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ling

검색결과 2,980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 농촌 지역 노인들의 우울증상 유병률 및 관련 요인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Elderly Individuals in Rural Areas of Jeju Island)

  • 양현주;오민수;임우영;송성욱
    • 정신신체의학
    • /
    • 제32권1호
    • /
    • pp.43-51
    • /
    • 2024
  • 연구목적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 우울증도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제주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우울증상 유병률을 알아보고, 우울 수준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습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노인 정신건강 증진사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 법 조사지역은 제주도 내 농촌지역으로 농업안전보건센터에 등록된 '농업인 코호트' 중 65세 이상 노인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훈련된 조사요원들이 방문 하여 자가보고 검사인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를 이용해 면접을 실시하였고, sGDS-K 점수가 6점 이상인 경우 우울 증상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 나이, 학력, 결혼상태, 연 평균 수입, 주관적 건강상태, 기저 질환,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 흡연 및 음주 상태 등을 함께 조사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자 533명 중 우울증상 유병률은 35.3% 이었고, 남성 28.5%, 여성 45.6%로 나타났다(p<0.001).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결혼상태(p=0.014), 학력수준(p<0.001), 연 소득(p=0.034), 주관적 건강상태(p<0.001)와 스트레스 정도(p<0.001), 절망감(p<0.001) 및 자살사고(p<0.001) 이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는 주관적 건강 상태와 스트레스 수준, 절망감이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론 농촌 지역 노인의 우울증은 심각한 수준으로, 다양한 사회 문화적 위험 요인이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기 발견 및 개입이 가능한 전문적인 정신건강 정책을 통해 농촌 지역 노인의 우울증 유병률을 낮추고 사회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선사시대 원시인의 재난과 대처양식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연구 : 신화와 암각화를 중심으로 (Disaster : Concepts and Responses in Prehistoric Times from the Viewpoint of Analytical Psychology)

  • 정찬승
    • 심성연구
    • /
    • 제32권2호
    • /
    • pp.73-121
    • /
    • 2017
  • 재난(災難)은 외면적으로는 인간과 사회에 감당하기 힘든 피해를 주는 엄청난 사건이며, 내면적으로는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온갖 종류의 개인적, 집단적 콤플렉스들을 자극한다.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는 많은 인명이 갑자기 사망한 인재이며,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큰 심리적 충격을 받았다. 저자는 이 사고의 재난정신건강지원에 직접 참여하면서, 현대 기술 문명의 발달에 대한 자만심이 무너지고 거대한 슬픔과 무력감에 빠진 사람들을 만나는 과정에서 의식적, 무의식적 반응들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실감했다. 본 연구는 신화와 암각화를 중심으로 선사시대 인간의 재난에 대한 관념과 대처양식을 조사하여, 그 속에 나타난 보편적, 원초적, 원형적 인간 심성과 문화적 특수성을 찾아내고 그 의미와 지혜를 발견하여 현대의 재난대응의 문제점과 개선의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세계 도처의 창세신화들은 태초에 우주적 창조의 일부로서 재난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류는 선사시대로부터 세계의 주기적 경신(更新)이라는 파괴와 창조의 양면성의 관념에서 재난을 이해하고 대처했으며, 금기의 위반이 재난을 일으킨다는 관념을 갖고 있었다. 재난은 외견상 파괴적 작용을 통해서 의식의 근본적 경신(更新)을 지향하는 '자기(Self)'의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재난이라는 정신적 위기 상황에서 행해진 다양한 의례는 무의식과의 소통을 통해 인간의식을 새롭게 하고, 전체 정신의 조화를 추구하는 정신적 재생의 기회가 됐다. 현대 사회는 재난대응에 있어서 외면적, 기술적, 행정적 대응에만 치중한 나머지 고통받는 인간의 심성과 내면적 대처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우리는 재난의 발생을 결정할 수는 없지만, 재난의 대처방식을 결정할 수는 있다. 외면적 재난대응을 힘써 발달시킴과 동시에, 재난의 의미를 성찰하여 인간의 심성을 살피는 내면적 재난대응을 함으로써 인간은 재난을 통해 고통의 의미를 발견하고 성숙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에 대한 담화 기호학적 분석 (Discourse semiotics analysis on Lee Hyo-seok's "When buckwheat flowers bloom")

  • 홍정표
    • 기호학연구
    • /
    • 제60권
    • /
    • pp.165-188
    • /
    • 2019
  • 담화 기호학은 의미를 완료되고 정립된 것으로 보지 않고 구축 중이거나 생성 중인 관점으로 고찰하며, 감각과 지각, 발화 행위와 발화 작용에 중요성을 부여한다. 여기서 발화란 개인적 사용에 의한 랑그의 가동, 즉 말할 때마다 재창조되는 파롤을 의미한다. 의식의 구조와 주관성에 대한 연구인 현상학적 접근에서는 주체의 회상과 서술자의 원초적 경험을 알아보았다. 주체 허생원이 과거를 추억한다는 것은 텍스트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달밤에 주체는 시각을 통한 분리작용으로 옛 기억을 떠올린다. 달밤은 외부 세계를 가리키는 <표현면>이고 주체의 내부에 보존되어 있는 그 이야기는 내부 세계를 가리키는 <내용면>인데, 이 두 면은 지각하는 신체에 의해 연결된다. 느낌의 세계인 지각의 현상은 원초적인 최초의 사실이며 거기서부터 모든 논리적 가지성이 시작된다. 서술자의 원초적 경험은 그가 직접 느끼는 대로 드러난 것이고, 관념이 아니라 사물 자체로 돌아가는 것이다. 긴장적 접근에서 긴장도식은 긴장적이고 점차적인 차이를 도식화한 것이며, 지각 활동의 두 발랑스인 강도와 범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텍스트의 내용에 증대도식과 애착의 긴장도식을 적용하여 표현한 결과, 이 도식이 작중인물의 의식이나 의식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수사학적 접근에서는 수사학의 문채와 전의가 발화 이론의 도움으로 역동성을 지니는 것을 살펴보았다. 표준수사도식 3단계는 대치, 지배, 해소로 구성되는데, 텍스트에 등장하는 달, 메밀꽃, 허생원을 이 도식으로 분석하여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본고에서는 인간미 추구에 성공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는 「메밀꽃필 무렵」에 대해 담화 기호학의 현상학적, 긴장적, 수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이론의 가능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음악에서 공감의 문제 ; 칸트와 헤겔의 음악미학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Sympathy in Music : On the Basis of Kant's and Hegel's Aesthetics of Music)

  • 양희진
    • 동서철학연구
    • /
    • 제93호
    • /
    • pp.143-166
    • /
    • 2019
  • 본 논문은 칸트와 헤겔의 음악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에서의 공감의 방식을 밝힌다. 먼저 이를 위해 헤겔의 『수난곡』에 대한 평가를 문제 삼는다. 흔히 우리는 작곡가가 슬픈 곡을 작곡했기 때문에, 그것이 슬프게 들린다고 생각한다. 헤겔에 따르면 이는 곡에 대해서 작곡가와 감상자가 일치된 정서를 갖게 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작곡가가 슬픔을 표현했다고 하더라도, 그 곡을 다른 감정으로 느낄 수 있다. 그것이 예수의 수난을 다룬 곳인지 모르고 듣거나, 기악곡처럼 선율만 들리는 연주곡의 경우, 우리는 작곡가가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정서로 이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작곡가와 공감의 정서를 갖지 못한다하더라도, 우리의 정서는 다른 감상자들과 공감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음악의 공감적 특이성을 칸트의 음악이론을 통해 설명하려고 한다. 그의 이론은 결국 공감은 감상자가 느끼는 보편적 감정임을 일깨워준다. 음악의 공감은 감상자 자신이 곡에 대해서 느낀 것과 같은 정서를 작곡가를 포함해 모든 사람들이 느낄 것이라는 주관적 확실성의 감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두 철학자의 음악이론을 통해 구체적인 정서로 공감되는 방식을 제시한다. 연주곡에 노랫말을 첨가하거나, 아니면 청중이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도록 시각 예술과 같은 다른 장르를 결합시켜 공연을 하거나, 곡 선율에 일정한 규칙성을 부여하게 되면, 감상자들의 정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갖게 된다. 물론 칸트와 헤겔의 음악적 공감에 대한 주장은 한계가 있지만, 오늘날 다양한 음악의 소통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기술의 발전으로 음악을 듣는 방식은 다양해졌다. 칸트미학은 음악의 영향력을 형식적으로 규명한다는 비판을 받지만, 감상자들 간의 자유로운 공유문화를 살펴보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헤겔은 작곡가와 감상자사이의 공감만을 다루지만, 그것이 곡의 내용에 관한 공감임을 각인시켜준다. 이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는 현대 음악인들의 다양한 공연 문화, 소셜 미디어 활동을 이해할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교회 기독교교육의 19 새로운 과제와 방향 (After the COVID-19 Pandemic, New Tasks and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 김정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8권
    • /
    • pp.21-55
    • /
    • 2024
  • 연구 목적: 19 본 논문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교회와 신학교육 기관이 경험하고 있는 기독교교육의 위기상황을 검토하고, 이후에 한국교회가 기독교교육의 회복과 성장을 위하여 준비해야 할 새로운 과제와 방향은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19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교회와 신학교육 기관이 경험하고 있는 현재의 위기 상황을 검토하기 전에 먼저 기독교교육의 용어와 개념을 성찰한다.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교회와 기독교교육 위기의 원인과 그 현상은 무엇인지 통계 및 언론, 그리고 교회 현장의 자료를 통하여 검토한다. 연구자는 한국교회와 신학교육 기관이 경험하고 있는 위기의 원인을 1.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신앙과 교육 활동의 정지, 2.인구절벽 시대: 노인 증가 vs. 젊은이 감소, 3. 신자유주의: 시장주의, 무한경쟁, 효율성, 승자독식, 4. 탈종교시대: 탈기독교, 공동체성 약화, 기독교 교인수 감소 등으로 파악한다. 그 결과 나타나는 현상을 네 가지로. 1. 교회교육의 위기: 주일학교의 운영 중단과 열패감, 2. 청년세대의 신앙 위기: 불안한 미래 교회지도자 양성, 3. 성인세대의 신앙: 위기와 희망, 4. 노인세대의 신앙: 빛과 그림자 등으로 설명하였다. 결론 및 제언: 19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교회가 추구해야 할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과제와 방향을 1. 주일학교 신앙교육의 새로운 전환: 가정과 세대를 통합하는 신앙교육으로, 2. 신학교육의 새로운 전환: 지식교육에서 영성훈련으로, 3. 중년기 성인의 신앙교육 재점화: 예배와 소그룹을 통한 신앙의 활성화, 4. 교회 노인교육의 새로운 전환: 돌봄 대상에서 창조적 신앙생활로 전환해야 할것 등으로 제안하였다.

Enhanced immunity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capsule: A randomized, double-blind a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 Yi Yang;Jing Li;Shengyuan Zhou;Daoyan Ni;Cailing Yang;Xu Zhang;Jian Tan;Jingrui Yan;Na W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504-510
    • /
    • 2024
  • Background: As a physiological function of body, immunity can maintain health by identifying itself and excluding others.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increasingly fierce social competition, the number of sub-healthy popu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most basic problem exposed is human hypoimmunity. Hypoimmunity can be manifested as often feeling tired, catching colds, mental depression, etc. In order to enhance immunity, eating healthy foods with the effect of enhancing immunity may become an effective choice. KRG has pharmacological effects of enhancing immunity. Because the screening and evaluation method of immune population are not unified, there are relatively few KRG immunity tests for sub-health popul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study the effect of KRG on people with hypoimmunity to improve sub-health status. Methods: This was a 180-day,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According to the trial scheme design, 119 qualified subjects were includ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he test group taking KRG and the placebo control group. Subjects need to check safety indicators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blood routine, liver and kidney function, urine routine and stool routine) and efficacy indicators (main and secondary) inspection at baseline, efficacy indicators inspection during the mid-term of the test (90th days of administration), safety and efficacy indicators inspection after the test (180th days of administration). Results: After the test, the safety indicators of placebo control group and KRG test group were basically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reness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follow-up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i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ad no adverse reactions and allergic reactions such as nausea, flatulence, diarrhea, and abdominal pain during the test period. Self-comparison of the test group, the results of the main efficacy indicators: (1) immune related health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mid-term and after the test (P < 0.01), (2) CD3 and CD4/CD8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est (P < 0.05), (3) IgG, IgA, IgM and WBC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mid-term and after the test (P < 0.01);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efficacy indicators: (1) TNF-α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midterm (P < 0.05), IFN-γ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mid-term (P < 0.01), (2) NK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mid-term and after the test (P < 0.05), (3) monocyt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mid-term and after the test (P < 0.01). Inter-group comparison of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main efficacy indicators: (1) immune related health score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mid-term and after the test (P < 0.01), (2) IgA of the tes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mid-term and after the test (P < 0.05);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efficacy indicators: (1) WBC of the tes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mid-term (P < 0.05); (2) monocytes of the tes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mid-term and after the test (P < 0.05), neutrophils of the tes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mid-term (P < 0.05). Conclusion: Taking KRG has no adverse effects on the health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clinical trial scheme, the immune related health scores and IgA in the main efficacy indicators were positive, which shows that KRG is helpful in enhancing human immunity.

나한과추출물 함유 크림의 피부 보습에 기인한 가려움 완화(장벽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tch Relief (Barrier Improvement) Effect of Creams containing Siraitia grosvenorii Extract due to Sk in Moisturizing)

  • 성윤영;김동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61-27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가려움증이 있는 연구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히스타민 억제 및 피부 염증 개선 효과가 있는 나한과추출물 함유 크림에 대해 인체피부 보습에 기인한 가려움 완화 및 장벽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목적에 적합한 21 ~ 59 세 여성 지원자 43 명(시험군: 21 명, 대조군 22 명)을 대상으로 시험제품과 대조제품을 전박에 4 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제품 사용 전 및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좌측 또는 우측 전박 부위의 피부 수분량,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였고, 피부 건조로 인한 가려움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평가와 제품의 효능 및 사용성 설문평가와 피부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피부수분량 및 경피수분손실량 평가항목과 피부 건조로 인한 가려움 척도(VAS)에 대해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용 4 주 후 시점에서 제품 사용에 따른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제품의 효능 및 사용성에 관한 설문평가 결과, 사용 4 주 후 시점에서 '가려움 완화(적합성)', '촉촉해짐' 및 '매끄러워짐' 항목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의 연구대상자들에게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용성에 관해서는 '향' 및 '사용감' 항목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의 연구대상자들에게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나한과추출물 함유 크림'은 피부 보습에 기인한 가려움 완화(장벽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가려움증 및 장벽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전지역 대학생들의 식생활 실태 및 생활습관이 식품섭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ting Habits and Lifestyle on the Food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 박상욱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9
    • /
    • 2004
  • 대전지역 대학생들의 식생활 실태 및 생활습관이 식품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전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식품섭취, 식습관, 생활습관실태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사항은 남학생 104명(26.75%), 여학생 282명(73.75%)으로 전체 386명이었다. 거주형태는 58.7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자취 28.05%, 하숙 5.97%, 친척집 3.9% 순이었다. 한달 용돈은 전체적으로 20∼3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한달 외식비용은 전체적으로 5∼10만원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조사대상자의 식사 이용형태에 대해서 아침식사에 주로 이용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밥류 76.05%이었으며, 성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점심식사에 주로 이용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밥류 73.7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라면, 국수류 순이었으며. 성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식습관의 실태에 대해서는 아침식사에 대해 '규칙적으로 한다'41.95%이었고, 점심식사는 '규칙적으로 한다'가 54.55% 이었으며 성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저녁식사는 '불규칙적으로 한다'가 49.22% 이었고, 성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사를 거르는 때를 보면 전체적으로 아침을 먹지 않는 비율이 24.35%로 가장 높았고, 저녁 4.40%, 점심 2.08% 순이었다. 성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사를 거르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침식사, 점심식사 모두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녁식사를 거르는 이유에 대해서는 '체중을 줄이려고'에서 가장 높았고 성별간에는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활습관의 실태조사에서 흡연은 '안한다'80.0%로 나타났고, 음주는 '가끔 마신다'가 67.19%로 가장 높았으며, 성별로는 각각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음주 및 흡연이 식품섭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음주시에 식품섭취에서 '식사후 음주한다'가 55.98%로 가장 높았고, 성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흡연시에 식품섭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에서 47.66%로 높았지만 '약간 영향을 준다'32.03%, '많이 영향을 준다' 20.31%로 흡연이 영향을 주는 비율이 많든 적든 52.34% 로 흡연과 식품섭취에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흡연 후 밥맛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가 높게 나타나 흡연이 밥맛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성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심리적인 변화에 따른 식품섭취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시험기간중의 식품섭취는 '평상시와 같다'는 응답이 43.23%로 높게 나타났으나 '감소한다'38.80%, '증가한다'17.97%의 비율의 합계가 56.67%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심리적으로 식품섭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분이 우울할 때 식품섭취의 변화는 '감소한다'가 46.6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피곤할 때는 식품섭취의 변화는 '감소한다', 78.24%로 가장 높았고, 즐거울 때 식품섭취의 변화는 '증가한다'에서 50.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품섭취증가 후에 나타나는 심리적인 변화는 '체중의 우려가 생긴다'에서 57.7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식품섭취감소 후에 나타나는 심리적인 변화는 '느낌없다'가 42.86%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각각의 심리적인 변화에 따른 식품섭취의 관계에 대해서는 성별간에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식생활 습관의 여러 가지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식생활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또한 생활습관이 식품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식습관은 건강의 유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잘못된 습관을 고쳐 나갈 수 있도록 학교나 가정에서 매스컴 등으로 바람직한 식생활교육을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웨어러블 아트-카멜레온 드레스 (Wearable Art-Chameleon Dress)

  • 조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837-1847
    • /
    • 2008
  • 카멜레온은 미끈한 몸통과 화려한 색 띠들을 가진 작은 도마뱀을 말하는데 빛, 온도, 기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변덕스러운 사람, 요염하고 매혹적인 사람, 속물적이면서도 상황에 재빨리 대처하는 사람 등을 일컬어 카멜레온이라고 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에 따라 색이 변하는 카멜레온 이미지를 요염한 변덕장이들의 섹시한 스타일로 비유해서 Wearable Art에 실루엣, 색, 텍스처 개발 기술을 접목하여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카멜레온의 사실적, 개념적 특징들을 Wearable Art 작품으로 표현해 나가는 단계에서 특히, 옷감 표면에 다양한 제작 기술들을 실험해 보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작품 이미지 컨셉은 'sensuality', 'tempting', 'splendid', 'brilliant', 'fascinating' 등으로 표현했고, 연구자의 미래지향적 기호와 움직임을 통한 편하고(comfortable) 즐거울 수 있는(enjoyable)개념 역시 포함되도록 하면서 작품 완성도를 높였다. 디자인 및 제작 포인트는 실제 카멜레온의 전체 라인, 색, 표피 질감 등 그 특징들을 분석하여 본 작품의 형태, 색, 텍스처 등을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요염한 변덕장이 카멜레온의 이미지가 암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 실루엣은 바디컨셔스 라인(body-conscious line)이다. 이것은 카멜레온의 날씬하고 미끈한 몸체를 이미지화 한 것이며 동시에, 속세적이면서도 미래적인 이미지가 암시적으로 표현되도록 한 것이다. 카멜레온 등뼈가 드러난 것을 드레스 등이 노출되도록 하여 표현하였는데 이것은 동시에 관능적이고 요염한 카멜레온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카멜레온의 유선형 머리부분 표현은 완만한 삼각형 모양의 후드패턴을 통해, 카멜레온의 길게 말린 꼬리 표현은 불규칙적인 플레어의 햄 라인으로 처리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카멜레온 색들은 선명한 비비드 톤이면서 동시에 빛 또는 기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것이 특징인데, 작품 제작 과정에서도 빛과 각도에 따라 드레스 색이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 효과를 가장 중요하게 연구하였다. 검정색 쉬폰 위에 퓨셔(fuchsia)색 작은 벨벳 물방울 무늬가 박힌 소재를 주 소재로 하여 표면에 입체적인 텍스처를 줌으로서 빛의 각도에 따라 두가지 색이 섞여져서 전체적으로 색이 다르게 보이는 착시 결과를 가져왔다. 허리에서의 빨강색과 파란색 계열의 다양한 스톤들은 실제 카멜레온 스킨 이미지와 더불어 돌출된 입체감과 그라데이션 효과로 인해 움직임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50% 쉬폰/50% 폴리에스테르에 벨벳 다트 무늬가 들어가 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옷감 표면에 탄성실을 이용한 스모킹 주름효과를 주는 기술을 접목시켜 flexible한 스트레치성 옷감으로 재탄생시킴과 동시에 소재 표면에 오돌토돌한 텍스처가 생기게 하였다. 이것은 카멜레온의 표피와 흡사하면서 동시에 몸에 밀착되는 결과를 가져와 섹시하면서도 편안한 작품 이미지 표현에도 적절한 역할을 한다. 스톤장식은 아크릴릭카보숑(acrylic cabochons)과 잼스톤(gemstones)들을 섞어서 사용했는데 카멜레온 등 표피 질감을 상징함과 동시에 색이 다르게 보이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본 작품의 포인트이다. 드레스 제작은 주로 바이어스 결을 이용한 드레이핑 기법을 이용하였는데, 후드가 앞 몸판과 연결되어 있고 불규칙적인 사각형들이 앞에서 뒤로 옆 솔기 없이 연결되어 있다. 옷은 살아 움직이는 사람이 입어서 가장 편하고 즐거우면 옷의 완성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카멜레온 드레스 역시 움직이는 신체와 함께 색이 다르게 보이는 기법과 효과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편하고 즐거운 Wearable Art를 완성할 수 있었다. 바로 이점이 입는 예술 즉, 입고 즐길 수 있는 옷에 예술미를 가미한 Wearable Art의 진미가 아닐까 생각한다.

애니메이션 입체 영화에 대한 연구 (Study of Animation 3-Dimensional Motion Picture)

  • 민경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9호
    • /
    • pp.127-142
    • /
    • 2005
  • Study of Animation 3-Dimensional Motion Picture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수백만의 인구가 영상을 접하고 있다. 영상은 움직이는 형상을 시각화 하는 것에서 지식, 정보 전달의 매체로서 자리 매김 하였다. 과학의 발전은 온라인(Online)시대를 열어주었고 온라인 시대의 정보습득은 지속적으로 고속화 되어, 과량의 정보 속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 관객들을 함께 가속화 시키고 있다. 선택적인 측면에서 시각적인 전달 방법은 급변하는 시대의 요구에 맞게 변화하게 된다. 다량의 정보 속에서 순간의 선택을 받기 위한 일한으로, 1차적인 요건은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이며, 그에 상응하는 만족감을 선사하는 것이다. 영상의 초기는 실제로 자신이 보고 있는 상황을 그대로 옮기고자 하는 욕구에서 출발한 것이다. 정지화면에서 만족하지 못한 인간은 움직이는 화면(Film)을 개발하였고 양안의 시점의 차이와 광선의 자극 반응을 감안한 실제 인지하는 시점보다 더 입체감을 만들어내는 영상을 가늠 해내는 연구를 하게 된다. 이는 컬러 필름(Color Film)에서 입체영상 개발까지 놀라운 성과를 누리게 된다. 인간의 가시적인 면에 대한 욕망의 추구 즉, 극대화된 실재감(Reality) 있는 볼거리 추구는 영상이 포함되는 모든 분야에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지금 수백만의 인구가 보편적으로 보고 있는 영상들은 평면적이다. 화면의 깊이 감(Depth)과 착시현상(Optical Illusion)은 효과적으로 현실감을 주며 정보를 전달한다. 하지만, 인간의 양안 시점차이로 인식하는 입체감은 평면속에서 만들어 내는 깊이 감으로는 현실감 있게 인식하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만족시킬 입체 영상) 입체영상은 영화에서 시작되었으나, 20c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애니메이션 분야와 모바일, 광고 패널, 텔레비전등의 매체를 이용한 입체 영상의 개발로 인하여 특정 분야에 한정 시킬 수 없으므로 영상으로 칭한다. 입체 영상은 21c에 들어서면서 영상매체의 한 분야로 급부상하고 있다. 1900년 무렵부터 연구된 입체영화(3-Dimensional motion Picture)는 In여 년이 지난 지금 대중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국내에서는 놀이 동산이나 박물관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HDW등의 대중화로 화질의 발전을 이룬 텔레비전 분야 등에서 실용화 될 전망이다. 국제적인 흐름과 함께 국내에서도 입체 영화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영상산업의 한 주류로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입체영상에 대한 이해와 콘텐츠(Contents)의 개발은 기술적인 진보에 발맞추어 준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술적인 계보에 발맞춘 영상 콘텐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자 앞으로의 발전분야에 대한 기술적인 면과 기법적인 면을 제시하여 기술만 앞서고 내용은 수입하는 수입국이기 보다는 미리 준비하여 비전문가나 타국의 기술에 선점 당하지 않는 분야로 성장할 수 있는 진보적인 영상 인들의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를 독려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