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vegetable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5초

Assurance on the Genotoxicological Safety of Fermented Vegetables Pasteurized by Gamma Irradiation

  • Yook, Hong-Sun;Byun, Myung-Woo;Song, Hyun-Pa;Lee, Ju-Woon;Kim, Kwan-Soo;Kim, Kwang-Hoon;Lee, Ho-Joon;Kim, Do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37-142
    • /
    • 2005
  • The genotoxicological safety of fermented vegetables pasteurized by gamma irradiation was examin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irradiation for extending of fermented vegetables. A fermented vegetable was irradiated at 20 kGy to assure its toxicological safety even at a high dose of radiation. The Ames tes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and Escherchia coli (WP2), and the chromosomal aberration test in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s were performed. In vivo micronucleus test were conducted in mouse bone marrow cell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negative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Ames test and the chromosomal aberration test. In the micronucleus test, there was no enhancement in the formation of micronucleus, and there were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samples. The observed results indicated that, a level of 20 kGy of gamma irradiation on the fermented vegetable did not bring about any genotoxic effects under the described experimental conditions.

충남지역 대학생의 섭취실태를 통한 전통발효식품의 영양적 평가 (Nutritional Evaluation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s by Dietary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 이나영;최미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9권2호
    • /
    • pp.97-10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tritional value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s by dietary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Chungnam. 210 students were asked for their daily food intake using 24-hour recall method for 3 days. And daily nutrient intakes from total foods and fermented food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mean weight, height,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67.36㎏, 174.39㎝, 22.15㎏/$m^2$ in men and 53.45㎏, 161.86㎝, 20.40㎏/$m^2$ in women, respectively. The daily intakes of protein, phosphorus, and vitamin B1 were 106.82%, 137.88%, and 108.99% of the Korean RDA. However, the energy, calcium, iron, vitamin A, vitamin B2, niacin, vitamin C intakes did not reached the RDA for Koreans. The fermented food intake was 9.09% of total food intake. And the percentages of fermented food intakes were 81.53% for Kimchi and 14.75% for Chang. The vegetable protein, vegetable oil, dietary fiber, calcium, phosphorus, iron, sodium, potassium,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niacin and vitamin C intakes per 1000㎉ consumption from fermented foo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total foods. The fermented food intak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ron, and plant iron intakes. In conclusion, the percentage of fermented food intake was about 9% and the major items were Kimchi and alcoholi beverages in university students. Fermented food intake may be important to improve the intakes of calcium, iron and vitamin.

  • PDF

대두 탈지 처리가 식물조직단백 조직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 defatting on texturization of texturized vegetable proteins)

  • 박찬순;서미숙;정선영;박보람;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75-88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탈지대두분말로 제조한 식물조직단백(texturized vegetable protein)과 분리대두단백, 탈지하지 않은 대두분말로 제조한 식물조직단백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원료의 배합은 대두단백 50%, 글루텐 30%, 옥수수전분 20%를 기본배합으로 하였다. 냉각 다이가 장착된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배럴온도 190℃, 스크루 회전속도 250 rpm으로 하였다. 분리대두단백 대비 경도는 대두분말이 22.4%, 탈지대두분말이 68.8% 수준이며, 검성은 대두분말이 17.6%, 탈지대두분말이 44.3% 수준으로 나타났고, 탈지를 통하여 씹힘성, 절단강도, 탄력성이 증가하였다. 대두분말과 탈지대두분말의 수분함량은 대두분말 처리구가 높았으며, 수분흡수력과 탁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H는 대두분말 처리구가 탈지대두분말보다 높았으며 색도는 L값과 b값은 대두분말 처리구가, a값은 탈지대두분말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두를 탈지하여 사용할 경우 식물조직단백 품질의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분리대두단백과의 품질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즙장의 전통적 유형과 제조방법의 고찰 (A Review on Preparing Methods of Traditional Jeupjang)

  • 정순택;박양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3-113
    • /
    • 1999
  • Jeupjang like salted soybean paste with vegetable is the Korean traditional side order eating at table. Bibliographical studies on the Jeupjang in historic books such as Jeungbo-Sanlim-Keongjae(Re-edition of agriculture economic), Imwon- Keongjae Ji(Book of country economic) and Keuhap-Chongseo(Handbook of household) described the Korean food in the 18 century carried out. In addition, investigation and analytical studies on various home-made Jeupjang in present was accomplished. Jeupjang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variety preparing methods. Three types were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type using traditional Meju(soybean cake stater) for Jeupjang, salted pickle (Jangachi) type buried cucumber and eggplant into soybean paste or soysauce (Kanjang), and salted sauer kraut (Kimchii) type prepared vegetable in Jeupjang-Meju mash. The procedures for producing Jeupjang were Jeupjang-Meju making, and mixing vegetable with Meju powder into brine. At last process was fermented in horse wastes or grasses for 7-14 days. But manufacturing methods of Jeupjang before the 18 century were different in present. Nowadays glutinous rice, red pepper powder and various vegetable were used for domestic Jeupjang.

  • PDF

소규모 국내생산 식물 발효식품의 바이오제닉아민 잔류특성 (Investigation on Biogenic Amines in Plant-based Minor Korean Fermented Foods)

  • 김진효;류성지;이지원;김영완;황한준;권오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2호
    • /
    • pp.113-1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발효식품들 중 지금까지 BAs에 대한 잔류분석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던, 식품군들에 대해 BAs 잔류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식품군으로는 식물 발효진액, 장아찌, 막걸리, 흑마늘, 발효차를 선정하였으며, 발효진액, 막걸리, 흑마늘, 발효차는 HIS, TYR, PUT, CAD, PHE 5종 BAs 의 총 함량이 1,000mg/kg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장아찌시료에서는 19.2-1,214 mg/kg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장아찌류의 고잔류 BAs는 간장과 된장 등 원료 장류에 의한 영향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장아찌에 대한 BAs 연구는 원료 및 제조 특성별 잔류 분석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필름두께 및 적외선 흡수율 차이가 참외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Conservation of Greenhouse Film on Growth and Quality in Oriental Melon)

  • 신용습;연일권;도한우;이지은;정종도;강찬구;최충돈;전희;최영하;정두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7-173
    • /
    • 2007
  • 참외 재배시설의 광 환경 개선을 위하여 필름두께, 자외선 차단율, 적외선 흡수율이 다른 PO계 필름 3종(J-1, J-2, J-3), PE 필름(K-1, K-2, K-3)을 비교하여 참외를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오복꿀참외의 경우, K-3의 당도는 $14.3^{\circ}Brix$이고 J-3, J-2에서는 이보다 각각 $1.3^{\circ}Brix,\;0.8^{\circ}Brix$ 정도 높은 경향이었다. 과피의 색도(a 값)는 K-3의 0.5에 비하여 J-3, J-1, J-2에서 각각 3.3, 2.3, 1.9 정도 더 높았다. 또한 J-1, J-2, J-3 처리구에서 발효과율 및 기형과율이 감소하였고 상품과 율은 증가하였다. 10a당 상품수량은 K-3의 1,622 kg에 비하여 J-1, J-3, J-2에서 각각 31.2%, 23.8%, 18.5%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J-1, J-2, J-3등의 polyolefin계 필름은 필름두께가 두껍고 적외선 흡수율이 높아 보온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과실의 당도가 증가하고 색도가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발효과 발생이 감소하고 상품과율이 증가하는 등 품질이 향상되었고 수량도 증가되었다.

비지터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진생사포닌 대사산물과 장건강 활성성분 효과 (Effects of Ginseng Saponin Metabolites and Intestinal Health Active Ingredients of Vegetables Extracts and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43-9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과, 배, 무 등 8종 과채류를 절단하고 열수추출물과 과채류 증숙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실험기질로 사용하였다. 실험기질에 홍삼추출물 1%(W/V)와 유산균발효 추출물에 유산균 8종 혼합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ginsenosides의 패턴과 함량은 과채류 추출물군과 증숙 처리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발효과정과 처리에 따라 TLC 패턴이 변하여 Rg3(S) 및 Rg5으로 전환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4종의 과채류추출물 모두에서 유산균 수(cfu)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산균 CFU의 수는 과채류 추출물의 4가지 발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의 생장 억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가지 유해균의 증식억제 효과는 4가지 과채추출물에서 대장균과 슈도모나스의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과채류 증숙 열수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과채류 추출물의 생장억제효과로 확인되었다.

고초균을 이용한 조직대두단백의 고체 발효 기간에 따른 라디칼 소거 활성 및 물성 평가 (Evalu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extured Vegetable Protein Fermented by Solid Culture with Bacillus subtilis HA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 김지은;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72-879
    • /
    • 2010
  • 조직대두단백을 이용하여 B. subtilis HA에 의한 장기간 동안 고체 발효를 통해 얻어진 발효물의 품질, 항산화 활성 및 물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라 발효물의 색도는 L값은 감소하고 a, b 값은 증가하였으며 수용성 추출물의 갈색도는 발효 48시간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나 그 후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VP 발효물의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 발효 24시간째 70% 에탄올 추출물의 $ IC_{50}$값이 0.99 mg/mL로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고 발효시간이 길어져도 활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70% 에탄올 추출물이 발효 72시간째 $ IC_{50}$값이 1.68 mg/g으로 가장 높았다. TVP 발효물의 점조도는 발효 48시간째 7.89 $Pa{\cdot}s^n$으로 가장 높았고 그 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질물 함량은 발효 24시간째 26.49%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물의 점탄성은 발효 48시간째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였고 탄성(G')보다 점성(G")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amma$-PGA 함량은 발효시간이 증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168시간에 37.72% 생산되었고, 분자량은 발효시간이 경과될수록 감소하였다. Levan 함량은 발효 초기인 12시간째 7.83%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LONG-TERM SUPPLEMENT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ON THE STATUS OF STOMACHAL MEMBRANE AND MINERAL METABOLISM IN FISHER 344 MALE RATS

  • Lee, Sung-Hyeon;Kim, Ji-Yeon;Hwangbo, Young-Sook;Park, Hong-Ju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etary and Medicinal Antimutgens and Anticarcinogens
    • /
    • pp.89-90
    • /
    • 2001
  • Kimchi is a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food in Korea. There are about 187 varieties of Kimchi, depending on the ingredients and processing methods used, which are different in microbiological, nutrition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Much attention for Kimchi has been focused on health and life extension. Kimchi is fermented by the microorganisms which are originally present in the raw vegetable substances.(omitted)

  • PDF

Characterization of an Amylase-sensitive Bacteriocin DF01 Produced by Lactobacillus brevis DF01 Isolated from Dongchimi, Korean Fermented Vegetable

  • Kang, Tae-Kyu;Kim, Wang-Jun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95-803
    • /
    • 2010
  • A DF01 strain that inhibits tyramine-producing Lactobacillus curvatus KFRI 166 was isolated from Dongchim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vegetable,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revis by biochemical analysis and reverse transcriptase sequencing of 16S rRNA. The antimicrobial compound produced by L. brevis DF01 was secreted at a maximum level of 640 AU/mL in late exponential phase in MRS broth, and its activity remained constant during stationary phase. The activity of bacteriocin DF01 was totally inactivated by $\alpha$-chymotrypsin, pronase E, proteinase K, trypsin, and $\alpha$-amylase, but not by catalase, which indicates the compound was glycoprotein in nature. The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pH changes ranging from 2 to 12 or heat treatment (60, 80, and $100^{\circ}C$ for 30 min), but was reduced after autoclaving. Bacteriocin DF01 had bacteriolytic activity and a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8.2 kDa, as shown by tricine-SDS-PAGE analysis. Therefore, bacteriocin DF01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meat products due to its inhibition of tyramine-producing L. curvatus and non-inhibition of L. sake, which is used as a starter culture for meat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