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ing ecology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24초

Optimal Cultivation Time for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in Fermented Milk and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on Rumen Degradability Using Nylon Bag Technique

  • Polyorach, S.;Poungchompu, O.;Wanapat, M.;Kang, S.;Cherdthong,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273-1279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an optimal cultivation time for populations of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co-cultured in fermented milk and effects of soybean meal fermented milk (SBMFM) supplementation on rumen degradability in beef cattle using nylon bag technique. The study on an optimal cultivation time for yeast and LAB growth in fermented milk was determined at 0, 4, 8, 24, 48, 72, and 96 h post-cultivation. After fermenting for 4 days, an optimal cultivation time of yeast and LAB in fermented milk was selected and used for making the SBMFM product to study nylon bag technique. Two ruminal fistulated beef cattle ($410{\pm}10kg$) were used to study on the effect of SBMFM supplementation (0%, 3%, and 5% of total concentrate substrate) on rumen degradability using in situ method at incubation times of 0, 2, 4, 6, 12, 24, 48, and 72 h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st yeast and LAB population culture in fermented milk was found at 72 h-post cultivation. From in situ study, the soluble fractions at time zero (a), potential degradability (a+b) and effective degradability of dry matter (EDDM) linearly (p<0.01)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supplemental levels and the highest was in the 5% SBMFM supplemented group.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SBMFM supplement on insoluble degradability fractions (b) and rate of degradation (c). In conclusion, the optimal fermented time for fermented milk with yeast and LAB was at 72 h-post cultivation and supplementation of SBMFM at 5% of total concentrate substrate could improve rumen degradability of beef cattle. However, further research on effect of SBMFM on rumen ecology and production performance in meat and milk should be conducted using in vivo both digestion and feeding trials.

어린 으름잎 추출물(Akebia quinata D. Leaves)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Extracts from Young Akebia quinata D. Leaves)

  • 전용섭;유양희;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0-206
    • /
    • 2014
  • 본 연구에서 어린 으름잎으로부터 추출된 열수추출물인 AQH와 80% 주정추출물인 AQE를 대상으로 3T3-L1 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에 의한 lipid accumulation, intracellular 중성지방 함량을 평가하고 free glycerol release 함량을 측정하여 지방세포형성 억제능을 확인하며,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고지방식이 섭취 하에 어린 으름잎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따른 체중과 백색지방에 작용하는 효과를 평가하여 어린 으름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AQH 및 AQE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QE 처리군에서만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Intracellular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도 AQE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지방세포 분화 중 배양액으로 유출되는 free glycerol 함량을 평가한 결과에서도 AQE 처리군의 유의적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AQE는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에 지방구 생성 억제 및 지방세포의 지방세포 생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마우스에서 8주간 고지방식이 하에 600 mg/kg/day의 AQE를 경구투여 하였을 때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및 체중증가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부정소 주위 및 신장 주위 백색지방의 감소가 나타났다. AQE 투여에 의한 체중 감소 및 부정소 주위 백색지방량의 감소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Orlistat의 경구투여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세포수준에서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지방구 생성 억제 작용과 실험동물에서 체중증가량 및 체지방의 감소 작용을 갖는 AQE는 향후 항비만 효과를 갖는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임신부의 건강식생활 가이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소비자요구도 조사 (A study on Consumer's Needs for Development of Diet Guide Application for Pregnant Women)

  • 김숙배;김정원;김미현;조영숙;김세나;임희숙;김순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88-59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needs of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 (App) development for nutritional management and information on pregnant women. A total of 105 pregnant women were investigat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health behavior and needs for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application.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31.9 years and the mean gestation period was 25.4 weeks. The rate of skipping meal was 39.0% and the rate of irregular meal time was 46.6%. The consciousness of the meal as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was 19.9%. Eating out at least forth a week was 35.3%. Obtaining information about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internet (35.3%), hospital or health center (19.9%), books (17.1%), experience (15.2%), mobile (8.6%) and friends or acquaintances (4.8%). If the application is developed, subject replied 'frequently use' (51.4%), 'when needed' (47.6%) respectively. The favour topic in developing application were 'nutrition information of pregnant and fetal' (36.2%), 'weight management, feeding' (33.3%), 'food choice and cooking' (21.9%), 'shopping' (5.7%), 'example of menu' (1.9%), 'effect of smoking, drinking, exercising' (1.0%). The favorite content was 'include sufficient amount about information' (44.8%). Depending on the age and education level, the best age for pregnancy group have significantly higher ability for utilize and information gathering than old age pregnant group. Also the best age for pregnancy group have high demands of design, convenience and various contents in App development. Therefore, mobile application (App) for pregnant women could be widely used as an effective dietary guide.

해양 자유생활형 선충류 Enoplolaimus sp. (Enoplida: Thoracostomopsidae)와 Bathylaimus sp. (Enoplida: Tripyloididae)의 배양용 적합배지 선정 및 초기 생활사 연구 (Sutdy of Appropriate Media Selection and Early Life Cycle of Marine Free-Living Nematodes, Enoplolaimus sp. (Enoplida: Thoracostomopsidae) and Bathylaimus sp. (Enoplida: Tripyloididae))

  • 신아영;김동성;강태욱;오제혁;이지민;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3호
    • /
    • pp.109-124
    • /
    • 2018
  • 실험실 내에서의 해양 선충류 최적 배양 조건을 찾기 위해 한천배지로 다양한 배지를 제작하여 선충류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충류 채집은 태안 만리포 조간대 중 하부의 사질 퇴적물 표층에서부터 약 5 cm의 퇴적물에서 이루어졌다. 배양에 이용한 한천 배지는 Killian 배지의 조성을 다소 변형하고, 한천 농도에 차이를 두었으며, 이 한천배지들을 직경 60 mm 페트리디쉬에 배지 높이가 2.0 mm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선충류의 먹이 생물로서 순수 배양한 미생물 5종을 혼합하여 각각의 배지에 첨가하였다. 각 배지에 Enoplolaimus sp. 5개체를 접종하여 $20^{\circ}C$, 암배양으로 설정된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Enoplolaimus sp.에 대하여 여러 조건의 실험을 반복 수행한 결과, Killian 배지에 소고기 육즙만을 첨가한 배지의 한천농도 1.0%에서 평균 생존시간이 246.8시간으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가장 낮은 생존시간은 Killian 배지에 bacto peptone과 소고기 육즙(beef extract)을 첨가한 한천농도 0.4%의 먹이 공급을 한 배지에서 평균 27.6시간으로 가장 낮은 생존시간을 나타냈다. Bathylaimus sp.는 Killian 배지 한천농도 1.0%의 먹이 공급을 하지 않은 배지에서 가장 높은 생존시간을 나타내었고, 산란량과 부화율 실험에서는 평균 7개의 알을 산란하였으며 평균 99.5시간 후에 94.7%의 부화율을 보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차세대염기서열 및 현미경 분석을 통한 저어새의 토사물 내 먹이생물 분석 (Analyzing Vomit of Platalea minor (Black-faced Spoonbill) to Identify Food Components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and Microscopy)

  • 김현정;이택견;정승원;권인기;유재원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165-173
    • /
    • 2018
  • 저어새의 먹이생물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6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인천 남동유수지에서 저어새의 토사물 시료를 채집하여 현미경 관찰 및 차세대염기서열(NGS)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저어새의 먹이생물은 어류, 갑각류, 다모류, 곤충류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로 저어새는 어류와 갑각류를 섭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우점 먹이생물은 풀망둑(Acanthogobius hasta)이었으며, 이 외에도 길게(Macrophthalmus abbreviates), 징거미새우류(Macrobrachium sp.),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 각시흰새우(Exopalaemon modestus),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가 우점 먹이생물로 출현하였다. 이들 먹이생물은 번식지 인근지역인 송도갯벌과 시화호에서 흔히 발견되며, 저어새는 채식지로써 이들 지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미경과 NGS로 분석한 일부 먹이생물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토사물 내 먹이생물은 저어새의 위 내에서 분해되어 현미경 분석을 통한 형태학적 분류 특징을 찾기 어려웠던 반면, NGS 분석은 유전자를 통해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형태학적 분석의 결과보다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인 결과이다.

수온, 먹이농도, 패각 크기가 Microcystis aeruginosa에 대한 말조개의 여과율 및 배설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Food Concentration, and Shell Size on Filtering Rate and Pseudofeces Production of Unio douglasiae on Microcystis aeruginosa)

  • 이연주;김백호;김난영;엄한용;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61-67
    • /
    • 2008
  • 유기물이 풍부한 유수역에서 서식하는 이매패 말조개를 대상으로 여과율(filtering rate, FR) 및 배설물 생산율(pseudofaeces production, PFP)에 대한 최적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온$(5{\sim}35^{\circ}C)$, 먹이농도$(49{\sim}491{\mu}g$ 엽록소-${\alpha}L^{-1}$), 패류크기 $(5.6{\sim}13.3cm)$ 조건 하에서 섭식실험을 실시하였다. 말조개는 적용한 $5{\sim}35^{\circ}C$의 온도범위 내에서, 수온 $15^{\circ}C$에서 가장 최고 FR을 보였으며, $5^{\circ}C$에서 최저치를 나타냈다. 먹이밀도는 낮을수록 높은 FR을 보였고, 높을수록 높은 배설물 생산율을 나타냈으며, 개체의 크기는 단위무게당 FR 및 PFP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조개의 여과율과 배설물 생산율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판단할 때, 말조개는 수온이 낮고 수심이 얕은 부영양 저수지에서 남조류 대발생 초기에 적용하면 높은 여과율로 수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나, 적용방법 및 생산된 배설물의 수중에서의 영향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래종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가 토착종 왕귀뚜라미(Teleogryllus emma)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vasive Cricket Species, Gryllus bimaculatus on the Survival of Korean Cricket Species, Teleogryllus emma)

  • 이은아;권오석
    • 생태와환경
    • /
    • 제46권1호
    • /
    • pp.67-74
    • /
    • 2013
  • 본 연구는 외래종 쌍별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 GB)의 도입에 따른 토착종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TE)의 개체군 크기 감소 위협이 예상됨에 따라, 왕귀뚜라미 (TE)와 쌍별귀뚜라미 (GB)의 체장과 개체수 비율에 따른 생존 경쟁을 조사한 실험이다. 실험에 사용된 쌍별귀뚜라미 (GB)와 왕귀뚜라미 (TE) 공시충은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곤충생태학연구실 내의 온실에서 대량 사육한 개체들을 사용하였다. 사육온도는 $28^{\circ}C{\sim}30^{\circ}C$이며, 장일 조건 (16L : 8D), 상대습도는 50%~60%로 유지하였다. 매일 두 종의 개체수를 계측하여 개체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더듬이를 제외한 체장 0.5 cm, 1 cm의 왕귀뚜라미 (TE)와 쌍별귀뚜라미 (GB)를 이용하여 왕귀뚜라미 (TE) : 쌍별귀뚜라미 (GB)의 개체수 비율을 1 : 2, 1 : 1, 2 : 1로 나눈 총 3가지의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개체가 작을 때에는 쌍별귀뚜라미 (GB)의 세력이 약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쌍별귀뚜라미(GB)의 세력이 왕귀뚜라미(TE)보다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생존종은 대부분 쌍별귀뚜라미 (GB)였으며, 쌍별귀뚜라미 (GB)의 노화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생존력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쌍별귀뚜라미 (GB)의 생존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왕귀뚜라미 (TE)의 생존율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자연상태에서 황새의 섭식 행동과 서식지 선택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Foraging Time Budget and Habitat Selection of Oriental White Storks (Ciconia boyciana) in Natural State)

  • 성하철;정석환;김정희;김수경;박시룡
    • 환경생물
    • /
    • 제26권2호
    • /
    • pp.121-127
    • /
    • 2008
  • 멸종위기종 황새의 보존와 복원 계획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황새의 섭식행동과 서식지 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 청원군 미원면 화원리에 있는 산지형 습지 일부에 울타리를 치고 황새 암수의 한 쪽 날개의 첫째날개깃 일부를 잘라 방사하여, 6월 16일부터 7월 11일까지 25일간 일일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섭식 행동 변화, 먹이 종류 및 양, 먹이 서식지 선택을 관찰하였다. 황새 암수의 하루 중 시간에 따른 섭식 시간과 휴식 시간은 이차함수적인 관계를 보여주었으나 이런 경향성은 25일간에 걸쳐 암수 간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또한 황새는 다른 유형의 서식지 및 같은 유형의 연구지역 끝 쪽에 위치한 습지(습지 2)보다 연구지역 중간에 있는 습지 (습지 1)를 더 많이 이용하였다. 습지 1에 대한 이용 정도는 25일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번째로 많이 이용된 논은 연구 기간 후반부로 갈수록 줄어들었고 반면에 습지 2와 통로의 이용 정도는 후반부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암컷은 수컷보다 섭식에 보다 많은 시간 소비하였으나 섭식효율성은 암수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추후 서식지 조성 및 관리적 측면에서 황새의 섭식행동과 생태에 대한 의의를 논의에서 다루었다.

한국산 민물 새우류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3. Palaemon modestus 유생의 먹이와 성장 (BIOLOGICAL STUDIES ON THE FRESH-WATER SHRIMPS IN KOREA 3. The Food an4 Growth of the Larvae of Palaemon modeatus)

  • 정경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5-60
    • /
    • 1971
  • Palaemon modestus 유생을 실험실 수조 내에서 사육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포란 개체의 산란 소요 시간은 실험실 수조내에서 8시간 이내였다($20^{\circ}C\~20.9^{\circ}C$). 2. 먹이를 주지 않았을 때 6일째부터 사망하기 시작하였다. 3. 유생의 섭이는 3일째부터 활발하므로 사육시 투이시기는 부화 3일째부터가 적당하겠다. 4. 수중 먹이량의 밀도와 식이 관계는 Artemia Salina의 nauplii $2\~6$마리/ml 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유생 사육일(X)과 먹이량(Y)과의 회귀 관계는 $Y=6.49824X^{1.8384}$이었다. 6. 유생의 갑장 성장은 $Y=1.1608X^{0.10024}$로 표시되었다. 7. 먹이량(X)에 대한 체장(Y)의 회귀 관계는 $Y=2.8114X^{0.12767}$로 표시되었다. 8. 갑장(X)에 대한 체장(Y)의 회귀 관계는 Y= 3.7564X-0.4601로 표시되었다.

  • PDF

비메트릭 다변량 척도법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멸종위기 국내 담수어류 20종의 먹이원 분석 (Analysis of Food Resources of 20 Endangered Fishes in Freshwater Ecosystems of South Korea using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Network Analysis)

  • 지창우;이대성;이다영;박영석;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4권2호
    • /
    • pp.130-141
    • /
    • 2021
  • 국내 멸종위기 어류 25종의 먹이원을 문헌 조사한 결과, 먹이원은 20문, 31강, 58목, 116과, 154속으로 나타났다. 먹이원 중 가장 많은 어류가 섭식한 먹이원은 분류군에 따라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로 조사되었으며, 식물류 먹이원은 돌말문, 윷돌말강, 반달돌말목, 반달돌말과로 조사되었다. 계층적 군집분석과 NMDS를 이용하여 멸종위기 어류 20종의 먹이원 유형화 결과, 어류를 주로 포식하는 충식성 어류와 식물플랑크톤을 섭식하는 어류 2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의 허브 점수가 높은 먹이원은 파리목,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 딱정벌래목으로 나타났으며 식물류 먹이원 중 허브 점수가 높은 쪽배돌말목과 반달돌말목, 김발돌말목으로 조사되었다. 먹이원 폭이 큰 어류는 연준모치(PP)와 열목어, 좀수수치, 가는돌고기, 꼬치동자개, 퉁사리, 묵잡자루, 미호종개로 Bi 지수 값이 0.3 이상으로 조사되어 다양한 먹이를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금강모치, 부안종개, 감돌고기, 흰수마자, 다묵장어, 돌상어, 얼룩새코미꾸리, 북방종개는 Bi 지수 값이 0.1 이하로 조사되어 먹이원 다양성이 낮게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