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e-fish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섭취유지(攝取油脂)의 종류(種類)가 고(高)콜레스테롤식이(食餌) 흰쥐의 혈청(血淸) 및 간장(肝臟)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들깨기름과 말쥐치기름을 중심(中心)으로- (Influences of Dietary Fats and Oils on Concentration of Lipids in Serum and Liver of Rats on Hypercholesterolemic Diet -On the Perilla oil and the File fish Oil-)

  • 정승용;서맹희;박필숙;강진순;강정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5-81
    • /
    • 1986
  • w-3계 linolenic acid가 풍부한 들깨기름 및 EPA와 DHA가 함유된 말쥐치기름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지방산조성이 다른 몇가지 유지를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 식이하므로서 혈청 및 간장중의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은 전 시험군간에 있어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2. 혈청의총 cholesterol농도는 soybean oil perilla oil및 file fish oil 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cholesterol 농도는 file fish oil 식이군이 가장 높았으며, perilla oil 식이군도 약간의 상승효과가 있었다. 총 cholesterol에 대한 HDL-cholesterol의 비율은 file fish oil식이군이 가장 높았다. 3. 간장의 총 cholesterol농도는 전 시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file fish oil 및 perilla oil 식이군에서 약간 낮은 경향이었다. 4. 혈청의 triglyceride농도는 soybean oil 및 perilla oil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hospholipid의 농도는 file fish oil식이군이 가장 낮았으며, soybean oil 및 perilla oil식이군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5. 간장중의 triglyceride및 phospholipid의 농도는 전시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perilla oil식이군이 약간 낮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perilla oil 및 file fish oil은 혈청의 총 cholesterol, 및 phospholipid의 농도저하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쥐포의 지방산 조성과 Malonaldehyde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Malonaldehyde of Dried File Fish)

  • 엽조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19
    • /
    • 1980
  • To study the rancidity of dried file fish oil by Oxidation during the storage period, general properties of the oil and composition of its fatty acids were analysed qumtitatively with gas-chromatography.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dried file fish oil was involved in drying oil of heigh degree of unsaturation with IV 158., and consisted of higher-fatty acid with SV 190. 2) The composition of the fatty acids were composed of 18 fatty acids involving 6 unknown fatty acid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with docosapentaenoic acid(20 weight%). 3) Changes of malonaldehyde content during the storage of dried file fish were about 5.0 mg/kg after 10day, 3.4 mg/kg after 40 days.

  • PDF

말쥐치 단백의 효소 가수분해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File-fish)

  • 서형주;정수현;손종연;이효구;배송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78-683
    • /
    • 1996
  • Pronase 등 8개의 단백분해효소를 사용하여 말쥐치를 가수분해시 생성되는 펩타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 bromelain과 neutr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의 펩타이드 생성량은 4시간 가수분해시 6.13 mg/ml와 6.01 mg/ml로 높은 생성량을 보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생성량은 4시간 가수분해시 alcal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이 4.20 mg/ml로 높은 유리 아미노산의 생성량을 보였다. 가수분해도를 측정한 결과, 4시간 가수분해시 esp/sav와 alcalase의 가수분해물은 88.9%와 86.2%의 비교적 높은 가수분해도를 보였다. 또한 핵산관련 물질은 5'-GMP가 다른 핵산 관련물질에 비해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가수분해물의 펩타이드의 평균길이는 $8.5{\sim}14.5$로 bromelain에 의한 가수분해물이 가장 짧은 펩타이드 길이를 가진 반면, neutr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은 14.5로 가장 긴 펩타이드로 구성되었다.

  • PDF

모형정치망에 대한 방어 및 말쥐치의 행동 (Behavior of Yellow Tail , Seriola quinqueradiata and File Fish , Navodon Modestus to the Model Set Net)

  • 권혁사;이병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3호
    • /
    • pp.230-236
    • /
    • 1990
  • 정치망에 대한 방어와 쥐치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 동해안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낙망의 1/30크기의 모형정치망을 망지로서 제작하고, 이것을 수면조도 1 lux정도의 실내에 설치된 가로.세로 700cm, 깊이 100cm, 수심 70cm의 수조에 고정했다. 공시어는 정치망에서 어획된 전장 37~45cm짜리 방어와 18~21cm짜리 쥐치이며, 이것을 3~20마리씩 방류하여 통그물에의 입망수, 탈출수 등을 1분 간격으로 조사하고 10분간 누계하여 검토한 결과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방어는 통그물 입망율은 그다지 크지 않으나 원통 입망율은 상당히 크다. 유영궤적은 비교적 원활하며, 입망도 잘하나 탈출도 잘하므로 정치망을 설계할 때는 입망하기가 다소 어렵더라도 탈출하기가 쉽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것 같다. 2. 쥐치는 통그물 입망률은 방어보다 크나 원통입망률은 매우 낮다. 유영궤적은 원활하지 않고 꼬불꼬불 원형으로 맴돌면서 전진하므로 입구가 넓은 헛통에는 잘 입망하나 원통에는 잘 입망하지 않는 것 같다. 따라서 쥐치를 주대상으로 하는 정치망을 설계할 때는 특히 등망부분을 조금 넓게 하여 군이 맴도는데 지장이 없도록 해주는 것이 유리할 것 같다. 3. 방어나 쥐치의 어느 경우에도 원통탈출율은 거의 0이고 헛통탈출율도 거의 10% 이하여서 낙망이 상당히 효과적인 어구임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명태피 및 말쥐치피를 이용한 피교의 최적가공조건과 품질에 대하여 (CONDITIONS FOR ALASKA POLLACK AND FILE FISH SKIN GLUE PROCESSING AND THE QUALITY OF PRODUCT)

  • 이응호;하진환;허우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1977
  • 수산물 가공시의 부산물인 어피, 어두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선 어피를 원료로 피교를 가공할 때의 최적조건 및 제품의 이화열적 특성을 실험하고 아울러 제품의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 어체중량에 대한 피의 수율은 명태피가 $4.6\%$, 말쥐치피가 $5.0\%$였다. 명태피교 최적가공조건은 알칼리 용액 3시간, 침지용액의 알칼리농도 $0.1\%$, 첨가수량은 명태피 중량의 3배, 추출온도 $70^{\circ}C$, 추출 시간 3시간, 추출용액의 pH 5.0이었고, 말주치피교 최적 가공조건은 알칼리용액 침지시간, 침지용액의 알칼리농도, 추출농도, 추출시간 및 추출용액의 pH는 명태피교의 가공조건과 같이 첨가수량은 말쥐치피 중량의 5배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명태 및 말쥐치피교제품의 단백질 함량은 각각, $98.0\%,\;96\%$이었으며, 다른 일반성분 의 조성도 시판 gelatin과 비슷하였다. 명태와 말쥐치피교 제품의 점도는 5.84 및 5.79였고, 융점은 $21.8^{\circ}C$$25.0^{\circ}C$, 응고점은 $7.1^{\circ}C$$7.4^{\circ}C$이었고, jelly강도는 10.0g 및 11.6g이었다. 색도와 탁도는 명태피교 제품이 말쥐치피교 제품보다 약간 좋았다. 그리고 구성아미노산 조성으로 보아 추룰잔사도 사육원료로서 손색이 없었다. 또한 피교제품의 총아미노산에 대한 개별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시약급 gelatin과 거의 같았다.

  • PDF

어유혼합경유의 균일액상 생성영역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Uniform Droplet Production Regions of Light Oil Blended with Fish Oil)

  • 장재은;안수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8권2호
    • /
    • pp.164-170
    • /
    • 1992
  • In order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spary combustion,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sintegration mechanisms of liquid jet. To understand the disintegration mechanisms of liquid jet, the disintegration phenomena and uniform droplet production regions of testing liquid jet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longitudinally vibration capillary nozzle, which was injected the testing liquids. The testing liquids were light oil and light oil and light oil blended with 25wt% fish oil (File fish oil, Sardine fish oil, Alaska pollac oil)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uniform droplet phenomena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apillary tube, the jet veloc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esting oils. 2. Within the region of uniform droplet, Reynold number was increased as Weber number increases. 3. The lower limit of wave length in which uniform droplet was produced 0.8d which was lower than Rayleigh wave length 4. The light oil blended with file fish oil which has lower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had the widest uniform droplet production region on the frequency and velocity among testing oils. But light oil blended with sardine fish oil were similar with light oil in the uniform production region.

  • PDF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쌀-대두단백-쥐치어 혼합물의 압출성형 최적화 (Optimization for Extrusion-Cooking of Rice-ISP-File Fish Mixtur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42-1747
    • /
    • 2004
  • 쥐치어의 이용을 다양화하기 위하여 분리대두단백과 쌀가루를 첨가하여 원료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20∼30%로 조절한 후 단축스크류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출성형으로 조직화 단백질을 제조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으며 쌀가루함량, 토출구온도 및 원료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압출성형물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쌀가루함량이 증가하면 팽화율이 증가하므로 재흡수율은 높아지는 반면 밀도는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재흡수율과 밀도는 서로 유의성 있게 반비례하는 상관관계 (p<0.01, R=-0.742)를 보였다. 육안적인 관능검사방법은 조직잔사지수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p<0.01, R=0.489)를 보였으므로 비교적 조직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관능검사와 재흡수율의 상관관계(p<0.01, R=0.507)와 밀도와의 상관관계(p<0.001, R=-0.596)가 각각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압출공정에서 토출구의 온도가 13$0^{\circ}C$ 이상에서 최적의 조직화가 형성되었다.

건어육 저장중의 온도와 수분활성에 따른 지방의 산화속도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Dried Fish Meat Sto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Water Activity and Temperature)

  • 유병진;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3-93
    • /
    • 1982
  • In this work, lipid oxidation and the kinetics of the oxidation reaction in fried file-fish meat were investigated when sun-dried file-fish was stored under the conditions of various water activities and temperature, 35, 45, 55 and $35/55^{\circ}C$. The storage st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browning by oxidative rancidity were also discussed. Monolayer coverage value of water content in dried file-fish was $8.03\%$ at $0.21\;a_w$Lipid oxidation at $35^{\circ}C$ was developed with increasing water activity but at $45^{\circ}C$and $55^{\circ}C$ it was rapidly progressed without clear differences between water activities except $0.44\;a_w$. The rate of reaction was more sensitive to storage temperature than to water activity. Browning in methanol-chloroform fraction was developed linearly by the progress of lipid oxidation which suggested that lipid oxidation was greatly influential to the development of browning in dried fish meat. In kinetical analysis the oxidation followed a zero order reaction mechanism as a function of carbonyl value. The activation energies obtained from the Arrhenius plot ranged 9.0 to 10.8 Kcal/mol and $Q_10$ values, 1.6-1.7. Shelf-lives at the storage of 35,45 and $55^{\circ}C$ ranged 58 days to 8 days. And in the fluctuating temperature storage at $35/55^{\circ}C$, shelf-lives were 17, 16, 15 and 13 days at 0.44, 0.52, 0.65 and $0.75\;a_w$, respectively. The shelf-lives for assessed from the accelerated shelf-life test were 125, 123, 120 and 106 days at 0.44, 0.52, 0.65 and $0.75\;a_w$,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torage at $25^{\circ}C$.

  • PDF

강북연안 정치망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 (The Fluctuations of Catches in Set Nets Around Kyeongbuk Province)

  • 홍정표;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2호
    • /
    • pp.153-165
    • /
    • 1995
  •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의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1985~1989 연간 총 11통의 표본어장의 어획자료로부터 연도별, 월별, 지역별, 어종별, CPUE(1양망당 어획량), 어종조성 및 각 어장별 주요어종의 출현시기 및 해황 특징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PUE 변동은 연도별로 보면, 변동폭이 매우 크고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고, 지역별로는 죽변 지역이 높고 나머지 지역은 낮았다. 월별로 보면, 전체적으로는 8~11월이 높게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주변, 강구는 8~11월, 축산, 감포는 9~11월, 후포는 8~12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CPUE 변동은 연도별로는 쥐치, 고등어, 참다랭이, 조피볼락, 방어는 감소 추세에 있고, 정어리, 전갱이, 청어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오징어는 안정을 유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에 있고, 갑오징어는 1987년 이후 낮은 수준에서 안정된 경향을 보였다. 월별로는 고등어, 전갱이, 참다랭이, 방어, 조피볼락은 9~10월, 쥐치와 오징어는 11~1월, 정어리는 4~5월, 청어는 3월, 갑오징어는 4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로 출현하는 주요어종의 어군크기는 1985년~1989년 전체적으로 볼 때 쥐치, 정어리,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방어의 순 이였고, 연도별로는 1985년 쥐치, 1986년 정어리, 1987년에는 전갱이, 1988년에는 쥐치, 1989년에는 정어리가, 월별로는 1~7월까지는 정어리가, 8~10월에는 정어리, 고등어가, 그리고 11~12월에는 쥐치가 수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어종별 출현시기를 감포와 죽변 지역을 비교해 볼 때, 쥐치,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갑오징어는 죽변 지역이 다소 빠르게 나타나고, 고등어와 방어는 감포 지역이 빠르게 나타났다. 특히 정어리의 경우는 출현시기가 약 3개월 차이를 보인 반면, 전갱이와 삼치는 동일한 시기에 출현하였다. 또한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에서는 평년에 비해 난류세력이 강하고 수온전선이 연안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형성되는 해에 해황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육(魚肉) 연제품(煉製品)의 보수력(保水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Water Holding Capacity of Fish Meat Paste Products)

  • 김무남;조상준;이강호;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3-52
    • /
    • 1978
  • It is well known that water holding capa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cessing such meat products as frankfurter-type sausage and fish meat paste products as kamaboko and fish sausage. Consumer qualities of meat products, such as appearance, flavor, as well as drip and shrinkage on cooking, depend greatly on the degree of water binding. In this paper, the water holding capacities of fish paste and salt added paste of white corvenia, Argyrosomus argentatus and file fish, Novodon modestus were measured by centrifuging and press method before and after cooking. And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phosphates and starch to enhance water binding and stabilize gel formation were also discussed.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are suitable to determine the water binding of fish meat paste product were suggested. The results were expressed in percent of water absorbed by the filter paper when pressed or released by pressor or centrifuge to the weight of sample. From the results. a proper condition to measure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fish meat paste was that 3.0 g of sample which was previously added with 10 percent water was centrifuged at 13,400 G or 12,000 rpm for 15 minutes for the centriguging method and for press method, 0.3 g sample with 10 percent of water added was extracted by an oil pressor at $30\;kg/cm^2$ for 1 minute. Water holding capacity of fresh paste of white corvenia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file fish and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of fish wa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measurments by two methods. Sodium chloride had a great effect on enhancing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fish meat paste giving better effect when 3.0 percent of salt was added. Phosphates used except calcium phosphate revealed a certain enhancement in water binding, yielding best effect at 0.3 percent addition, and metaphosphate seemed to be more effective in order. The addition of corn starch, however, appeared to be not so effective for enhancement of water binding in fresh-salt-added fish meat paste but in cooked fish paste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absorption of water by starch grain and swelling during the heating and consequently enforced gel strength of cooked fish paste. And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cooked fish paste was proportionally related to its gel streng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