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r-infrared drying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Lighting Compressed by Injection Yellow Ocher Soil

  • Kwak, Woo-Seob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 /
    • v.19 no.6
    • /
    • pp.452-459
    • /
    • 2008
  • The compressed injection yellow ocher soil is the process-technology by drying the product through sunshine, not by firing like pottery and ceramic ware. It is the technology of development being able to achieve the far infrared ray and humidity adjustment by adding recycling paper, Korean paper and bamboo salt, and it corresponds with the construction enforcement ordinance 2007 as an interior-finishing product which is fire-resistant. In case that the yellow ocher soil would be used as lighting device and interior-finishing material and decoration, it could contribute to an improvement of National Health by avoiding the sick house syndrome and adding humidity adjustment, and it has more efficient economic effect due to using recycle-available additives. Through such developments of the yellow ocher soil products the domestic market of ligh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aterial can be advanced and the replacement effect of imported goods & also export effect can be expected accordingly.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r Infrared Ray Drying for Rough Rice(II) - Rice Quality evaluation - (벼의 원적외선 건조특성에 관한 연구(II) - 원적외선건조와 열풍건조 쌀의 품질평가 비교 -)

  • Kim, Y.H.;Kim, H.;Keum, D.H.;Cho, Y.K.;Cho, K.H.;Han, C.S.;Han, K.J.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57-162
    • /
    • 2002
  • 지금까지 우리나라 벼농사는 고품질 쌀의 생산보다는 다수확재배기술로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 농가소득에 유리하였다. 그러나 소비수준이 높아지고 쌀의 제고가 충분한 현시점에서는 풀질의 경쟁력 향상이 더욱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건조, 저장, 가공 등 기반시설의 현대화하여 브랜드화에 의한 차별화를 통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쌀의 밥맛을 결정하는 요인은 품종, 재배, 관리, 수확에 이르기까지 관계가 있겠지만, 수확후처리 공정과정에서도 품질의 우열이 좌우된다 특히 건조 중 열풍온도 관리 소홀로 인하여 과건이 되는 경우에는 밥맛에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Instant Soybean Soup for Soybean Noodles Using the Yellow and Black Soybean (노란콩과 검정콩을 이용한 콩국수용 즉석 콩스프의 개발)

  • 강태수;공영준;홍거표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7 no.4
    • /
    • pp.384-38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process conditions of instant soybean soup for the soybean noodles. The process of soybean soup was in the other or soaking, cooking, peeling, drying, milling and packaging. The optimal conditions of soaking process obtained at 25$\^{C}$ for 4hrs, and the protein content of yellow and black soybean after soaking treatment were 21.97% and 19.58%, respectively. As the increasing of cooking time, the moisture content was not changed, and optimal cooking condition through the sensory evaluation was obtained at 100$\^{C}$ and 15min. The protein contents of cooked yellow and black soybean dried by hot-air and far infrared-ray were 43.40∼44.18% and 44.59∼51.36%,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yellow and black soybean dried with far infrared-ray at 45$\^{C}$ for 5hrs were excell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rketed soybean soup and instant soybean soup produced by this experimental process for soybean noodles was not exist.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instant soybean soup for soybean noodles was determined to be 50g of soybean powder with 1L water.

  • PDF

Effect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on Inhibition of Lipid Oxidation in Lard-Pork Model System During Storage at $4^{\circ}C$

  • Park, Jae-Hee;Kim, Chang-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v.16 no.5
    • /
    • pp.753-75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aprika in the lard-pork model system adding ground fresh paprika (3%) and paprika powders (5%). Paprika powders were obtained through 4 drying methods (freeze, vacuum, far infrared-ray, and hot-air). In the lard and meat-fat mixture (containing lard 30%) containing paprika powders, the rate of increase in the peroxide value (POV)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decreased notably during the refrigerated storage ($4^{\circ}C$) compared to the control without paprika. Therefore, paprika powders show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especially the freeze dried paprika powder revealed the most effective activity among them. However, its antioxidant activity was still lower than that of the fresh paprika because the addition of fresh paprika in the lard and meat-fat mixture merely increased the POV and TBA value. In linoleic acid oxidation, the addition of capsanthin 500 ppm to mixed linoleic acid and 10 ppm of $FeCl_3$ (LF) inhibited the formation of peroxides by 15.2% compared to LF, showing its iron scavenging ability. When mixed antioxidants (${\beta}$-carotene 200 ppm + ascorbic acid 100 ppm, capsanthin 200 ppm + ascorbic acid 100 ppm) were added in LF, synergistic effects were obtained with 57.7 and 60.4% of inhibition of peroxide formation, respectively.

Characteristics of Far Infrared Heater for Grain Drying (곡물 건조용 원적외선 방사체의 특성)

  • 이호필;김유호;한충수;연광석;조성찬;이재석;조영길;최태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49-354
    • /
    • 2002
  • 쌀 소비량은 생활 수준 향상과 외식 및 식품 산업의 발달로 감소하고, 고품질 쌀을 요구하는 성향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고품질 쌀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과 제반 요건은 구비되어 있으나, 수확 후 건조·저장 중에 쌀의 품질이 저하된다. 특히 건조 중 품질 저하는 고온건조에 의한 동할 발생 및 과건조가 주요 원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적외선 건조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율이 높고, 접착성 및 내열성 등이 강한 곡물 건조기용 방사체 코팅원료를 개발하고, 이 원료를 원적외선 방사체에 코팅한 후 방사체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표면 온도 분포 및 연료 소비량 등을 측정 분석하여 방사체의 특성과 적정 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라믹 코팅 원료의 배합비는 세라믹분말 40%와 결합재 60%가 접착력과 가열경화 후 표면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노즐의 유량 및 분무각에 따른 버너의 화염길이 및 폭은 노즐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방사체 위치별 표면온도편차는 방사체 길이가 1350mm인 것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열풍유동관 직경이 Rounding type의 경우 76.3mm, Right angle type의 경우 89.1mm일 때 표면 온도편차가 적었다. (4) 연료소비량은 열 풍유동관 직경이 클수록, 방사체 길이가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Right angle type이 Rounding type에 비하여 연료소비량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r Infrared Ray Drying for Rough Rice(III) - Performance test of far infrared ray dryer - (벼의 원적외선 건조특성에 관한 연구(III) 원적외선 건조기 성능시험)

  • 김유호;조영길;조광환;이선호;김영민;한충수;금동혁;한종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13-21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건조방법을 연구하여 곡물건조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원적외선ㆍ열풍 복합열을 이용한 곡물건조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방사체길이가 1,680mm일 때 보다 1,470mm일 때가 방사체 표면온도가 높게 나타났고,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열풍온도를 5$0^{\circ}C$로 설정했을 때 방사체의 표면온도분포는 280-29$0^{\circ}C$을 유지하였고, 6$0^{\circ}C$일 때는 30$0^{\circ}C$ 부근에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조건 모두에서 온도편차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균일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곡물의 품질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나. 열풍온도 5$0^{\circ}C$, 조사거리 125mm, 방사체 길이 1,470mm에서 방사체 길이방향으로 위치에 따라서 온도편차를 측정했을 때 버너를 기점으로 해서 근거리에서부터 원거리까지 균등 분할하여 5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곡선을 분석한 결과 위치 3에서 온도가 높았고, 계속해서 위치 4, 5, 2, 1순으로 나타났다. 버너의 근거리에서보다 원거리에서 온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원적외선방사체를 통과하는 열풍이 빠져나가도록 되어있는 열풍유동관이 버너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버너에 불꽃이 점화되면서 열풍이 방사체 끝쪽으로 유동되기 때문이다. 다. 건조실 수직면 길이방향의 온도는 열풍공기가 열풍실에서 유입되는 하단부이 온도가 높게 나타났고, 버너쪽과 송풍기쪽의 온도차는 나타나지 않아 온도분포의 좌우 대칭이 잘 되어 균일 건조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건조실의 수평면에 대해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라. 바닥면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상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온도가 떨어지는 반면 하부에는 외부공기 유입이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풍실의 길이방향 위치별 온도 분포에서도 같은 현상으로 나타났고, 버너쪽과 송풍기쪽의 온도편차는 나타나지 않아 균일 건조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열풍온도를 45$^{\circ}C$로 설정하고 조사거리와 방사체 길이를 각각 119, 1,470mm로 하여 벼의 건조성능시험을 열풍건조기(대비구)와 비교시험 결과 시험구에서 건감률, 건조소요에너지가 각각 0.58%(w.b.), 470kcal/kg - water로 대비구보다 각각 건감율은 23% 높았고, 건조소요에너지는 2%의 절감되었다. 바. 건조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버너쪽 근처에서는 대비구 94.12㏈의 87%에 불과하였으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것은 버너에서 멀어질수록 외부적인 요인이 소음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 시작기와 대비구간의 경제성에서 시작기의 구입가격이 20% 비싸기 때문에 시간당 고정비가 높았으나, 건조성능이 우수하여 건조비용이 69,350원/톤으로 대비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Casual Hanbok Design made of Hanji Yarn Textiles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Woman (뉴실버세대 여성을 위한 한지직물 활용 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연구 -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

  • Han, Nam-Ki;Park, Eun-Hee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10 no.5
    • /
    • pp.702-712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sual Hanbok design made of Hanji yarn textiles for New Silver generation women. The New silver generation is a coined word which has meaning of a newly silver generation and it is distinguished from pre-silver generation. New silver generation is a generation that is independent and given active role by their age groups and generational characteristic. The concept of silver generation was introduced from maturity market in Japan. This study was based on analysis about their preference of forms, colors, and materials of Casual Hanbok. The survey target were 270 female over age 50 living in Daejeon City. The analysis methods used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Although almost of them haven't worn Casual Hanbok, they had the positive recognition on wearing one. They preferred longer length jacket to traditional Korean style, shorter length of skirt. They also preferred the traditional sleeve shape and knotted buttons. On the foundation of this fact, 2 styles consist of 5 Casual Hanbok design items made of functional material - Hanji yarn textiles that have antimicrobial, deodorant, quick drying, far infrared radiation which are not harmful to health - for New silver women were suggested. One style was 3 items - blouse, vest, skirt - which are the sense of Korean tradition with activity by patch. The other was 2 items - jacket and skirt - which are the sense of Korean tradition with modern way by quilting. Lastly, these garments were evaluated by 13 experts, they were satisfied with 2 styles and all items. As this study were based on the Elderly women living in Daejeon city, it had the limitation on applying of preference styles to all the New silver generati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Design of Fiber Mat Catalytic Burners (매트 형태 연소촉매를 사용하는 촉매버너의 구조와 연소특성)

  • Song, Kwang-Sup;Jung, Nam-Jo;Kim, Hee-Yeo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7 no.2
    • /
    • pp.100-106
    • /
    • 2008
  • Flameless fiber mat catalytic burners have been known as an effective heat source in industrial drying processes since heat obtained from combustion can be transferred to absorptive body by far-infrared radiation. In order to extend the application of fiber mat catalytic burner, novel fiber mat catalytic burners were manufactured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investigated. For diffusive catalytic burners, the efficiency of combus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stallation direction and the temperature of catalytic bed perimeter influenced on the diffusion rate of oxygen which determined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catalytic burner. It was seen in premixed catalytic combustion that air content in premixed fuel gas was optimized at slightly higher than theoretical amount of air. Combustion heat released higher than 70% by radiant heat in premixed catalytic combustion likewise diffusive catalytic combustion.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r Infrared Ray Drying for Rough Rice(I) (벼의 원적외선 건조특성에 관한 연구(I))

  • 김유호;조영길;조광환;이선호;김영민;한충수;이호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55-36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열풍 복합건조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건조용량 150-500kg이고, 승강기, 상.하부스크류, 건조실, 템퍼링실, 송풍기 및 가열장치로 구성된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건조특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열풍온도에 따른 곡온변화를 시험한 결과 열풍온도 45$^{\circ}C$일 때 곡온 32-33$^{\circ}C$를 유지하였으며, 48, 51$^{\circ}C$일 때는 곡온이 35$^{\circ}C$가 넘어서는 현상을 나타났다. 건조중 곡온이 35$^{\circ}C$를 넘어서게 되면 동할미 발생량이 많아지고 품질저하가 급격히 일어난다. 나. 템퍼링실의 온도편차가 2,5$^{\circ}C$ 정도로 고른 온도분포를 나타내었고, 버너 입구쪽과 템퍼링실 중앙지점에서 온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원적외선방사체 표면온도분포는 열풍온도가 45$^{\circ}C$일 때 평균 17$0^{\circ}C$를 유지하였고, 48$^{\circ}C$, 51$^{\circ}C$일 때 각각 22$0^{\circ}C$, 23$0^{\circ}C$에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원적외선방사체 길이방향으로 온도편차는 버너를 기준으로 해서 버너쪽에서 멀수록 온도가 높았고, 중간, 근거리 순으로 나타났다. 버너의 원거리쪽에서 온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원적외선방사체를 통과하는 열풍이 빠져나가도록 되어있는 열풍 유동관이 버너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버너에 불꽃이 점화되면서 열풍이 방사체 끝쪽으로 일시 머물렀다가 배출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라. 건조기의 송풍량을 요인으로 하여 건조속도와 건조에너지를 비교한 결과 송풍량이 30cmm일 때가 25cmm에서보다 약 33%의 건조속도가 증가되어 송풍량이 많을수록 건조속도가 빨라졌으나, 건조에너지는 1,391kcal/kg.water로 나타나 약 4.2%정도가 더 소요 되었다. 곡물순환속도를 요인으로 하여 비교 시험한 결과 곡물순환속도가 33kg/min일때가 26kg/min보다 약 25%의 건조속도가 증가되어 곡물의 순환속도가 빠를수록 건조속도가 빨라졌으며, 건조에너지도 1,334kcal/kg.water로 비슷하게 소요되었다. 마. 시험구와 대비구의 건감률은 시험구에서 1.08~1.36w.b./h로 나타나 대비구보다 약 9.9~18.3%가 높게 나타났고, 건조에너지는 10.2~14.6%가 절감되었다. 발아율은 열풍온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시험구가 대비구보다 발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동할률 증가량도 원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