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se descrip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로버트 사우디, 식민주의, 그리고 동양 -『파괴자 탈라바』를 중심으로 (Robert Southey, Colonialism, and the East: The Case of Thalaba the Destroyer)

  • 조희정
    • 영어영문학
    • /
    • 제58권5호
    • /
    • pp.859-880
    • /
    • 2012
  •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Robert Southey's Thalaba the Destroyer in relation to cultural colonialism of the British Romantic period and investigating the ways in which this text portrays the Other through its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East. Especiall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e Oriental world constructed in Southey's text reveals the imperial subject's self-conscious awareness of its unstable relation with the unknown Othe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ttends to the formal aspects of Thalaba the Destroyer,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the reader's generic expectations about the "epic" undergo complex revisions and frustrations through reading this text. The epic elements contained in Thalaba the Detroyer include the battle between good and evil and the hero's moral epiphany arising from his struggle against malicious enemies. Yet, Thalaba the Destroyer constantly destabilizes the distinction between self and other by leading the reader to recognize the uncomfortable similarity between the poem's tyrannical figures and imperialistic monarchs in the Western civilization. Thus, when the hero enacts a revolution against despotism, the resistant power points not only to the imagined false kingdom within the text, but to the core of the real Empire that seeks to construct its own "garden" in the global scene. In addition, Southey's "panoramic" description of Oriental objects and stories in his footnotes lacks a framing perspective, erasing and de-stabilizing subject/object distinctions. In these footnotes, he exposes his profound attraction to the culture of "Other" and also conveys his aspiration to transforming Eastern myths and stories into profitable literary texts. Southey's attitude to the East in the footnotes appears to be partially grounded upon the interest of mercantile capitalists of the West, who need to discover potential commodities. Yet, simultaneously, he reveals a sense of moral hesitation about his own desire for the materiality of the East, along with deep anxiety arising from the fear of punishment.

과학적 가설 검증을 위한 학생들의 실험 설계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esigns Suggested by Students for Testing Scientific Hypotheses)

  • 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0-213
    • /
    • 2003
  • 가설의 생성과정과 검증과정에 대한 연구는 가설의 생성과정,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설계과정, 실제 실험수행과정, 실험결과에 따른 가설의 평가과정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들 중에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설계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학생들이 제안한 실험설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실험설계를 위해서 실험방법, 실험결과의 예측, 예측된 결과에 의한 가설평가의 3요소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2) 학생들은 옳다고 생각하는 가설과 틀리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 모두 검증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3) 간혹, 옳다고 생각되는 가설에 대해서는 실험적 검증이 아닌 이론적 검증을 하려는 경우도 관촬되었다. (4) 학생들이 제안한 실험설계의 유형은 직접실험과 비교실험으로 나눌 수 있었고, 비교실험은 긍정비교실험과 부정비교 실험으로 나눌 수 있었다. (5) 학생들은 옳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는 긍정비교실험설계를, 틀리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는 부정비교실험설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학생들은 옳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는 실험설계를 하면서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만을 예측하였고, 틀리다고 생각하는 가설에 대해서는 실험설계를 하면서 가설을 반증하는 결과만을 예측하였다. (7) 이러한 편향된 예측과 반대되는 예측을 하도록 강요하여도 이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자신의 예측과 반대되는 결과에 대한 거부반응은 실험결과의 해석에서 뿐 아니라 실험설계 단계부터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에 기술된 볼타 전지의 오개념을 줄이기 위한 실험 장치 개발 (Modification of the Experimental Setup to reduce Misconceptions for the Voltaic Cell described in High School Chemistry Textbooks)

  • 장낙한;이경옥;이진승;서정쌍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9-86
    • /
    • 2003
  • 볼타 전지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과 고등학교 화학 2 교과서에서 기술된 내용을 연구, 분석하였다. 볼타 전지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몇몇 화학교과서의 경우 내용이 잘못 기술되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밝혔다. 대부분의 교과서에는 볼타 전지의 초기 측정 전압이 왜 1.1V와 유사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없다. 표준상태에서 볼타 전지의 기전력은 0.76V 이지만 어떤 교과서에는 다니엘 전지처럼 1.1V로 기술되어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볼타 전지를 배우거나 실험을 한 후에도 여전히 오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적어도 다음 두 가지 요인에서 기인된다고 여겨진다. 첫째, 볼타 전지의 초기 측정 전위값이 다니엘 전지의 전위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혼동하여 오개념을 가진다. 둘째, 대부분 교과서의 볼타 전지 실험은 표준 상태가 아닌 조건에서 수행되도록 기술되어 있으므로 학생들이 실험을 하더라도 표준 상태 기전력값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오개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학생들의 오개념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볼타 전지의 실험 모형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