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s-extracting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31초

Factor Analysis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 정보시스템의 요구사항 분석 (Extracting Requirements for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based IS Deploying Factor Analysis)

  • Em, Natalia V.;Yoo, Kee-Dong;Suh, Eui-Ho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140-151
    • /
    • 2005
  • This paper discusses an empirical study on extracting requirements for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based information system (ubi-IS) using factor analysis. After preliminary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features specific to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have been retrieved, selected in terms of main elements of information system (IS) (network, device,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system), and further used as variables during conducting factor analysis. Quantitativ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approach.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manifested 5 factors containing 15 variables, and eventually, based upon the extracted factors the requirements for ubi-IS were identified.

  • PDF

옵셋팅을 위한 정규 삼각망 추출 (Extracting a Regular Triangular Net for Offsetting)

  • 정원형;정춘석;신하용;최병규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03-211
    • /
    • 2004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of extracting a regular 2-manifold triangular net from a triangular net including degenerate and self-intersected triangles.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obtaining an offset model without degenerate and self-intersected triangles. Then this offset model can be used to generate CL curves and extract machining features for CAPP The robust and efficient algorithm to detect valid triangles by growing regions from an initial valid triangle is presented. The main advantage of the algorithm is that detection of valid triangles is performed only in valid regions and their adjacent selfintersections, and omitted in the rest regions (invalid regions). This advantage increases robustness of the algorithm. As well as a k-d tree bucketing method is used to detect self-intersections efficiently.

EXTRACTING COMPLEX BUILDING FROM AIRBORNE LIDAR AND AIRBORNE ORTHIMAGERY

  • Nguyen, Dinh-Tai;Lee, Seung-Ho;Cho, Hyun-Koo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77-180
    • /
    • 2008
  • Many researches have been tried to extract building models and created a 3D cyber city from LiDAR data. In this paper, the approach of extracting complex building by using airborne LiDAR data combined with airborne orthoimagery has been performed. The pseudo-building elevations were derived from modified discrete return LiDAR data. Based on information property of the pseudo-height, building features could be extra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improvement of building extraction.

  • PDF

GroupMutual-Boost를 이용한 얼굴특징 선택 및 얼굴 인식 (Face Feature Selection and Face Recognition using GroupMutual-Boost)

  • 최학진;이종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3-20
    • /
    • 2011
  • 현재 일상생활에서 얼굴 인식은 신원확인, 보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얼굴인식의 과정은 첫 번째로 얼굴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해야 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특징을 학습하고 그 중 학습이 잘된 식별력 있는 특징을 선택하게 된다. 그 이후 식별력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얼굴이미지를 인식하게 된다. 얼굴인식을 위해 사용하는 얼굴이미지의 특징의 수는 매우 많다. 이 많은 특징을 학습 및 인식에 다 사용할 경우 학습 시간과 컴퓨팅 자원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여러가지의 Boosting 기법이 소개되어왔다. Boosting 기법은 특징을 효율적으로 선택하여 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을 좋게해주는 기법이다. 그 중 MutualBoost라는 기법이 있는데 이 기법은 특징간의 상호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을 효율적으로 선택하게 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MutualBoost의 효과를 더 증대시키기 위해서 개별적인 특징학습이 아니라 특징들을 Group화하여 특징학습을 하는 GroupMutual-Boost기법을 제안한다. 특징들을 Group화 함으로써 특징의 학습 및 선택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컴퓨팅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디오 셧의 감정 관련 특징에 대한 통계적 모델링 (Statistical Model for Emotional Video Shot Characterization)

  • 박현재;강행봉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2C호
    • /
    • pp.1200-1208
    • /
    • 2003
  • 비디오 데이터에 존재하는 감정을 처리하는 것은 지능적인 인간과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감정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비디오로부터 감정에 관련된 특징들을 검출하기 위한 컴퓨팅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셧에 존재하는 저급 특징들의 확률적인 분포를 이용하여 감정 이벤트 발생에 관련된 통계학적인 모델을 제안한다. 즉, 비디오 셧의 기본적인 특징을 추출하고 그 특징을 통계적으로 모델화 하여 감정을 유발하는 셧을 찾아낸다. 비디오 셧의 특징으로는 칼라, 카메라 모션 및 셧 길이의 변화를 이용한다. 이러한 특징들을 EM(Expectation Maximiz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GMM(Gaussian Mixture Model) 으로 모델링하고, 감정과 시간과의 관계를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확률분포 모델로 구성한다. 이런 두 개의 통계적인 모델들을 융합하여 베이시안 분류법을 적용하여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감정에 관련된 셧을 찾아낸다.

음성의 안정적 변수 추출 및 변수의 의미 연구 (Study for Extraction of Stable Vocal Features and Definition of the Features)

  • 김근호;김상길;강남식;김종열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97-104
    • /
    • 2011
  • Objectives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for selecting reliable variables from various vocal features such as frequency derivative features, frequency band ratios, intensities of 5 vowels and an intensity of a sentence, since some features are sensitive to the variation of a subject's utterance. Methods : To obtain the reliable voice variable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used as the index to evaluate the level of reliability. Since the distributions of a few features are not Gaussian, but are instead skewed to the right or left, we transformed the features by taking the log or square root. Moreover, the definition of the variables that are suitable to represent the vocal property was explained and analyzed. Results : At first, we recorded the vowels and the sentence five times both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of the same day, totally ten recordings from each of six subjects (three males and three females). We then analyzed the CVs of each subject's voice to obtain the stable features with a sufficient repeatability. The features having less than 20% CVs for all six subjects were selected. As a result, 92 stable variables from the 222 features were extracted, which included all the transformed variables. Conclusions : Voice can be widely used to classify the four constitution types and to recognize one's health condition from extracting meaningful features as physical quantity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r Western medicine. Therefore, stable voice variables can be useful in the u-Healthcare system of personalized medicine and for improving diagnostic accuracy.

백화점 공간의 연속 주시에 나타난 주의집중 특성 (Features of Attention Shown at Continuous Observation of Department-Store Space)

  • 최계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28-136
    • /
    • 2015
  • This research, which has been planned to appreciate the features of continuous observation of space, has applied the procedure of acquiring continuous visual information when the act of watching takes place along the time to analyze the spac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cenes and time so that the features of attention shown in the process of acquiring visual information at the time of observing continuous scenes might be estimated. For analysis of the features of continuous observation was set up the premise that the features of observation and perception vary depending on gender, when the women shops in department stores were selected as research objects. The observation features found at the time of continuous observation of selling spaces in department stores were focused on two analysis methods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First, the area with predominant observation was found to be 87.1% in both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analysis of observation features by "Analysis I" was useful for inter-sectional comparison of continuous images. Second, in case of extracting predominant sections, the ceiling or the structures which are the backgrounds rarely attracted any eyes. Depending on analysis method, there was the gap of 14.3%~25.0% between observed sections. Third, in case that the hall is curved, the eyes were found to be expanded from side to side and up and down. The review of observation numbers of predominant sections makes it possible to decide whether it should be regarded as (1) unstability or (2) expanding search, and when the images are enlarged from distant view to close-range view, the weakening vanishing point results in the increase of expanded search of surrounding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has effects on the observation features when any space was continuously observed. Furthermore, the difference of analysis methods also was found to be likely to cause big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observation features.

LIDAR 데이터로부터 지표점 추출을 위한 피쳐 기반 방법 (A Feature Based Approach to Extracting Ground Points from LIDAR Data)

  • 이임평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5-274
    • /
    • 2006
  • 지표점의 추출은 DTM 생성을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기존의 지표점 추출 방법은 대부분 점기반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점기반방법은 모든 개별점(point)에 대하여 해당 점이 지표를 구성하는 점인지를 시험하는 방법이다. 이 때 시험의 회수는 점의 개수와 동일하기 때문에, 특히 점의 수가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 계산량이 심각하게 늘어나 시험에 보다 정교한 기준과 전략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로 인해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만족할만한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시험하는 개체의 수를 줄이면서 보다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점이 아닌 피쳐에 기반한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피쳐란 점을 그룹화하여 얻을 수 있는 개체를 의미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먼저 점들로부터 표면패치들을 생성하고, 이어서 표면패치들로부터 표면집단들을 구성한다. 구성된 표면집단들로부터 지표에 해당하는 표면집단을 식별한 후 식별된 표면집단에 포함된 모든 점들을 지표점으로 명시한다. 이 방법을 항공 LIDAR 실측데이터에 적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뛰어난 성능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언어 모델 기반 음성 특징 추출을 활용한 생성 음성 탐지 (Voice Synthesis Detection Using Language Model-Based Speech Feature Extraction)

  • 김승민;박소희;최대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439-449
    • /
    • 2024
  • 최근 음성 생성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텍스트만으로도 자연스러운 음성 합성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발전은 타인의 음성을 생성하여 범죄에 이용하는 보이스피싱과 같은 악용 사례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음성 생성 여부를 탐지하는 모델은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음성 생성 여부를 탐지한다. 본 논문은 생성 음성으로 인한 악용 사례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음성 특징 추출 모델을 제안한다. 오디오를 입력으로 받는 딥러닝 기반 오디오 코덱 모델과 사전 학습된 자연어 처리 모델인 BERT를 사용하여 새로운 음성 특징 추출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이 제안한 음성 특징 추출 모델이 음성 탐지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추출된 특징을 활용하여 4가지 생성 음성 탐지 모델을 만들어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성능 비교를 위해 기존 논문에서 제안한 Deepfeature 기반의 음성 탐지 모델 3개와 그 외 모델과 정확도 및 EER을 비교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88.08%로 기존 모델보다 높은 정확도와 11.79%의 낮은 EER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음성 특징 추출 방법이 생성 음성과 실제 음성을 판별하는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언어 분석 자질을 활용한 인공신경망 기반의 단일 문서 추출 요약 (Single Document Extractive Summarization Based on Deep Neural Networks Using Linguistic Analysis Features)

  • 이경호;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8호
    • /
    • pp.343-348
    • /
    • 2019
  • 최근의 문서요약 시스템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End-to-End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인간의 자질 추출 과정이 필요 없으며 데이터 중심의 접근 방법을 채택한다. 그러나 기존의 관련 연구들은 품사 정보, 개체명 정보, 단어의 빈도 정보와 같은 언어 분석 자질이 중요 문장을 선택하여 요약을 작성하는데 유용함을 보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언어 분석 자질을 활용하여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단일 문서의 추출 요약 시스템을 제안한다. 언어 분석 자질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자질을 사용하는 모델과 사용하지 않는 모델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자질을 사용하는 모델이 그렇지 않은 모델에 비해 약 0.5점의 Rouge-2 F1점수 향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