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cial expression's presenting areas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Developmental Changes in Emotional-States and Facial Expression (정서 상태와 얼굴표정간의 연결 능력의 발달)

  • Park, Soo-Jin;Song, In-Hae;Ghim, Hei-Rhee;Cho, Kyung-Ja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1
    • /
    • pp.127-133
    • /
    • 2007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emotional states reading ability through facial expression changes by age(3-, 5-year-old and university student groups), sex(male, female), facial expression's presenting areas(face, eyes) and the type of emotions(basic emotions, complex emotions). 32 types of emotional state's facial expressions which are linked relatively strong with the emotional vocabularies were used as stimuli. Stimuli were collected by taking photographs of professional actors facial expression performance. Each individuals were presented with stories which set off certain emotions, and then were asked to choose a facial expression that the principal character would have made for the occasion presented in stor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bility of facial expression reading improves as the age get higher. Also, they performed better with the condition of face than eyes, and basic emotions than complex emotions. While female doesn't show any performance difference with the presenting areas, male shows better performance in case of facial condition compared with eye condi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ge, facial expression's presenting areas and the type of emotions effect on estimation of other people's emo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s.

  • PDF

Effects of the facial expression's presenting type and areas on emotional recognition (얼굴 표정의 제시 유형과 제시 영역에 따른 정서 인식 효과)

  • Lee, Jung-Hun;Kim, Hyuk;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393-1400
    • /
    • 2006
  • 정서를 측정하고 나타내는 기술이 발전에 따라 문화적 보편성을 가진 얼굴표정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많은 얼굴 표정 연구들은 정적인 얼굴사진 위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실제 사람들은 단적인 얼굴표정만으로 정서를 인식하기 보다는 미묘한 표정의 변화나 얼굴근육의 움직임 등을 통해 정서상태를 추론한다. 본 연구는 동적인 얼굴표정이 정적인 얼굴표정 보다 정서상태 전달에서 더 큰 효과를 가짐을 밝히고, 동적인 얼굴 표정에서의 눈과 입의 정서인식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15 개의 형용사 어휘에 맞는 얼굴 표정을 얼굴전체, 눈, 입의 세 수준으로 나누어 동영상과 스틸사진으로 제시하였다. 정서 판단의 정확성을 측정한 결과, 세 수준 모두에서 동영상의 정서인식 효과가 스틸사진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동적인 얼굴 표정이 더 많은 내적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얼굴전체-눈-입 순서로 정서인식 효과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는 눈에서 더 잘 나타나고 긍정적 정서는 입에서 더 잘 나타났다. 따라서 눈과 입에 따른 정서인식이 정서의 긍정성-부정성 차원에 따라 달라짐을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