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ldspar

검색결과 481건 처리시간 0.032초

활성기법을 통한 풍화된 장석의 반응성 개선 특성 (Reactivity Improvement Characteristics of Weathered Feldspar through Activation Technique)

  • 조진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33-41
    • /
    • 2021
  • 장석은 석영과 더불어 국내에서 산출빈도가 가장 높은 광물이나 유리, 도료 등의 제조에 제한적인 이용을 제외하면 물질적 특성과 용도 개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잠재적 가치가 매우 낮게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공성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장석의 재료특성과 열적, 기계적, 화학적, 경량화 활성기법을 적용하여 반응성 개선 특성을 분석하였다. 풍화된 장석의 표면에서 관찰되는 공동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공동들의 배열이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공동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풍화된 장석의 표면에서 관찰되는 비정형의 연결된 공동으로 인하여 풍화된 장석은 반응면적이 확대되며 시멘트와의 결합재료로서 반응성이 높은 포졸란 재료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공성 장석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적, 기계적, 화학적 활성기법을 적용한 결과 양이온교환능력, 밀도, 일축압축강도 특성이 개선되었다. 이러한 다공성 특성에 의하여 풍화된 장석은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설재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알칼리장석-일라이트가 육용오리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Alkali Feldspar-Ilite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 Ducks)

  • 국길;김정은;정진형;김재필;선상수;김광현;정완태;정광화;안종남;이병석;정일병;양철주;양재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45-254
    • /
    • 2005
  • 본 연구는 3주령의 육용오린 사료에 알칼리장석-일라이트를 0, 0+ 항생제, 0.5, 1.0 및 $1.5\%$ 첨가한 5처리구에 3반복으로 각각 12수씩 배치하여 43일간 급여하여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행하였다. 육성오리의 일당 증체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1.0와 $1.5\%$ 첨가구에서 약간 증가하였다(p>0.05). 사료섭취 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5).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알칼리장석-일라이트 $0.5\%$ 처리구에서 약간 감소한 반면에(p>0.05) 혈중 요소태 질소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도체중과 도체율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5). 알칼리 장석-일라이트 급여에 의한 육용오리 가슴육의 조지방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1.5\%$ 첨가구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육색의 명도와 황색도는 알칼리장석-일라이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지방산 패도는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구에서 약간 감소하였다(p>0.05).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에 의한 포화지방산 비율이 약간감소하는 경향인 반면에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에 의한 육성오리 간의 중금속 함량은 납 축적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 평가(appearance)에서 알칼리장석-일라이트 1.0와 $1.5\%$ 첨가구에서 외관의 유의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육성오리에 대한 알칼리장석-일라이트 급여는 증체량의 개선효과와 더불어 가슴육의 조지방 함량의 감소 그리고 관능평가에서 외관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emperature and Timing of the Mylonitization of the Leucocratic Granite in the Northeastern Flank of the Taebaeksan Basin

  • Kim, Hyeong-So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4-449
    • /
    • 2012
  • The Mesozoic leucocratic granite in the northeastern margin of the Taebaeksan Basin was transformed to protomylonite and mylonite. Mylonitic foliations generally strike to NWWNW and dip to NE with the development of a sinistral strike-slip (top-to-the-northwest) shear sense. Grain-size reduction of feldspar in the mylonitized leucocratic granite occurred due to fracturing, myrmekite formation and neocrystallization of albitic plagioclase along the shear fractures of K-feldspar porphyroclasts. As the deformation proceeded, compositional layering consisting of feldspar-, quartz- and/or muscovite-rich layers developed in the mylonite. In the feldspar-rich layer, fine-grained albitic plagioclase and interstitial K-feldspar were deformed dominantly by granular flow. On the other hand, quartz-rich layers containing core-mantle and quartz ribbons structures were deformed by dislocation creep. Based on calculations from conventional two-feldspar and ternary feldspar geothermometers, mylonitization temperatures of the leucocratic granite range from 360 to $450^{\circ}C$. It thus indicates that the mylonitization has occurred under greenschist-facies conditions. Based on the geochemical features and previous chronological data, the leucocratic granite was emplaced during the Middle Jurassic at volcanic arc setting associated with crustal thickening. And then the mylonitization of the granite occurred during the late Middle to Late Jurassic (150-165 Ma). Therefore, the mylonitization of the Jurassic granitoids in the Taebaeksan Basin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Honam shear zone.

장석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eldspar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in Broiler Chicks)

  • 고재우;;양철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5-111
    • /
    • 2006
  • 본 연구는 장석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공시동물은 Ross broiler 120 수로 5 처리 4 반복 반복당 6수씩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 장석 0.5, 1.0, 1.5% 첨가구로 배치하였다. 6주간의 사육시험 결과에서 증체량은 장석 1.5% 첨가구가 각각 2,088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료 섭취량 역시 장석 첨가구인 1.5% 첨가구가 3,678 g으로 대조구 3,243 g보다 높은 섭취량을 보였다(P<0.05). 사료 요구율은 장석 1.0% 첨가구가 1.80으로 높았으며, 대조구가 1.69으로 가장 낮아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P<0.05). 도체의 체조 성 분석에서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가 15.44%으로 가장 높았으며, 장석 0.5% 첨가구가 7.29%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P< 0.05). 도체의 TBA 는 대조구가 $0.35{\mu}mol/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석 0.5%, 1.0% 및 1.5% 첨가구는 각각 $0.13{\mu}mol/100g$으로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P< 0.05). 혈중 cholesterol 함량은 대조구 103 mg/dL 보다 장석 1.0 % 첨가구에서 134 mg/dL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있었다(P<0.05).

금산지역 형석광화작용과 관련된 화강암질암의 지구화학적 자료 해석 (Geochemical Data Analysis of the Granitic Rocks Potentially Related to Fluorite Mineralization in the Geumsan District)

  • 진호일;전효택;민경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4호
    • /
    • pp.369-379
    • /
    • 1995
  • About forty ore deposits of $CaF_2{\pm}Au{\pm}Ag{\pm}Cu{\pm}Pb{\pm}Zn$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Geumsan district and are believed to be genetically related to the Mesozoic Geumsan granitic rocks. Based on their petrogeochemistry and isotopic dating data, the granitic rocks in this district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 the Jurassic granitic rocks(equigranular leucocratic granite, porphyritic biotite granite, porphyritic pink-feldspar granite, seriate leucocratic granite) and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seriate pink-feldspar granite, equigranular alkali-feldspar granite, equigranular pink-feldspar granite, miarolitic pink-feldspar granite, equigranular biotite granite). Spatial distribution of fluorite ore deposits, fluorine contents of granitic rocks and fracture patterns in this district suggest that three granitic rocks(equigranular biotite granite, equigranular pink-feldspar granite, miarolitic pink-feldspar granite) of the Cretaceous period be genetically related to the fluorite mineralization. In these fluorite-related granitic rocks, fluorine is most highly correlated with Cs(correlation coefficient(r)>0.9), and also highly with MnO, U, Sm, Yb, Lu, Zn, Y, Li(r>0.7). Statistically the variation of fluorine in the fluorite-related granitic rocks can be explained in terros of only three elements, such as Lu, CaO and Cs, and the fluorite-related granitic rocks can be discriminated from the fluorite-nonrelated granitic rocks by a linear functional equation of La, Ce, Cs and F($Z_{Ust}=-1.38341-0.00231F-0.19878Ce+0.38169La+0.54720Cs$). Also, equigranular alkali-feldspar granite is classified into the fluorite-related granitic rocks by means of the linear functional equation($Z_{Ust}$).

  • PDF

월출산 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강암류에 대한 미량원소와 회토류원소의 특성 (Trace Elements and REE Characteristics of the Mesozoic Granites in the Wolchul Mt. Area)

  • 이창신;김정빈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3호
    • /
    • pp.293-304
    • /
    • 1996
  • The Wolchul Mt. area is composed of a biotite granite and a pink feldspar granite. These granites are distinctly different in terms of their field occurrence, mineralogy, trace element and REE composition, as well as their isotope ages. The biotite granite has higher ferromagnesian elements and lower lithophile trace element abundances than the pink feldspar granite. The biotite granite has high Sr and Ba while the pink feldspar granite has high Rb. On the Rb-Sr-Ba diagram the biotite granite plots as a granodiorite while the pink feldspar granite belongs to a strongly differentiated granite. The ${\Sigma}$ LREE/ ${\Sigma}$ REE for the biotite granite is 0.95 and for the pink feldspar granite it is 0.88. The ratio shows a steep decrese in LREE while HREE is essentially constant. Based on the Eu/Sm, $[La/Lu]_{cN}$ and low Eu(-), the biotite granite has quartz diorite to granodiorite composition while the pink feldspar granite, with a relatively high Eu(-) anomaly, falls into the monzo- to syenogranite classification. The silica vs. trace element diagrams for the two granites indicate that the biotite granite could have formed near to a continental margin or volcanic island setting environment while the pink feldspar granite formed within a continental plate or as result of plate collision. The biotite granite has a U-Pb zircon age of 175 Ma, i.e. Middle Jurassic. The pink feldspar granite is younger, it has a K-Ar orthoclase age $93.6{\pm}1.5$ Ma which is Late Cretaceous age.

  • PDF

변질 장석반암의 중금속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ltered Feldspar Porphyry for Heavy Metals)

  • 박상범;황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6-254
    • /
    • 2008
  • 이 연구는 장석 반암에 대한 자연수내 중금속 흡착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맥반석'으로 불리는 연구대상 암석은 프로필리틱 변질작용으로 생성된 녹니석, 녹염석, 방해석을 포함하는 변질 장석반암이다. 용출 실험결과, 용출원소의 대부분은 Ca와 Na이며, 이들은 장석 반정보다는 석기에서 그 용출량이 많다. 흡착 실험결과, Pb, Cu, Fe는 반응 1시간 이내에 각각 99, 98, 97%가 흡착되었으나 As는 24시간 동안 25%가 흡착되었다. 변질 장석 반암의 Pb, Cu, Fe에 대한 높은 흡착능력은 수질정화용 중금속 흡착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월출산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강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Petrochemistry of Mesozoic Granites in Wolchulsan Area)

  • 김정빈;윤정한;김정택;박재봉;강상원;김동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4호
    • /
    • pp.375-385
    • /
    • 1994
  • The studied area is composed of Precambrian gneiss complex, middle Jurassic biotite granite, late Cretaceour sediments, volcanics and pink feldspar granite. Characteristic minerals of the biotite granite is plagioclase and hornblende whereas the pink feldspar granite is pink feldspar (perthite) and quartz. Plagioclase compositions of the biotite granite and the pink feldspar granite are oligoclase to calcic andesine ($An_{18-44}$) and sodic albite ($An_{0.5-5.0}$), respectively. In the variation diagrams of the Harker and normative Q-Or-Pl diagram, the biotite granite belongs to the category from granodiorite to granite, the pink feldspar granite from nomal to late granite. The values of D.I. L.I. and alkalinity of the pink feldspar granite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biotite granite. While CaO is enriched in the biotite granite, $K_2O$ is enriched in the pink feldspar granite. The ratio of $K_2O/Na_2O$ which indicates the relative ratio of alkali is 1.06 in the pink feldspar granite, and 0.86 in the biotite granite. In A-M-F and N-C-K diagrams both these granites are plotted in peraluminus granite ($Al_2O_3$>$Na_2O+K_2O+CaO$) region, assigned to calc alkaline series and alkaline series respectively. Put into the form of A-C-F diagram, the biotite granite falls under I-type, and the pink feldspar granite S-type. On the base of whole rock ratios of $Fe^{+3}/Fe^{+2}+Fe^{+3}$ and $^{87}Sr/^{86}Sr$ for the granites in studied area, the biotite granite indicates ilmenite series (0.26) and S-type and/or contaminated I-type ($0.72020{\pm}0.00050$), the pink feldspar granite magnetite series (0.44) and I-type ($0.70826{\pm}0.00020$).

  • PDF

카리장석의 유기농 무와 비트 생육촉진효과 (Effect of Potash Feldspar on the Growth of Organic Radish and Beet)

  • 심창기;김민정;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김석철;이승복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3-425
    • /
    • 2016
  • 칼륨(K)은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본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분상, 입상, 사상의 카리장석 제형별로 유기농 무와 비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설하우스에서 15일 육묘한 무와 비트 묘를 정식하기 전에 3종의 0.1% 카리장석을 토양에 혼화 처리하였다. 처리한 모든 종류의 카리장석은 무와 비트의 뿌리 경도를 제외하고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무와 비트의 뿌리, 줄기생육 및 당도를 향상시켰다. 특히, 분상 카리장석이 가장 효과적으로 무와 비트의 생육을 촉진하였다. 농가에서 유기농 비트와 무의 근권에 카리장석을 시용할 경우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간섭식 적외선 분광기에 의한 태백지역 석탄광의 호흡성 분진 중 석영, 운모 및 장석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Quartz, Mica, and Feldspar in Respirable Coalmine Dust in Taebaek Area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ry)

  • 최호춘;천용희;김해정;이정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271-283
    • /
    • 1988
  •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ric method was described for the determination of quartz, mica(sericite) and feldspar(potassium feldspar) in respirable dust in Taebaek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 of minerals were determined from the intensity of absorption peak of quartz at $799cm^{-1}$, sericite at $539cm^{-1}$, and potassium feldspar at $648cm^{-1}$ respectively. 2) The precision(C. V. %) for the quartz determination was $7.70{\pm}2.68%$ from 10 to $200{\mu}g$ of quartz. 3) The precision for the sericite determination was $16.34{\pm}6.82%$ from 30 to $500{\mu}g$ of serictite. 4) The precision for the potassium feldspar determination was $5.28{\pm}1.74%$ from 30 to $500{\mu}g$ of potassium feldspar. 5) The concentration of respirable dust in Taebaek area was $4.90{\pm}3.29mg/m^3$ (0.4-93.7%), percent quartz was $1.80{\pm}4.14%$ (0.01-20.56%), percent sericite was $11.37{\pm}6.43%$ (0.00-29.69%), percent potassium feldspar was 8.15% (n=7, 3.41-19.70%). 6) The difference of respirable coal dust, quartz, and sericite concentrations in drilling, coal cutting, hauling and seperating was significant respectively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