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garlic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4초

구소련(독립국가연합) 거주 한인들의 김치 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III) -김치재료- (A Research on Kimchi Culture for Koreans in CIS(III) -Materials of Kimchi-)

  • 김영숙;이경임;신애숙;김영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6-74
    • /
    • 1998
  • To investigate the materials in the preparation of kimchi for Korean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CIS) a survey was completed by 199 Koreans living in Moscow, Sahalin, Uzbekistan and Jazahstan, In the way to purvey the materials of Kimchi, the frequency to get all the materials of Kimchi in the markets is 74.7% on the whole and by regional groups the frequency is relatively high in Moscow and Kazahstan, For the main ingredients most respondents use Chinese cabbage, cabbage, or turnips. In general Chinese cabbage is used most, But the respondents who live in Moxcow and Kazahstan. For the main ingredients most respondents use Chinese cabbage, cabbage, or turnips. In general Chinese cabbage is used most, But the respondents who live in Moscow and Kazahstan. 쫴 are younger, or belong to higher emigrant generation, prefer cabbage kimchi. For the additional vegetables many respondents use carrots. For the seasonings, garlic, red pepper powder, and salt are added to Kimchi, but the use of ginger, whole seasame seed, and waxy rice paste is relatively low. The coriander, which is not added to kimchi in Korea, is used in Kimchi By above 80% of the respondents living in the three regions except Sahalin. It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effect of the western dining cultural area. For the animal materials, 74.4% of the respondents add lightly salted fish to Kimchi and all toe respondents in Sahalin add salt-fermented sea food, the kind of which is mainly salt-fermented croaker. The reasons given for not adding salt-fermented seafood to Kimchi in the three regions except Sahalin, 59.9% of the respondents said it was because of the difficulty to purvey, 21.1% because of the fishy taste, and 16.8% because of not considering the addition of self-fermented sea food in Kimchi. The higher the emigrant generation of respondents, the less seasonings of strong flavor like garlic, red pepper powder, and salt-fermented sea food are used, and the more coriander is used. In the salting of Kimchi preparation, 97.8% of the respondents salt the main vegetables by soaking in brine and its concentration is controlled by experience.

  • PDF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마늘 고체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id-fermentation Garlic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중복;주우홍;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6-452
    • /
    • 2016
  • 마늘(Allium sativum L.)은 많은 아시아 지역의 나라에서 민간요법 및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국내 전통채소류들은 다양한 기능성과 강한 생리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고체마늘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마늘 고체 발효를 위해 유산균을 한국전통 발효식품인 젓갈로부터 분리 및 KCTC로 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발효유산균 선별은 MRS 고체배지에 디스크법을 이용하여 마늘 착즙액에 저항을 보이며 증식하는 유산균을 선택하였다. 선별된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고체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731.0-845.2 ug/g과 92.68-413.58 ug/g로 각각 조사되었다. 그리고 DPPH 라디컬 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양성대조구인 비타민 C 50 ppm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당뇨 활성인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유산균 발효마늘에서 양성대조구인 acarbose 50 ppm 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 유산균 발효 마늘의 생리학적 활성을 증대를 통해 향후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발효 마늘의 개발을 위해 유산균을 활용이 가능하며, 발효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음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Role of Organic Spices in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ly Fermented Kunun-zaki

  • Williana, N. Mokoshe;Babasola, A. Osopale;Cajethan, O. Ezeamagu;Fapohunda, Stephen 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2-200
    • /
    • 2021
  • Kunun-zaki, produced by submerged fermentation of a combination of millet and sorghum, is a popular beverage in Northern Nigeria. Owing to the nature of the process involved in its production, kunun-zaki is highly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by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leading to inconsistent quality and short shelf-lif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various food spices, including cinnamon, garlic, and nutmeg, as potential preservatives that could be used to extend kunun-zaki shelf-life. Kunun-zaki varieties were fermented with each of these spices mentioned above and subjected to bacterial, nutritional, sensory, and quality maintenance assessments (using a twelve-member sensory panel to evaluate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kunun-zaki). Bacterial counts in the final products ranged between 105-7 CFU/ml. We identified two bacterial genera, Weissella and Enterococcus, based on partial 16S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 Three amino acids, namely leucine, aspartate, and glutamate, were abundant in all kunun-zaki varieties, while the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above 39%, suggesting that kunun-zaki could potentially be considered as a protein-rich food source both for infants and adults. The kunun-zaki products were also rich in carbohydrates, crude proteins, ash, crude fiber, and fat, with contents estimated as 81-84, 8-11, 0.8-4.0, 2.9-3.58, and 5.1-6.3%, respectively. However, this nutritional content depreciated rapidly after 24 h of storage, except for kunun-zaki fermented with garlic, which its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 was maintained for up to 48 h. Our results revealed that organic spices increased the nutritional content of the kunun-zaki varieties and could be potentially be used as natural preservatives for enhancing the kunun-zaki shelf-life. However, garlic might be considered a better alternative based on our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presence of the isolated microorganisms in the analyzed kunun-zaki samples should be highlighted to raise awareness on the possible health hazards that could arise from poor handling and processing techniques.

대산(大蒜)을 포함하는 복합발효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Tyrosinase 저해활성 성분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the Ethylacetate Fraction of Fermented Garlic Complex and their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 송효남;백남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3-72
    • /
    • 2020
  • 천연미백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산(마늘)을 포함한 총10종의 약용식물 혼합물을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로부터 tyrosinase inhibition 활성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신규한 화합물 1종 외 3종의 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마늘복합발효물의 영양성분 13항목을 분석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발효원액의 tyrosinase 저해효과는 88.6%로 나타났고, 활성성분의 분리를 위하여 EtOAc, n-BuOH 및 H2O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중 수득률이 가장 높은 EtOAc 분획물(47g)로부터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면서 TLC와 효소저해 효과로부터 확인한 활성분획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NMR 및 MS 등의 스펙트럼으로 분석한 결과 phenylpropanoid류의 신규 화합물인 2,4,5-trihydroxy-benzenepropanoic acid (1) (1.9 mg) 및 화합물 1과 동량으로 혼재하는 2,3,5-trihydroxy-benzenepropanoic acid (2)를 확인하였다. 이외에 2,4-dihydroxy-hydrocinnamic acid (3) (3.3 mg) 및 (+)sesamin (4) (6.1 mg)을 분리·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이 향후 본 조성물의 지표성분 및 기능성 성분으로 활용된다면 기업에서의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제품개발과 산업화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킨 마우스에서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s on Fatty Liver-Induced Mouse by Alcohol)

  • 최지휘;김민석;유희종;김기호;이희섭;조홍연;이승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42-1647
    • /
    • 2014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시킨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손상 보호 효과를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킨 C57BL/6J 마우스를 사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지방간 유도와 함께 증가한 간 무게를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 200 mg/kg 투여군에서 대표적 간 손상 관련 혈청효소인 ALT, AST 및 ALP의 활성이 낮았으며, 간 손상의 다른 중요한 지표들인 TBIL, DBIL 값도 현저히 낮았다. 또한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은 간의 조직학적 관찰에서도 알코올로 유도된 간 지방의 축적을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하였다. 간 조직 내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 알코올에 의해 감소된 GSH가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 투여에 의해 점차 일반식이군 수준으로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유산균 발효에 의해 마늘의 냄새와 맛을 개선시킨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이 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용 상업적 소재로서 높은 실용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재료의 종류에 따른 김치의 유기산 및 휘발성 향미 성분의 변화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 유재연;이혜성;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9-174
    • /
    • 1984
  •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부재료를 한가지씩 첨가한 각 시료들을 $12{\sim}16^{\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유기산, 이산화탄소, alcohol 및 카보닐 화합물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lactic succinic, fumaric, malic acid가 분리되었고, 휘발성 유기산은 acetic, formic, propionic, butyric, valeric n-heptanoic acid 등이 분리되었으며, 카보닐 화합물은 acetaldehyde와 acetone이 분리되었다. Lactic acid는 숙성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했고, 고춧가루, 마늘, 파가 첨가된 김치에 많았다. Acetic acid도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마늘이 첨가된 김치에서 두드러졌다.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마늘이 첨가된 김치에 많았으며, alcohol류는 전 시료에서 ethanol 만이 확인되었다. Acetaldehyde와 acetone은 김치의 off-flavor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배추김치의 숙성중 부재료와 젖산균에 따른 Carotene 의 함량변화 (Changes in Carotene Content of Chinese Cabbage Kimchi Containing Various Submaterials and Lactic Acid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 장경숙;김미정;오영애;강명수;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2
    • /
    • 1991
  • the Chinese cabbage kimchi was fermented with the various submaterials such as hot pep-per garlic ginger leek green onion fermented anchovy juice and sugar according to the average contents of each submaterial described in the 39 kinds of references. And then the effects of each submaterial and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 brevis. Leu. mesenteroides. P cerevisiae and L. plantarum on the content of carotenes were investigated, The major carotene in kimchi was $\beta$-carotene. And also $\delta$-carotene and $\alpha$-carotene were detected. Contents of $\beta$-carotene and total carotene were high in the kimchi containing leek red pepper powder green onion and fermented anchovy juice as a submaterial. But the kimchi containing or omitting the other submaterials were litter affected to the contents of carotene. Contents of $\beta$-carotene and total carotene were high in kimchi fermented with Leu. msenteroides L. brevis and P. cerevi-siae as a starter but was low with L plasntarum.

  • PDF

대구횟대(Gymnocanthus herzensteini)를 이용한 식해 개발 (Development of Black 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Sik-hae)

  • 조원일;김상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28-336
    • /
    • 2012
  • Sik-hae is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manufactured by mixing ingredients such as fish, radish, garlic, pepper, etc. To facilitate utilization of the black-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which is an abundant unusable fish caught in the East Sea, sculpin sik-hae was developed for commercialization as a low-salt fermented foo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sculpin sik-hae during storage. The pH of the sculpin sik-hae decreased, whereas the acidity, amino-N,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in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The number of microflora increased gradually up to 14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Based on a sensory evaluation, sculpin sik-hae stored at $-1^{\circ}C$ was superior to that stored at $5^{\circ}C$. Therefore, sculpin sik-hae can be commercialized as a new fermented seafood.

마늘첨가가 김치의 숙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Garlic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Kimchi)

  • 조현경;박소희;정청송;조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70-477
    • /
    • 2001
  • 마늘이 김치의 숙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울러 cyclodextrin과 sorbitol의 마늘냄새 masking 효과를 실험하였다. 김치 숙성 초기의 산도는 마늘 첨가량이 많을수록 대조구 비해서 높았고 환원당 함량은 마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숙성말기에는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미생물수의 경우 숙성초기에는 마늘 첨가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었으나 이후에 그 수준을 유지한 후에는 대조구에 비해서 오히려 억제되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온도에 관계없이 마늘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가 모든 관능적인 면에서 유의적으로 나쁘게 평가되었으며 마늘을 $2{\sim}3%$ 첨가한 김치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Cyclodextrin 또는 sorbitol을 1%씩 첨가한 결과 마늘맛을 masking하는데는 효과가 없었고 관능적으로도 나쁘게 평가되었다.

  • PDF

마늘 분말의 첨가가 요구르트의 제조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Powder on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 조자래;김주희;인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48-52
    • /
    • 2007
  • 마늘 분말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탈지분유에 마늘 분말을 혼합하고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longum, Streptococcus thermophilus를 혼합 균주를 접종하여 마늘 분말의 첨가가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품질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마늘 분말을 0.2-1.0%(w/v) 첨가한 결과 산의 생성과 젖산균의 증식이 마늘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감소되었으며, 18시간 발효시킨 요구르트의 적정 산도는 대조구의 1.35%에서 마늘분말을 1.0% 첨가한 경우 1.08%로 20% 감소하였다. 마늘 분말의 첨가로 요구르트의 점도는 약2배 증가하였으나, 색도는 거의 일정하였다. 요구르트에 설탕을 10% 첨가하고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마늘 분말을 0.5% 이상 첨가한 경우 마늘 향과 맛이 강하게 감지되어 요구르트의 기호도는 낮게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마늘 분말의 첨가량은 0.2% 수준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