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ne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7초

향흡입이 성장하는 쥐의 체중, 섭취효율 및 혈청 렙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on the Body Weight, Food Efficiency Rate and Serum Leptin of Growing SD Rats)

  • 허명행;김찬;김철현;안해철;안혜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36-243
    • /
    • 2006
  • Purpose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 of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on body weight, feed intake, food efficiency rate and serum lepti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growing SD rats(46 males and 44 females). They were allocated into one of four groups, the Fennel group, Patchouli group, Bergamo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the inhalation of aromatherapy essential oils which was applied two times a day for 10 minutes each during 8 weeks. To evaluate the effects, body weight, feed intake, food efficiency rate and serum lepti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of Kolmogorov-smirnov test and Normal Q-Q plot for nomality, Kruskal Wallis test and $X^2-test$ for experimental effects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food efficiency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chouli group and Fennel group than in the Bergamot group and control group(P=.000). No significant group effects were found for SD rat's body weight, feeding amount and serum leptin. Conclusio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could be effective in lowering the food efficiency rate rather than the feed intake.

건조방법과 향신료 추출물 첨가가 육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ying Method and Spice Extracts Added to Beef Jerk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 박추자;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00-809
    • /
    • 2007
  • To develope Hanbang beef jerky as health food, six kinds of beef jerky were prepared by adding sugar (A), licorice (B) and three kinds of spice extracts (clove: C, fennel fruit: D and Chungyang green pepper extract: E) and mixture of all extracts (F). The effects of the drying method and added spice extra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eef jerky were evaluated. In general, the air-blast dried beef jerky contained $31{\sim}33%$ moisture, $50.0{\sim}51.2%$ crude protein, $7.2{\sim}7.8%$ crude lipid and $3.0{\sim}3.3%$ crude ash. For the mineral content of the air-blast dried jerky, the most prevalent mineral was Na $(1540.08{\sim}1838.17$ mg%), followed by K, P, Mg, and Ca. The Ca content of the beef jerky was highest in the mixed extract group (88.53 mg%), and the lowest content was in sugar-added group (53.12 mg%). For the color properties, the L-value (lightness), a-value (redness) and b-value (yellowness) were higher in the air-blast dried beef jerky than in the hot air dried samples. The drying methods showed their greatest affect on the redness (a) for all six jerkies (p<0.001). For the preference by sensory evaluation, the beef jerky samples with added sugar (A) and licorice extract (B)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beef jerky samples with the added spice extracts, for both of air-blast drying and hot air drying (p<0.05). Preference for the air-blast dried beef jerkies with added clove (C) and fennel fruits (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erms of taste, color, softness and aftertaste as compared to the respective hot air dried jerkies (p<0.01). Considering all the obtained results, we concluded that licorice and spice extracts can be used as natural preservatives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s and the air-blast drying method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Effect of Spices on hepatic microsomal enzyme function in mice

  • Han, Yong-Bong;Shin, Kuk-Hyun;Woo, Won-Sic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53-56
    • /
    • 1984
  • The effect of twenty two spices on liver microsomal monooxygense activity was tested as measured by alteration of hexobarbital (HB) narcosis and strychnine mortality in mice. Oral administration of seven spices for 7 consecutive days caused a significant shortening of the duration of HB-induced sleeping time. The treatment of mice with a single i. p. injection of 9 spices resulted in a significant prolongation of the sleeping time. White pepper, dill and fennel reduced the toxicity of strychnine. These results strongly indicated that some spices might affect the activity of liver microsomal drug metabolizing enzyme (DME) function.

  • PDF

생약재 및 향신료의 Streptococcus mutans 증식 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Medical Herbs and Spice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유영선;박기문;김영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7-191
    • /
    • 1993
  • In order to find out an anticariogenic substanc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ome medical herbs and spice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were investigated. The essential oils of oregano, thyme, sage, fennel, nutmeg, rosemary, calamus and cassia cortex were shown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S. mutans. The essential oil of oregano among other tested medical herbs and spices showed the most active antimicrobial activity. The essential oil of oregano inhibited the activity of glucosyltransferase from S. mutans. The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of oregano essential oil was determined as 0.05nl/ml. The activity of glucosyltransferase from S. mutans was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oregano essential oil.

  • PDF

시판 instant curry 및 curry 사용원료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Instant Curry Powders and Individual Spices)

  • 정명수;정승현;이진선;빅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5-131
    • /
    • 2003
  • Instant curry 제품 및 원료로 사용되는 향신료의 열수추출물을 사용하여 생리활성을 실험하였다. Linoleic acid에 향신료 추출물을 첨가하여 자동산화를 측정한 결과 ginger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특히, clove 및 fennel의 경우 ${\alpha}-tocopherol$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신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mild pure curry(MPC, p<0.001)와 spicy pure curry(SPC, p<0.01)도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instant curry 제품에서도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Instant curry의 열수추출물이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의 활성억제작용은 없었으나, 원료로 사용되는 red pepper$(52.8{\pm}2.13%)$와 clove$(13.48{\pm}1.00%)$, coriander$(10.32{\pm}1.45%)$의 경우 ACE활성을 저해하였다(p<0.001). 향신료 열수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유방암세포 MCF-7의 증식억제에 black pepper$(29.31{\pm}2.12%)$와 cardamon$(19.41{\pm}3.92%)$이 유의차(p<0.01)있게 세포증식을 억제하였으며, celery seed$(28.20{\pm}5.98%)$도 억제효과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SPC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자궁암세포 HeLa의 경우 clover$(42.92{\pm}5.57%)$는 p<0.01 수준에서, cassia$(26.14{\pm}7.41%)$는 p<0.05 수준에서 유의성있게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냈다. 그러나 MPC 및 coriander, turmeric, SPC, nutmeg, cardamon, red pepper, celery seed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종양세포 A172의 경우 ginger$(34.21{\pm}1.11%)$ 및 cardamon$(31.89{\pm}3.13%)$, black pepper$(31.35{\pm}3.93%)$가 p<0.001 수준에서, 그리고 cumin 및 MPC, SPC, turmeric, celery seed에 의해서도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p<0.05). 그러나 clove 및 fenugreek, cassia에서는 A172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신장암 세포 SN12C에 대해서는 garlic$(82.88{\pm}0.53%)$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p<0.001)를 나타냈으며, ginger 및 cumin, cardamon이 p<0.01 수준에서 증식억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love의 경우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암 세포주 SNU-638의 경우 garlic$(71.63{\pm}0.38%)$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red pepper 및 ginger, fenugreek, SPC, cumin, MPC 등에서도 증식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p<0.001). 그러나 clove 및 nutmeg, turmeric, coriand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폐암 세포 A549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대부분의 원료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나 cassia(82.84 16.92%)가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p<0.001), clove 및 nutmeg, fennel, celery seed, fenugreek, black pepp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신장암 세포 SN12C의 경우 MPC 열수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아질수록 cytotoxicity가 증가하였으며, 폐암 세포주 A549의 경우 농도 증가에 따른 cytotoxicity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정유와 파라핀오일이 검거세미나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sential Oils and Paraffin Oil on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Lepidoptera: Noctuidae))

  • 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62-69
    • /
    • 2013
  •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은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며 특히 골프장 잔디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식물정유는 해충방제를 위한 대체방제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6종의 식물정유(anise, camphor, cinnamon, citronella, clove, fennel, geranium, lavender, lemongrass, linseed, neem, peppermint, pine, thyme, turpentine and tea saponin)와 파라핀오일의 검거세미나방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내와 온실, 야외에서 검정하였다. 온실의 퍼레니얼라이그라스 pot에 각각의 정유를 처리한 결과 anis, cinnamon, neem, paraffin, turpentine 처리에서 잔디피해가 적었으며 neem oil (4,000, 2,000, 1,000 ppm) 처리시 검거세미나방 치사율은 각각 100, 100, 64%였다. 2,000 ppm neem oil처리 퍼레니얼라이그라스 잎을 섭식한 검거세미나방 유충의 체중은 무처리에 비해 5배정도 낮았다. 2~3령충 검거세미나방에 대하여 pot와 야외에서 고농도 neem oil 처리 후 관수가(20,000 ppm 0.1 L 처리 후 물 0.9 L $m^2$ 살포) 저농도의 다량살포 (2,000 ppm 1 L $m^2$)에 비하여 효과가 높았으나 4령충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Toxicity of Plant Essential Oils and Their Spray Formulations against the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Say (Hemiptera: Flatidae)

  • Kim, Jun-Ran;Ji, Chang Woo;Seo, Bo Yoon;Park, Chang Gyu;Lee, Kwan-Seok;Lee, Sang-Guei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9-4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물정유 124종과 6종의 분무제형(SF-0.25, 0.5, 1, 2.5, 5 및 10% sprays)을 대상으로 미국선녀벌레 약충과 성충에 대한 독성을 평가 하였다. 약충에 대한 실험은 1,000 mg/L와 500 mg/L로 실시 하였으며, 엽침지법을 사용하였다. 미국선녀벌레 약충에 대한 124종의 식물정유의 살충성을 스크리닝한 결과, 64종의 식물정유가 60% 이상의 사충률을 보였고, 이 중 19종의 식물정유는 100%의 사충률을 보였다. 일차 활성이 좋은 식물정유를 500 mg/L로 검정한 결과 cinnamon technical, cinnamon green leaf, cinnamon #500, cassia tree, citronella java 및 pennyroyal oil이 100%의 살충활성을 나타냈고, origanum, thyme white, grapefruit, savory, fennel sweet, aniseed 및 cinnamon bark oil 순으로 93.3%에서 80%까지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Thyme red, tagetes, calamus, lemon eucalyptus, geranium oil은 73.3%에서 60% 정도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이중 100%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 정유 12종을 6농도의 분무제형으로 미국선녀벌레 성충에 대한 살충활성을 검정한 결과, cinnamon technical oil이 SF-0.5의 제형에서 100%의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cinnamon #500, cinnamon green leaf, pennyroyal oil은 SF-2.5에서 100%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농업환경에서 고독성 합성살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 선발한 식물정유가 미국선녀벌레의 약충 및 성충 방제에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천연 허브 메탄올 추출물의 V79-4 세포에서 항산화 활성 검색 (Screening of Natural Herb Methanol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in V79-4 cells)

  • 장정화;유경미;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94호
    • /
    • pp.428-4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허브류의 항산화성 및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 독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 항산화 효소 활성 등을 살펴보았다.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s인 V79-4에서는 green tea 추출물, 고농도의 lemon 추출물에서 세포독성을 보였다. H$_2$O$_2$로 유발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허브 추출물의 V79-4 세포 보호효과는 모든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를 갖지는 않으나chamomile, fennel, dandelion을 제외한 대부분의 고농도추출물에서 대조군에 비해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실험을 토대로 활성이 높은 5가지 허브 추출물의 V79-4 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효소 활성에서 lemon vervena, chamomile을 처리하면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이 대조군보다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다양한 허브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색을 토대로 허브류의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