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al cases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3초

Chloromethylisothiazolinone (CMIT)과 Methylisothiazolinone (MIT)의 건강영향에 대한 고찰 - 가습기 살균제 폐 손상을 중심으로 - (Review of Health Effects Caused by Chloromethylisothiazolinone (CMIT) and Methylisothiazolinone (MIT) - Focusing on Humidifier Disinfectant-associated Lung Injury (HDLI) -)

  • 박동욱;김지원;류승훈;박지훈;권정환;이소연;박소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2-323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summariz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toxicity, and legal regulation of chloromethylisothiazolinone (CMIT) and/or methylisothiazolinone (MIT), review the health effects caused by exposure to CMIT/MIT, and evaluate the individual association of lung injury with the use of humidifier disinfectants (HD) containing a mixture of CMIT and MIT. Metho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searching keywords such as CMIT, MIT, health effect, dermatitis, asthma, and lung injury, either singly or combined. Results: Both CMIT and/or MIT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everal types of adverse health effects. In particular, respiratory diseases including asthma, nasal symptoms, cough, and rhinitis were caused by the use of products including CMIT or/and MIT. The mixture of CMIT/MIT has been banned in cosmetics. As of the end of 2017, nine patients who were confirmed to have HD associated lung injury (HDLI) were found to have used only an HD brand containing CMIT and MIT. Their responses regarding the name of the HD used could be trustworthy based on the short duration of HD use (less than six months) before the onset of HDLI and frequent use of HD per day. Conclusion: According to the toxicity and HDLI cases, the use of HD containing CMIT and /or MIT can cause fatal lung injury. Further study with manufacturers' assistance is necessary in order to obtain more clear evidence on the causal relationship since HDLI cases are being reported continuously.

농산물(農産物) 수입개방(輸入開放)과 소비자(消費者) 의식(意識) - 大邱(대구).경북지역(慶北地域) 소비자(消費者)들에 대한 사례조사(事例調査)를 중심(中心)으로 - (The Consumers' Consciousness toward the Import Liberal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 A peculiar case study about Consumers in Taegu.Kyungpook Area -)

  • 이호철;유병규;김두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71-86
    • /
    • 1991
  • This study has tried to illuminate a shocking phenomenon, the import liberal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aspect of Consumer consciousness. It has been applied that Table Analysis by using computer programming for instance-MINITAB,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ngs lik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mparing domestic and imported stuffs, Comsumers came to awareness that domestic products superior to foreign's in the cases of the degree of freshness, taste and pollution damage, in the meanwhile, inferior to the cases of price and wrapping. Food self-supplymen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of all, moreover, by most comsumers and health food and conventional food are favored by high class people. 2. Bying imported stuffs could clearly be fatal blow to our agriculture is fully recognized among consumers, what is more, there would only be doomed to our agriculture, too. 3. The most mass-purchasing imported stuffs by consumers illustrates in order; Beef, Banana, Coffee and Tabacco etc.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why consumers buy foreign product is that the prices of them a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ours. Besides, the next causes lies to non-producing stuffs and curiosity. 4. It must've been generally conceived by most consumers that Open-the-market-policy has been progressed for USA's repression and our monopolistic capital. Therefore, they demand that our market should be contained against unadviciable wave, moreover, keep paying attention to the policy how it will work to protect Korean agriculture. 5. Consumer attitude toward buying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is double-faced, Never-buy occupied only 24.4 % among respondents, but overwhelming respondents say non-producing stuffs can be obtained selectively. In this case, however, never-buy-movement would be backed by consumers in proportion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6. Various consumer minds surrounding Open-the-market-situation, in the end, has been analized econometrics through eleven variables to approach accurate fulfillments.

  • PDF

신생아기에 진단된 미토콘드리아 질환 3례 (Three Cases of Mitochondrial Disorders in the Neonatal Period)

  • 김윤희;이영목;남궁란;김정은;이순민;박국인;김세훈;이진성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54-261
    • /
    • 2010
  • 신생아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임상 증상이 다양하고 비특이적이라 진단이 어렵고, 치명적으로 생존율이 낮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기에 미토콘드리아 질환 소견으로 치료한 3례를 보고하였다. 증례 1은 갑작스럽게 발생한 강직성 경련, 의식 소실 및 심한 대사성 산증과다기관 기능 부전으로 미토콘드리아 병증이 의심되었다. 혈장내 젖산/피루브산염 비가 55.6, 아미노산 검사에서는 알라닌 2,237 nmol/ml로 증가되었다. 증례 2에서는 급성 부신기능부전과 급성 신부전으로 복막 투석을 하였으나 대사성 산증이 지속되었다. 혈장 내 젖산/피루브산염 비가 23.9였고, 근 조직을 이용한 효소 분석에서 1번 복합체의 호흡 사슬 결함이 진단되었다. 증례 3은 출생 후 2개월간 반복되는 대사성 산증과 기면, 수유 곤란 소견을 보였다. 혈장 내 젖산/피루브산염 비가 19.4로 정상 범위의 경계에 있었으나 뇌척수액 검사상 젖산/피루브산염 비가 57로 현저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고, 뇌 자기 공명 분광경 검사에서 lactate peak 소견을 보였다. 근 조직을 이용한 효소 분석에서 2번 복합체의 호흡 사슬 결함이 진단되었다. 세증례 모두에서 미토콘드리아 질환 소견으로 비타민, 조효소 Q10 및 L-카르니틴을 투여하였다.

흉쇄 관절에 발생된 결핵성 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 2예 보고 - (Operative Treatment of the Tuberculous Arthritis on the Sternoclavicular Joint - A Report of Two Cases-)

  • 박진영;김정우;전철홍;권석현;최윤홍;이석중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57-61
    • /
    • 2008
  • 흉쇄 관절의 결핵성 관절염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흉쇄 관절 부위의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동통이나 종창, 미열이 있으면서 결핵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 결핵성 관절염을 의심해야 하고 혈액 검사, 방사선 검사, 조직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흉쇄 관절 결핵 관절염의 경우 1년 이상의 항결핵제 투여가 필요하며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증상이 진행되어 흉쇄 관절의 관절 파괴 소견이 보이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되는데 수술적 치료 시 흉쇄 관절의 늑쇄골 인대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과도한 변연 절제술로 인해 흉쇄 관절의 주위의 종격동, 늑막 등의 중요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저자들은 경험한 2예의 흉쇄 관절 결핵 관절염에서 변연 절제술로 증상의 호전을 가져온 1예와 변연 절제술 후 종격동 농양, 삼출성 늑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된 1예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만성 메이-터너 증후군에서 시행한 외과적 혈전 제거술 - 2예 보고 - (Surgical Venous Thrombectomy for Chronic May-Thurner Sysndrome - 2 cases report -)

  • 이길수;김용훈;민선경;김형래;이봉기;강성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77-683
    • /
    • 2009
  • 메이-터너 증후군은 좌측 장골정맥이 우측 총장골동맥에 눌러져 발생하는 장골-대퇴정맥의 심부정맥 혈전증이다. 비록 카테터를 이용한 혈전제거 술과 혈전용해 및 스텐트 삽입술이, 기술적 수월함과 낮은 재발율로 인해 급성기 혹은 아급성기의 메이-터너 증후군 환자들에게 보편적인 치료법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더군다나 만성 메이-터너 증후군 환자에서의 궁극적인 적절한 치료법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2예의 만성 메이-터너 증후군 환자에서 혈관 내 치료법 실패 후 수술적 혈전제거 술과 스텐트 삽관술, 동정맥루 조성술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수술적 치료법은 일부 혈관 내 치료가 적응증이 될 수 없는 환자에게 유의한 치료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식도천공의 치료 및 임상고찰 (Clinical Analysis and Treat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 박훈;박남희;박창권;이광숙;금동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11-116
    • /
    • 2006
  • 배경: 식도천공은 즉시 진단되어 치료하지 않으면 높은 이병률과 사망률을 보인다. 수술 방법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식도천공의 치료의 시기와 방법은 아직 논쟁의 여지가 많은 상태이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에서 2004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식도 천공을 진단받은 38명의 환자에서 차트를 이용하여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과: 환자는 남자가 28명, 여자가 1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3.84$\pm$18.89세($1{\~}73$세)였다. 천공은 경부에서 8예, 흉부가 28예 그리고 복부가 1예 발생하였고 자연성 식도 천공이 $34\%$, 의인성이 $32\%$ 그리고 외상성이 $34\%$로 조사되었다. 치료는 경부식도 천공에서는 일차봉합 6예, 배농만 시행한 경우가 2예였으며, 흥부식도 천공에서는 일차봉합 14예, 식도 절제술 3예 그리고 보존적 치료가 12예였다. 사망률은 경부 식도 파열이 $25\%$, 흉부식도 파열이 $34\%$였다. 환자의 생존에 유의한 위험인자는 술 전의 패혈증 여부로 나타났다. 결론: 식도파열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가 술 전의 패혈증 상태로 나타났다 술 전에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치료가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간질성 폐렴과 폐암수술 (Interstitial Pneumonia and Lung Cancer Surgery)

  • 사영조;왕영필;박재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304-309
    • /
    • 2006
  • 배경: 간질성 폐렴(IP)은 폐암의 발생과 깊은 관련이 있으나 수술 후 경과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술전 간질성 폐렴과 수술 후 급성 호흡부전의 발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근치적 수술을 시행받은 원발성 폐암환자 672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검토를 시행하였다. 수술 전 흉부 HRCT소견이나 수술 표본의 병리조직 판독서에서 간질성 폐렴이 확인된 환자들을 간질성 폐렴(IP)군으로 구분하여, 비합병(non-IP)군과의 사이에 수술 전 검사치와 암 관련 사항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IP군에서는 급성 호흡부전의 발생군과 비발생군 사이에서 급성 호흡부전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이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근치적 수술을 시행 받은 672예 중 28예(4.2%)에서 수술 후 급성 호흡부전증이 합병되었으며, 672예 중 수술 전에 IP의 동반이 확인되었던 증례는 53예(7.9%)였다. IP 동반례에서는 6예(11.3%)에서 수술 후 급성 호흡부전증이 합병되었으며, IP가 없었던 619예에서는 22예(3.6%)에서 합병되었다. 급성 호흡부전증의 합병환자 28예 중 21예에서 사망하여 사망률은 75%였다. 결론: 간질성 폐렴은 폐암 수술 후 급성 호흡부전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차량 탑재형 고소작업대의 사고분석을 통한 안전대책 고찰 (Review of Safety Measures through Analysis of Accidents on the Vehicle-mounted MEWP(mobile elevated work platforms))

  • 이준호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47-5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고소작업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 탑승형 고소작업대의 재해사례분석을 통해 예방대책을 제안하였다. 높은 위치에서의 고소작업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 치명적인 인명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전 대책이 더욱 절실하다. 이에 고소작업 중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사고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유형별 안전대책을 제시하고, 나아가 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관련법규의 제정 또는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소작업대의 사고유형을 크게 4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와이어로프 구동시스템 불량, 둘째 허용 작업반경 초과로 인한 전도 및 붐 파손, 셋째 턴테이블 불량, 넷째 아우트리거 불량으로서, 가 유형별 사고사례를 분석하고 안전대책을 제시하고, 현행 규정상 고소작업대의 운전 조종에 관한 아무런 규정이 없어서 고소작업대의 운전 조종에 관한 교육 및 자격증 신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증가하고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고소작업대의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 기준을 강화하는 정책에 발맞추어 법규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실무에 적용된다면 고소작업대로 인한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anthamoeba in Southeast Asia - Overview and Challenges

  • Bunsuwansakul, Chooseel;Mahboob, Tooba;Hounkong, Kruawan;Laohaprapanon, Sawanya;Chitapornpan, Sukhuma;Jawjit, Siriuma;Yasiri, Atipat;Barusrux, Sahapat;Bunluepuech, Kingkan;Sawangjaroen, Nongyao;Salibay, Cristina C.;Kaewjai, Chalermpon;Pereira, Maria de Lourdes;Nissapatorn, Veeranoot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4호
    • /
    • pp.341-357
    • /
    • 2019
  • Acanthamoeba, one of free-living amoebae (FLA), remains a high risk of direct contact with this protozoan parasite which is ubiquitous in nature and man-made environment. This pathogenic FLA can cause sight-threatening amoebic keratitis (AK) and fatal 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 (GAE) though these cases may not commonly be reported in our clinical settings. Acanthamoeba has been detected from different environmental sources namely; soil, water, hotspring, swimming pool, air-conditioner, or contact lens storage cases. The identification of Acanthamoeba is based on morphological appearance and molecular techniques using PCR and DNA sequencing for clinico-epidemiological purposes. Recent treatments have long been ineffective against Acanthamoeba cyst, novel anti-Acanthamoeba agents have therefore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There are efforts to utilize synthetic chemicals, lead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and animal products to combat Acanthamoeba infection. Applied nanotechnology, an advanced technology, has shown to enhance the anti-Acanthamoeba activity in the encapsulated nanoparticles leading to new therapeutic options. This review attempt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available data and studies on the occurrence of pathogenic Acanthamoeba among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member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some potential contributing factors such as distribution, demographic profile of the patients, possible source of the parasite, mode of transmission and treatment. Further, this review attempts to provide future direction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Acanthamoeba infection.

CA 19-9 결과보고 개선을 위한 One step 방식과 Two step 방식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One Step Method and Two Step Method to Improve Reporting of CA 19-9 Results)

  • 안재석;김지나;박광서;주은빛;윤상혁;김윤철
    • 핵의학기술
    • /
    • 제28권1호
    • /
    • pp.81-87
    • /
    • 2024
  • Purpose: CA 19-9 is the most widely used tumor marker for the diagnosis of digestive system tumor, especially pancreatic and biliary tract canc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result value near reference range by comparing the reagents of CA 19-9 one step method and two step method.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a standard for selecting reagents. Material and Methods: 120 patients who visited the National Cancer Center in 2023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reagents used in the study were CA 19-9 IRMA kits (Shinjin, Korea) and three types of reagents were compared. Two step method reagent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A), one step method reagent (B) and two step method reagent improved by request (C) were compar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ir data. And we also performed recovery test, linearity test and hook effect test for each reagent. Result: There were 46 cases of reagent B in which the concentration value was lower than the result measured in reagent A that was previously used, and 77 cases of reagent C.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reagents A, B, and C,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reagents A and B, reagents A and C, and reagents B and C were 0.653, 0.577, and 0.875. In the recovery rate test and the linearity test, the results of all reagents were good, and in the hook effect test, reagent B showed a hook effect at a low value. Conclusion: The improved reagent C appears to have been improved based on the concentration value of reagent B, which the manufacturer judged to be more stable at low concentrations. The hook effect in reagent B can be a fatal reason for disqualification when selecting reagents in general patient samples which high-concentration samples appear frequently. The first improved reagent C will be able to be used once it is confirmed that it has more stability for various concentration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