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 feature extraction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6초

조명 변이에 강인한 하이브리드 얼굴 인식 방법 (A Robust Hybri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Under Illumination Variation)

  • 최상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0호
    • /
    • pp.129-13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조명 변이에 강인하게 동작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얼굴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조명 불변 특징 추출 방법으로부터 판별력 있는 특징들을 추출한다. 개별 방법들의 장점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판별 거리 척도를 이용하여 각 특징들의 분별력을 측정하여 분별력이 높은 특징들로만 복합 특징을 구성하여 얼굴 인식에 사용한다. Multi-PIE, Yale B, AR, yale database들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모든 database에 대해 개별 조명 불변 특징 방법들보다 우수한 인식 성능을 보여 주었다.

주파수 영역에서 에너지 확률을 이용한 얼굴 특징 추출 (Facial Feature Extraction Using Energy Probability in Frequency Domain)

  • 최진;정윤수;김기현;유장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4호
    • /
    • pp.87-9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얼굴 영상의 에너지 분포 특성을 이용한 새로운 특정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얼굴 영상의 에너지 확률과 에너지 랩을 이용해서 데이터 차원이 축소된 유효정보의 추출 및 유효정보의 LDA 해석에 기반을 둔다. 일반적으로, 얼굴 영상은 고유한 에너지 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DCT 기반 방법들은 이러한 얼굴 영상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제안된 방법은 이러한 기존 방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의 3단계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DCT 도메인에서 얼굴의 에너지 확률 개념을 정의하고, 이러한 에너지 확률로부터 얼굴의 에너지 맵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확률 지도에 위치한 주파수 계수들에 대한 LDA 적용 및 해석을 통하여 특정 벡터 추출 및 인식을 수행한다. 제안된 방법은 ETRI 데이터베이스에서 96.8%, ORL 데이터베이스에서 100%의 인식률을 보인다. 실험을 통하여 인식 성능의 개선뿐만 아니라, 특정 벡터의 차원 축소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SSIFIED ELGEN BLOCK: LOCAL FEATURE EXTRACTION AND IMAGE MATCHING ALGORITHM

  • Hochul Shin;Kim, Seong-Dae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2108-2111
    • /
    • 2003
  • This paper introduces a new local feature extraction method and image matching method for the local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targets.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block-by-block projection associated with directional pattern of blocks. Each pattern has its own eigen-vertors called as CEBs(Classified Eigen-Blocks). Also proposed block-based image matching method is robust to translation and occlusion. Performance of proposed feature extraction and matching method is verified by the face localization and FLIR-vehicle-image classification test.

  • PDF

공간 계층적 구조 기반 지역 기술자 활용 얼굴인식 기술 (Using Spatial Pyramid Based Local Descriptor for Face Recognition)

  • 김경태;최재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758-768
    • /
    • 2017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method to extract face representation based on multi-resolution spatial pyramid. In our method, a face is subdivided into increasingly finer sub-regions (local regions) and represented at multiple levels of histogram representations. To cope with misaligned problem, patch-based local descriptor extraction has been also developed in a novel way. To preserve multiple levels of detail in local characteristics and also encode holistic spatial configuration, histograms from all levels of spatial pyramid are integrated by using dimensionality reduction and feature combination, leading to our spatial-pyramid face feature representation. We incorporate our proposed face features into general face recognition pipeline and achieve state-of-the-art results on challenging face recognition problems.

보조정보에 기반한 가변 얼굴템플릿의 이진화 방법의 연구 (A Study on A Biometric Bits Extraction Method of A Cancelable face Template based on A Helper Data)

  • 이형구;김재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1호
    • /
    • pp.83-90
    • /
    • 2010
  • 가변생체인식 방법 (Cancelable Biometrics)은 생체정보의 도난이나 도용으로부터 강인하며 재생성 가능한 생체템플릿을 제공하는 높은 보안성을 갖는 생체 인식방법이다. 본 논문은 가변얼굴인식 방법의 하나로써 얼굴생체템플릿을 나머지에 기반하여 이진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진화를 위한 입력 값으로, 우리의 기존 연구 결과로서의 가변얼굴템플릿을 이용하였다. 이 가변얼굴템플릿은 상이한 두 개의 형상 기반의 얼굴특징추출 방법 (Appearance based face recognition)을 이용하여 두 개의 얼굴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얼굴특징벡터를 재배열 후 합하여 얻어진다. 우리의 기존방법으로 얻어진 얼굴특징벡터는 실수 값을 갖기 때문에 저장 시 기존의 암호화 방법과의 접목이 힘들며 원래의 생체정보 노출에 대한 잠정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의 나머지에 기반한 이진화 방법은 우리의 기존 가변얼굴템플릿에서 부분정보인 나머지를 이용하여 이진비트열을 생성하므로 향상된 보안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의 이진화 기법은 합해진 특징벡터의 통계적인 특징으로부터 정의된 보조정보 (Helper data)를 이용하여 높은 인식 성능을 갖는다. 제안방법은 보조정보가 노출된 경우에서도 이진화된 가변얼굴템플릿이 원 얼굴특징벡터보다 향상된 인식성능을 보장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the extended YALEB face database를 이용하여 성능과 보안성에 대하여 평가 하였다.

얼굴인식 기술동향 (Face Recognition: A Survey)

  • 문현준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3부
    • /
    • pp.172-177
    • /
    • 2008
  • 생체 인식은 개인의 고유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개인 식별에 이용하는 기술로, 그중 얼굴 인식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비강제성이라는 장점이 있는 응용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인식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얼굴 영역 추출, 특정 추출, 매칭을 포함한 시스템에 대해 논한다. 얼굴 영역 추출에는 얼굴 형판 정합 방법과 얼굴 요소의 검출에 의한 방법을, 특정 추출에서는 PCA 와 LDA 등의 방법을, 그리고 매칭을 통한 인증 단계에서는 최근접 분류기를 소개한다. 다양한 얼굴 인식 기법들이 제시됨에 따라 공인된 성능 평가 방법이 필요하게 되는데, 대용량 표준 얼굴 DE의 구축과 얼굴 인식 성능 평가 방법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향후 얼굴인식 시스템에서는 조명, 자세, 표정의 변화를 어떻게 보정하여 인식 할 것인가 하는 것이 연구되어야 할 핵심 분야로서 3차원 얼굴 영상 복원 기술을 통한 해결방법을 살펴본다.

  • PDF

Gabor 웨이브렛과 FCM 군집화 알고리즘에 기반한 동적 연결모형에 의한 얼굴표정에서 특징점 추출 (Feature-Point Extraction by Dynamic Linking Model bas Wavelets and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 신영숙
    • 인지과학
    • /
    • 제14권1호
    • /
    • pp.10-10
    • /
    • 2003
  • 본 논문은 Gabor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무표정을 포함한 표정영상에서 얼굴의 주요 요소들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FCM 군집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무표정 영상에서 저차원의 대표적인 특징점을 추출한다. 무표정 영상의 특징점들은 표정영상의 특징점들을 추출하기 위한 템플릿으로 사용되어지며, 표정영상의 특징점 추출은 무표정 영상의 특징점과 동적 연결모형을 이용하여 개략적인 정합과 정밀한 정합 과정의 두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Gabor 웨이브렛과 FCM 군집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동적 연결모형을 이용하여 표정영상에서 특징점들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는 자동 특징추출을 이용한 차원모형기반 얼굴 표정인식[1]에서 얼굴표정의 특징점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데 적용되었다.

Wavelet based Feature Extraction of Human Face

  • Kim, Yoon-ho;Lee, Myung-kil;Ryu, Kwang-ryol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56-659
    • /
    • 2001
  • Human have a notable ability to recognize faces,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visual feature in our environment. In regarding face pattern, just like other natural object, a geometrical interpretation of face is difficult to achieve. In this paper, we present wavelet based approach to extract the face features. Proposed approach is similar to the feature based scheme, where the feature is derived from the intensity data without detecting any knowledge of the significant feature. Topological graphs are involved to represent some relations between facial features. In our experiments, proposed approach is less sensitive to the intensity variation.

  • PDF

Wavelet based Feature Extraction of Human face

  • Kim, Yoon-Ho;Lee, Myung-Kil;Ryu, Kwang-Ryol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349-355
    • /
    • 2001
  • Human have a notable ability to recognize faces,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visual feature in our environment. In regarding face pattern, just like other natural object, a geometrical interpretation of face is difficult to achieve. In this paper, we present wavelet based approach to extract the face features. Proposed approach is similar to the feature based scheme, where the feature is derived from the intensity data without detecting any knowledge of the significant feature. Topological graphs are involved to represent some relations between facial features. In our experiments, proposed approach is less sensitive to the intensity variation.

  • PDF

Face recognition invariant to partial occlusions

  • Aisha, Azeem;Muhammad, Sharif;Hussain, Shah Jamal;Mudassar, Raz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7호
    • /
    • pp.2496-2511
    • /
    • 2014
  • Face recognition is considered a complex biometrics in the field of image processing mainly due to the constraints imposed by variation in the appearance of facial images. These variations in appearance are affected by differences in expressions and/or occlusions (sunglasses, scarf etc.). This paper discusses incremental Kernel Fisher Discriminate Analysis on sub-classes for dealing with partial occlusions and variant expressions. This framework focuses on the division of classes into fixed size sub-classes for effective feature extraction. For this purpose, it modifies the traditional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into incremental approach in the kernel space.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AR, ORL, Yale B and MIT-CBCL face databases.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ce re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