휘체계의 개선, 복구단계의 복구체계 관련 정보화 촉진을 대안으로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상황적 측면으로는 방재정보관련 제도 정비, 방재업무별 영역성 확보, 상황판단능력 향상, 종합 및 환류기능 확보, 등을 통해 방재정보 관리의 효율적인 관리가 이뤄 질 경우 자연재해 경감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