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n effect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3초

물리적 처리에 따른 우육추출물중의 BSA와 BGG단백질의 SDS-PAGE패턴 및 항원성의 변화 (Changes of SDS-PAGE Pattern and Allergenicity of BSA and BGG in Beef Extract Treated with Heat and High Pressure)

  • 한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94-599
    • /
    • 2006
  • 이전의 연구에서, 우육중의 주된 알레르겐은 우육추출물 중의 BSA, BGG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단백질의 열처리와 초고압처리와 같은 물리적 처리에 따른 SDS-PAGE상의 변화와 우육알레르기 환자의 혈청을 이용한 알레르겐성의 변화를 Western blots로 관찰하였다. 우육추출물에 대한 열처리에 의한 알레르겐 단백질의 변화에서, $100^{\circ}C$ 가열처리군에서 BSA band는 큰 감소를 보였으나, BGG band는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남아 있었고, 항원성 역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는 하였으나 여전히 유지되고 있었다. $120^{\circ}C$이상의 열처리는 추출물중의 BSA와 BGG band 의 소실과 이에 따른 항원성의 큰 감소를 가져왔다. 우육추출물중의 BSA단백질은 열처리에서와 달리 초고압처리에 의하여 전기영동상에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BGG 단백질은 400 MPa 가압처리군부터 전기 영동상 band가 감소하였고, 항원성 역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초고압처리 정도에 따른 우육추출물중의 BSA와 BGG를 포함한 여러 분자의 SDS-PAGE상의 특이적 변화가 최초로 시사된 결과이다. 이러한 BGG 단백질의 고압처리에 의한 변화는 추출물중의 어떤 효소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었고, 고압처리 후 $37^{\circ}C$숙성 실험으로 이러한 가설이 확인되었다. 우육추출물에 존재하고 초고압처리로 활성화되어 BGG분자에 특이적으로 관여하는 효소 및 이와 관련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Validation of Methods for Isolation and Culture of Alpaca Melanocytes: A Novel Tool for In vitro Studies of Mechanisms Controlling Coat Color

  • Bai, Rui;Sen, Aritro;Yu, Zhihui;Yang, Gang;Wang, Haidong;Fan, Ruiwen;Lv, Lihua;Lee, Kyung-Bon;Smith, George W;Dong, Changs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430-436
    • /
    • 2010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ies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ystem for isolation, purification and extended culture of pigment-producing cells in alpaca skin (melanocytes) responsible for coat color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lpha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treatment on mRNA expression for the melanocortin 1 receptor, a key gene involved in coat color regulation in other species. Skin punch biopsies were harvested from the dorsal region of 1-3 yr old alpacas and three different enzyme digestion methods were evaluated for effects on yield of viable cells and attachment in vitro. Greatest cell yields and attachment were obtained following dispersion with dispase II relative to trypsin and trypsin-EDTA treatment. Culture of cells in medium supplemented with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ovine pituitary extract, hydrocortisone, insulin, 12-O-tetradecanolphorbol-13-acetate and cholera toxin yielded highly pure populations of melanocytes by passage 3 as confirmed by detec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of melanocyte markers including tyrosinase, S-100 and microp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Abundance of mRNA for tyrosinase, a key enzyme in melanocyte pigment production, was maintained through 10 passages showing preservation of melanocyte phenotypic characteristics with extended culture. To determine hormonal responsiveness of cultured melanocytes and investigate regulation of melanocortin 1 receptor expression, cultured melanocytes were trea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Treatment with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increased melanocortin receptor 1 mRNA in a dose dependent fashion. The results demonstrated culture of pure populations of alpaca melanocytes to 10 passages and illustrate the potential utility of such cells for studi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regulation of genes controlling pigmentation and coat color in fiber-producing species.

가혹 환경이 복합재/Ni-Cr 합금 접착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Adhesive Shear Strength of CFRP/Ni-Cr Alloy Under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

  • 조현태;박성민;김민준;황반토;김학인;손명숙;안종기;안지민;최진호;남영우;권진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5호
    • /
    • pp.275-28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팬 블레이드에 적용되는 복합재와 금속 간의 접합 구조물에 대한 온도, 습도에 따른 접착제의 물성 변화에 관해 연구하였다. 항공기 운용 시 노출되는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상온 건조(Room Temperature Dry, RTD), 고온 흡습(Evaluated Temperature Wet, ETW), 저온 건조(Cold Temperature Dry, CTD) 세가지 환경에서 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접착전단강도 시험은 ASTM D3528을 기준으로 수행하였고, 파손 영역에 대한 마이크로 구조 특성을 SEM이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RTD 환경에서의 전단강도 대비하여 ETW 환경에서 72.8% 저하되었으며, CTD 환경에서는 56.5% 증가되었다. 이는 고온 및 수분 흡습이 접착제의 기계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고, 저온 환경에서는 모재와 접착제 모두 취성의 증가로 인해 접착 전단 강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죽초액의 항균활성 및 대두유에 대한 산패 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 on Soybean Oil during Storage)

  • 이범수;이병두;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6-822
    • /
    • 2006
  •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sieb. et zucc.)를 이용하여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을 제조하고 이들의 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정체 기계식 죽초액이 대두유 저장 과정 중 산패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은 10-50 ${\mu}L/8$ mm paper disc 농도범위에서 공시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재래식 죽초액의 편이 기계식 죽초액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죽초액의 항균활성은 그람양성균 > 그람음성균 > 젖산균 > 효모의 순이었다. 그리고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3.0%의 acetic acid 50 ${\mu}L/8$ mm paper disc에 상당한 죽초액의 항균활성 농도는 10-50 ${\mu}L/8$ mm paper disc 범위이며, 각각의 균주에 대한 활성농도는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MIC는 대체로 1.0-7.3 ${\mu}L/mL$ 범위였으며 최대치사농도(MLC)는 26.7-116.7 ${\mu}L/mL$ 범위였다. 대두유 저장기간 동안 죽초액 첨가 농도 0.1-1.0% 범위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패억제 효과도 컸으며, 죽초액 0.1% 첨가하였을 때 효과가 BHT 0.02% 첨가하였을 때와 유사하였으며 ${\alpha}-tocopherol$ 0.02% 첨가한 것보다 높은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죽초액 0.1, 0.5 및 1.0% 첨가 대두유의 유도기간은 각각 3.75, 4.57 및 12.06일 이었으며, 무첨가구의 2.86일에 비하여 모두 길었고, 상대적 항산화 효과는 각각 130.85, 159.60 및 421.30%로 죽초액 0.5%를 첨가할 때가 BHT 0.02% 첨가하였을 때의 168.45%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죽초액은 일부 식중독균 및 식품부패균에 대한 억제효과와 유지 산패억제 효과가 인정되므로 이를 이용한 식품첨가제의 개발이 기대된다.

공기흐름 변경으로 임펠러의 수명연장과 전력비 절감을 위한 송풍기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Blower to Extend The Life of The Impeller and Reduce The Power Cost by Changing the Air Flow)

  • 김일겸;박우철;손상석;김용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9-225
    • /
    • 2020
  • 본 연구는 요구되는 전압효율이 83% 이상인 풍량 10,000 ㎥/min급의 장수명 송풍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설계·제작하여 송풍기 성능시험과 침식 실험을 통하여 개발품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Dust deflector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기 다른 길이의 Dust deflector를 갖는 5가지의 실험용 임펠러를 제작하여 침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혹한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침식을 유발하는 분진 대체재로 1kg의 스틸 쇼트 볼(𝛷0.2 mm)을 사용하였다. 자체 제작한 폐루프 타입의 침식 실험 장치에서 160시간 동안 연속으로 가동 운전하여 실험하였다. Dust deflector에 의한 침식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마모두께를 측정하였다. 3차원 스캐너로 침식 실험 전 형상과 침식 실험 후 형상을 스캐닝하여 마모두께를 측정하였다. 모델 송풍기를 설계·제작하여 송풍기 성능을 시험한 결과, 모델 송풍기 측정값을 기준으로 개발 송풍기로의 환산 결과 전압 690.6 mmAq, 풍량 16,243.6 ㎥/min, 효율 83.6 %로 나타났다. 송풍기의 침식 실험 장치를 설계·제작하여 가혹한 조건으로 침식 실험을 수행하여 dust deflector가 부착된 송풍기인 개발 송풍기가 dust deflector가 없는 기존 송풍기에 비하여 임펠러 마모두께를 기준으로 190 % 이상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umor Necrosis Factor-α Gene Polymorphisms and Risk of Oral Cancer: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 Chen, Fang-Chun;Zhang, Fan;Zhang, Zhi-Jiao;Meng, Si-Ying;Wang, Yang;Xiang, Xue-Rong;Wang, Chun;Tang, Yu-Y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243-7249
    • /
    • 2013
  •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association between TNF-${\alpha}$ and oral cancer risk, but the results remain controversial. The present meta-analysis is performed to acquire a more precise estimation of relationships. Databases of Pubmed, the Cochrane library and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ternet (CNKI) were retrieved until August 10, 2013. Pooled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s) were calculated with fixed- or random-effect models. The heterogeneity assumption was assessed by I-squared test. Among the eight included case-control studies, all were focused on TNF-${\alpha}$-308G>A and four also concerned the TNF-${\alpha}$-238G>A polymorphism. It was found that oral cancer risk were significant decreased with the TNF-${\alpha}$-308G>A polymorphism in the additive genetic model (GG vs. AA, OR=0.19, 95% CI: [0.04, 1.00], P=0.05, I2=68.9%) and the dominant genetic model (GG+GA vs. AA, OR=0.22, 95% CI: [0.06, 0.82], P=0.03, I2=52.4%);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in allele contrast (G vs. A, OR=0.70, 95% CI: [0.23, 2.16], P=0.54, I2=95.9%)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GG vs. GA+AA, OR=0.72, 95% CI: [0.33, 1.57], P=0.41, I2=93.1%). For the TNF-${\alpha}$-238G>A polymorphism,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oral cancer risk were found in the allele contrast (G vs. A, OR=2.75, 95% CI: [1.25, 6.04], P=0.01, I2=0.0%)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GG vs. GA+AA, OR=2.23, 95%CI: [1.18, 4.23], P=0.01, I2=0.0%). Conclusively, this meta-analysis indicates that TNF-${\alpha}$ polymorphisms may contribute to the risk of oral cancer. Allele G and the GG+GA genotype of TNF-${\alpha}$-308G>A may decrease the risk of oral cancer, while allele G and the GG genotype of TNF-${\alpha}$-238G>A may cause an increase.

한국형 공기주입 이중피복 플라스틱온실의 설계기술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Technology of Korean Style Air-Inflated Double-Layer Plastic Greenhouse)

  • 이현우;심상연;남효석;남상운;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5-191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상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공기주입 이중피복 플라스틱 온실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험용 공기주입 이중피복 플라스틱 온실을 제작하여 작동실험을 실시하고 온실내부의 환경변화를 분석하였다. 온실의 피복재를 설치할 때 시공기술이 부족하여 밀폐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중피복 공기충의 정압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높은 밀폐도를 유지할 수 있는 피복재 설치기술과 관련 자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관행의 이중피복온실보다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단열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특히 아치형 지붕형태의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복숭아 형태의 관행온실에 비해 $2^{\circ}C$ 정도 높아 보온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성이 우수하고 밀폐도를 높일 수 있는 피복방식은 온실위에 피복재를 덮은 상태에서 여유길이를 두지 않고 자연스럽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다른 조건들이 동일한 공기주입 이중피복 단동온실의 경우 복숭아형 지붕온실에 비해 아치형 지붕온실에서 광투과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연 동 온실의 경우에는 관행 이중피복온실에 비해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광투과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로 골조율과 이중피복재간의 간격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원인은 앞으로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검증할 예정이다. 결로의 발생현상을 가시적으로 비교한 결과 관행온실에서 더 많은 결로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서는 장기간의 관측과 이론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더 자세한 실험을 통해 규명할 예정이다.

Evaluation of Protective Immune Response Induced by a DNA Vaccine Encoding GRA8 against Acute Toxoplasmosis in a Murine Model

  • Chu, Jia-Qi;Huang, Shuai;Ye, Wei;Fan, Xuan-Yan;Huang, Rui;Ye, Shi-Cai;Yu, Cai-Yuan;Wu, Wei-Yun;Zhou, Yu;Zhou, Wei;Lee, Young-Ha;Quan, Juan-Hu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4호
    • /
    • pp.325-334
    • /
    • 2018
  • Toxoplasma gondii is an apicomplexan zoonotic protozoan parasite that infects most species of warm-blooded animals, including humans. The heavy incidence and severe or lethal damage caused by T. gondii infection clearly indicate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vaccine. T. gondii GRA8 is a member of the dense granules protein family and is used as a marker of acute infection.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protective immunity induced by DNA vaccination based on a recombinant eukaryotic plasmid, pDsRed2-GRA8, against acute toxoplasmosis in mice. BALB/c mice were intramuscularly immunized with the pDsRed2-GRA8 plasmid and then challenged by infection with the highly virulent GFP-RH strain of T. gondii. The specific immune responses and protective efficacy against T. gondii of this vaccine were analyzed by measuring cytokine and serum antibody titers, splenocyte proliferation assays, and the survival times of mice after challenge. Our results showed that mice immunized with pDsRed2-GRA8 demonstrated specific humoral and cellular responses, induced higher IgG antibody titers with predominant IgG2a production; increased levels of IL-10, IL-12 (p70), $IFN-{\gamma}$, $TNF-{\alpha}$, and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prolonged survival time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mice.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DNA immunization with pDsRed2-GRA8 induced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and all immunized mice showed greater Th1-type immune responses and longer survival times than those of control mic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 gondii GRA8 DNA immunization induces a partial protective effect against acute toxoplasmosis.

정재초음파를 이용한 유동중 미세 입자 위치 제어 (Position Control of Micro Particles in a Fluid Flow Using Ultrasonic Standing Wave)

  • 조승현;서대철;안봉영;김기복;김용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1-136
    • /
    • 2008
  • 정재초음파를 이용하면 유체에 잠겨 있거나 유체를 따라서 흐르는 미세 입자의 조작이 가능하다. 정재초음파 장이 입자에 힘을 작용하여 입자를 음압마디 또는 반음압마디로 이동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정재초음파의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유동 중 미세 입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수침형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폭 수 밀리미터의 미세 채널을 가지는 정재초음파 발생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제안한 발생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파수 2 MHz부터 2.5 MHz까지 영역에서 정재초음파 장을 발생시키고, 물을 따라 흐르는 수 마이크로미터 내외의 탄화규소 입자가 음압 마디로 잘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미세 채널의 폭과 주파수가 입자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주파수가 미세입자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임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초음파의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입자의 이동 위치를 제어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최대 범위는 약 261 마이크로미터이다. 본 연구로부터 유체내의 입자 조작에 있어서 정재초음파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on the Hemogram of the Horse

  • Fan, Y.K.;Hsu, J.C.;Peh, H.C.;Tsang, C.L.;Cheng, S.P.;Chiu, S.C.;Ju, J.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9호
    • /
    • pp.1348-135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and readjustment capacity in the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orse during and after a prolonged training program. One pony and two hot-blooded horses were used in this study. Resting or basal blood parameters were assessed by collecting blood samples of the animals for 1 to 2 months prior to start of the training program. Each animal was subjected to arbitrary exercise for 30 min by an automatic hot trotter and was bled at 0, 15, 30, 45 (15 min of recovery), 60 (30 min of recovery), and 75 min (45 min of recovery) after onset of exercise. All animals were exercised 3 times a week over a fivemonth period. Hemat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average white blood cell counts (WBC, ${\times}$$10^3$/$\mu$l), erythrocyte concentrations (RBC, ${\times}$$10^6$/$\mu$l), hematocrit (HCT, %), mean corpuscular volume (MCV, fl), number of platelets (PLT, ${\times}$$10^4$/$\mu$l), hemoglobin concentration (Hb, g/dl),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pg),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g/dl) were analyzed using an automatic cell counter. All animals showed that RBC, WBC, and HCT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ing from 7.09, 8.55, and 43.5 to 8.11, 9.67, and 49.5, respectively, during the 30 min of exercise and were back to or lower than the initial basis (resting and 0 min) 30 min after exercis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MCV (50.3-51.3 fl), MCH (17.2-17.4 pg), and MCHC (33.7-34.4 g/dl) values (p>0.05) regardless of the training periods.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after 1, 3, 4, and 5 months of training when compared to the resting state. When these parameters were analyzed by the effect of training periods (month), mean WBC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ourth and fifth month after onset of training compared to that in resting condition or the first month of training program (p<0.05). The RBC values elevated at the second month (9.40) and reaching a significantly low level (p<0.001) at the fifth month (8.62) after training compared to the first month of training (7.89). In conclusion, a mild training program enhances blood parameters gradually in both the horse and the pony. Therefore, an optimized training program is beneficial in promoting the endurance performance of the ho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