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

검색결과 38,266건 처리시간 0.056초

온도 안정성 저손실 LTCC제조 (Fabrication of Temperature Stable LTCC with Low Loss)

  • 김용철;이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341-345
    • /
    • 2003
  • ZnWO₄는 높은 품질계수에 의해 주파수 선택성이 뛰어나지만 다층형태의 고주파 무선부품으로의 응용을 위해서는 높은 소결온도(1100℃), 큰 음의 공진주파수 온도계수(-70ppm/℃), 낮은 유전율(15.5) 등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ZnWO₄에 TiO₂및 LiF를 첨가하여 ZnWO₄의 저손실특성을 유지하면서 주파수 온도안정성 및 저온소결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큰 양의 공진주파수 온도계수(+400ppm/℃) 및 유전율(100)을 갖는 TiO₂의 첨가는 공진주파수 온도계수를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시켰으며 유전율의 증가를 가져왔다. TiO₂를 20 mol% 첨가한 경우 공진주파수 온도계수가 0에 가깝고 유전율 19.4에 품질계수 50000㎓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으나 소결온도는 1100℃로 높은 소결온도를 보였다. ZnWO₄에 TiO₂가 첨가된 혼합체에 LiF의 첨가는 액상형성에 의해 소결온도를 1100℃에서 850℃로 크게 저하시킬 수 있었다. LiF는 첨가는 LiF 자체의 큰 공진주파수 온도계수에 의해 온도계수를 음의 값으로 변화시켰다. 따라서 TiO₂및 LiF의 적당량의 첨가는 온도 안정성을 갖는 저손실 ZnWO₄-TiO₂-LiF 계 LTCC(Low Temperature Confined Ceramics) 소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stres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곽혜원;이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 지역 3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4학년생 261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7일~18까지 설문조사하였고,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는 평균 $3.74{\pm}0.39$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21{\pm}0.54$점, 임상실습 만족도는 $3.44{\pm}0.45$점이었다. 대인관계는 연령(F=3.12, p=.046), 간호학 전공만족도(F=15.84, p<.001), 대인관계 중요성(F=4.76, p=.001), 학업성적(F=3.80, p=.01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연령(F=8.05, p<.001), 간호학 지원동기(F=4.55, p=.001), 간호학 전공만족도(F=2.69, p=.04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간호학 전공만족도(F=3.24, p=.022), 대인관계 중요성(F=3.01, p=.019), 학업성적(F=5.2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와 임상실습 만족도(r=.24, p<.001)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대인관계(${\beta}=.21$, p<.001), 학업성적(${\beta}=.12$, p=.045)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이 필요하다.

Wilt of Perilla Caused by Fusarium spp.

  • Kim, Woo-Sik;Kim, Wan-Gyu;Cho, Weon-Dae;Yu, Seung-H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293-299
    • /
    • 2002
  • A survey of Fusarium wilt of perilla was conducted in 12 locations in Korea from 1999 to 2001. The disease occurred in 74 out of 187 fields in the 12 locations surveyed, and incidence of the disease reached up to 30% at its maximum in some perilla fields in Seosan and Dangjin. Incidence of the disease in the other locations ranged from 0.2 to 20%. A total of 327 isolates of Fusarium spp. were obtained from stems and roots of the diseased perilla plant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ut of the 327 isolates of Fusarium, 277 isolates from 12 locations were identified as F. oxysporum, 11 isolates from three locations as F. solani,17 isolates from two locations as F. equiseti, 4 isolates from one location as F. avenaceum and 6 isolates from one location as F. subglutinans. The other 12 isolates of Fusarium from four locations were unidentified. Twelve isolates of F. oxysporum and two isolates each of the other Fusarium spp. were tested for their pathogenicity to five cultivars of perilla. Seven isolates of F. oxysporum were strongly pathogenic to some perilla cultivars, but the other five isolates were weakly or not pathogenic. One isolate of F. solani was strongly pathogenic to all the perilla cultivars tested, but another isolate was not pathogenic. All the isolates of F. equiseti, F. avenaceum, and F. Subglutinans tested were not pathogenic to any of the perilla cultivars tested. Symptoms on the perilla plants induced by artificial inoculation with strongly pathogenic isolates of F. oxysporum and F. solani appeared as wilt, stem blight, and root yet,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s. The isolates which induced symptoms by artificial inoculation were re-isolated from the lesions of the perilla plants inoculated. All the isolates of F. oxysporum tested were not pathogenic to eight other crops inoculated.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F. oxysporum is the main pathogen of perilla wilt and that it is host specific to perilla. forma specialis of F. oxysporum causing wilt of perilla is proposed as perillae.

배추 펙틴에스테라제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nese Cabbage Pectinesterase)

  • 고영환;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5-241
    • /
    • 1984
  • 배추로부터 얻은 펙틴에스테라제 조효소액을 DEAE-셀를로오스 이온교환 수지를 통과시켜 두개의 분획F-A와 F-B를 분리했으며. 그중 주종을 이루고 있는 F-A는 DEAE-셀룰로오스 이온교환수지. CM-셀를로오스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켜서 약 340배 정제하였다. F-A와 F-B는 비슷한 염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최적 염농도는 $Ca^{++}$ $Mg^{++}$등 2가 양이온의 경우 $20{\sim}50mM$ $K^{+}$, $Na^{+}$등 1가 양이온의 경우 250mM부근이었다. 최적pH는 F-A와 F-B에 대해서 각각 8.0 및 $7.5{\sim}8.0$이였으며. 이들 두 분획은 pH $5.0{\sim}8.0$에서 적어도 한 시간동안 안정했다. F-A에 대한 Km은 펙틴기질에 대해서 0.01%이었다. F-A와 F-B의 최적온도는 각각 $48^{\circ}C$$55^{\circ}C$이었으나 $55^{\circ}C$에서 급격히 역가가 감소되었다. 열불활성화 경향은 1차반응을 나타내었으며 $35^{\circ}C{\sim}55^{\circ}C$사이에서 F-B의 D-Value는 F-A보다 커서 F-B가 F-A보다 열에 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Z-value는 F-A 의 경우 $10.5^{\circ}C$, F-B의 경우 $8.3^{\circ}C$이었다.

  • PDF

$^{18}F$-FDG PET/CT 검사에서 이뇨제 사용여부에 따른 $^{18}F$-FDG 배설 특성 (Characteristic of $^{18}F$-FDG Excretion According to Use Diuretics in $^{18}F$-FDG of PET/CT)

  • 장동근;양승오;이상호;배종림;김정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2호
    • /
    • pp.151-156
    • /
    • 2012
  • $^{18}F$-fluorodeoxyglucose ($^{18}F$-FDG)는 상당한 양의 방사능이 신장과 비뇨기계에 저류 되어 영상의 질을 저하시키고 진단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18}F$-FDG의 비뇨기계 저류를 막기 위해 이뇨제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이뇨제가 영상에 미치는 영향과 $^{18}F$-FDG 배설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신장의 원발성 종양 또는 전이 병변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18}F$-FDG와 함께 이뇨제를 주사한 그룹,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그룹, $^{18}F$-FDG만을 주사 한 정상군 그룹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그룹의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SUV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18}F$-FDG를 주사 후 이뇨제 투여 여부에 따른 SUV를 비교 평가하였다. SUV 측정에 따라 영상의 배후방사능이 감소된 영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뇨제 사용으로 배설된 소변의 양이 늘어났지만, 소변에 방사능량의 변화가 없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뇨제가 영상의 배후방사능을 줄일 수는 있지만 $^{18}F$-FDG 배설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 하였다.

농도별 로즈마리 오일 흡입이 노인의 기억력, 집중력 및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osemary Oil Inhalation on Memory, Attention and Autonomic Nerve System on the Elderly by Different Concentration)

  • 양인숙;박명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6-67
    • /
    • 2019
  • 본 연구는 농도별 로즈마리 오일 흡입에 따른 기억력, 집중력, 및 자율신경계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65세 이상 노인에게 아몬드 캐리어 오일 흡입군(대조군), 10% 로즈마리 오일 흡입군(실험군 A)과 100% 로즈마리 오일 흡입군(실험군 B)으로 각 오일을 시향지에 묻혀 5분간 흡입하도록 하였고 기억력, 집중력 및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총 89명의 자료는 SPSS win 24.0를 이용하여 반복측정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기억력 평가인 즉각 회상(F=.42, p=.656), 지연 회상(F=.45, p=.639) 재인 검사(F=1.45, p=.242)와 집중력 평가인 숫자 바로 외우기(F=1.53, p=.223)와 숫자 거꾸로 외우기(F=.46, p=.636)에서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자율신경계 반응 결과, 교감신경 활성도(LF)(F=.19, p=.828), 부교감신경 활성도(HF)(F=.37, p=.694), 자율신경계 활성도비(LH/HF)(F=1.39, p=.256), 수축기 혈압(F =.37, p=.694) 및 이완기 혈압(F=1.25, p=.291)에서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아몬드 캐리어 오일, 10%와 100%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 5분간 흡입은 65세 이상 노인의 기억력, 집중력, 자율신경계 반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체상 추출법을 기반으로 한 [18F]Fluorocholine 합성법의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Automated Solid Phase Extraction-based Synthesis of [18F]Fluorocholine)

  • 박준영;손정민;강원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61-268
    • /
    • 2023
  • [18F]Fluorocholine은 임상에서 부갑상선 선종, 전립선암 및 간세포암 진단 등에 사용되는 PET용 콜린 방사성의약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체상 추출 카트리지법을 방사성의약품 자동합성장치에 적용하여 [18F]fluorocholine을 제조하는 방법을 최적화하였다. [18F]Fluorocholine은 하나의 반응용기를 사용하여 두 단계 표지반응으로 합성하였으며, [18F]fluorocholine 합성과정 중 생성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SepPak Silica 카트리지의 개수를 3개로 최적화하였고, 전구 물질인 DMAE를 10%로 희석하였을 때 가장 높은 방사화학적 수율을 획득 할 수 있었다. 또한 최종 생산된 [18F] fluorocholine 주사액은 유럽약전에 명시된 품질관리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체상 추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방사성의약품 자동합성장치에 최적화한 [18F]fluorocholine의 합성법은 임상 현장에 안정적으로 [18F]fluorocholine을 공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의 고관절 ROM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p Joint ROM of the Elderly)

  • 엄기매;양윤권;장수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7-7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verage of hip joint range of motion an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ing for the elderly. This study consisted of elder male(n=75) and elder female(n=109). The result of assessment and analysis in hip pint range of motion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hip flexion(knee flexed)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from sixty to sixty-nine)years old are $104.26^{\circ}$(Left-Male), $101.00^{\circ}$(Right-Male), $107.05^{\circ}$(Left-Female), $107.05^{\circ}$(Right-Female). 70-79years old are $104.59^{\circ}$(L-M), $102.05^{\circ}$(R-M), $105.73^{\circ}$(L-F), $108.75^{\circ}$(R-F). 80-89years old are $101.53^{\circ}$(L-M), $101.13^{\circ}$(R-M), $96.83^{\circ}$(L-F), $97.67^{\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flexion(knee flexed) among female group(p<.01). The average hip flexion(knee extended)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from sixty to sixty-nine)years old are $73.13^{\circ}$(Left-Male), $72.04^{\circ}$(Right-Male), $77.29^{\circ}$(Left-Female), $75.97^{\circ}$(Right-Female). 70-79years old are $74.95^{\circ}$(L-M), $72.19^{\circ}$(R-M), $76.73^{\circ}$(L-F), $76.65^{\circ}$(R-F). 80-89years old are $70.83^{\circ}$(L-M), $70.37^{\circ}$(R-M), $69.00^{\circ}$(L-F), $69.00^{\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hip flexion(knee extended) among female group(p<.05). 2) The average hip extension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13.09^{\circ}$(L-M), $12.78^{\circ}$(R-M), $10.97^{\circ}$(L-F), $10.68^{\circ}$(R-F). 70-79years old are $8.95^{\circ}$(L-M), $8.48^{\circ}$(R-M), $11.24^{\circ}$(L-F), $10.90^{\circ}$(R-F). 80-89 years old are $8.40^{\circ}$(L-M), $8.23^{\circ}$(R-M), $7.33^{\circ}$(L-F), $7.33^{\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p<.01) and right(p<.05) hip extension among male group(p<.05). 3) The average hip abduction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 years old are $33.04^{\circ}$(L-M), $33.17^{\circ}$(R-M), $33.16^{\circ}$(L-F), $33.37^{\circ}$(R-F). 70-79 years old are $31.00^{\circ}$(L-M), $30.05^{\circ}$(R-M), $32.44^{\circ}$(L-F), $32.68^{\circ}$(R-F). 80-89 years old are $29.07^{\circ}$(L-M), $27.90^{\circ}$(R-M), $28.17^{\circ}$(L-F), $28.67^{\circ}$(R-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4) The average hip adduction p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29.57^{\circ}$(L-M), $29.35^{\circ}$(R-M), $31.87^{\circ}$(L-F), $31.89^{\circ}$(R-F). 70-79, years old are $27.41^{\circ}$(L-M), 27.00(R-M) $30.85^{\circ}$(L-F), $31.28^{\circ}$(R-F). 80-89 years old are $26.87^{\circ}$(L-M), $26.63^{\circ}$(R-M), $24.67^{\circ}$(L-F), $24.83^{\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abduction among female group(p<01). 5) The average hip external rotation p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32.26^{\circ}$(L-M), $31.17^{\circ}$(R-M), $33.53^{\circ}$(L-F), $34.42^{\circ}$(R-F). 70-79 years old are $31.64^{\circ}$(L-M), $28.62^{\circ}$(R-M) $31.29^{\circ}$(L-F), $31.45^{\circ}$(R-F). 80-89 years old are $26.40^{\circ}$(L-M), $26.07^{\circ}$(R-M), $24.77^{\circ}$(L-F), $24.27^{\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male, female p<.01) and right(female p<.0l) hip external rotation among group. 6) The average hip internal rotation joint range of motion in 60-69years old are $30.30^{\circ}$(L-M), $28.13^{\circ}$(R-M), $34.27^{\circ}$(L-F), $36.03^{\circ}$(R-F). 70-79years old are $31.24^{\circ}$(L-M), $29.57^{\circ}$(R-M), $28.51^{\circ}$(L-F), $29.10^{\circ}$(R-F). 80-89 years old are $24.63^{\circ}$(L-M), $24.40^{\circ}$(R-M), $24.27^{\circ}$(L-F), $24.27^{\circ}$(R-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male p<.05, female p<.01) and right(female p<.01) hip internal rotation among group.

  • PDF

미용덤벨 운동이 노인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신체조성,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eatment Dumbbell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Blood Lipid Profiles in Sarcopenic Elderly)

  • 소위영;송미순;조비룡;박연환;김연수;임재영;김선호;송욱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837-850
    • /
    • 2009
  • 많은 선행연구는 대규모 역학조사를 통하여 노화와 함께 근육의 감소가 나타나는 현상을 규명하였고, 이를 근감소증(sarcopenia)으로 명명하였다. 근감소증이 사망률과 유병률에 직접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 같으나 근육의 감소는 근력의 저하, 체력의 약화, 활동성의 감소로 이어져 결국에는 독립적인 생활이 불가능해지며 신체장애를 가져오게 된다. 본 연구는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미용덤벨 운동의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S시 J구에 소재한 J노인복지관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는 60-70대의 노인으로 통제군 19명, 운동군 8명으로 분류하였다. 미용덤벨 운동은 12주 동안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여, 운동 전·후로 신체조성, 체력, 혈중지질 변인을 측정하였다. 12주간의 미용덤벨 전·후 체지방률(F=0.388, p=0.539)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중(F=4.312, p=0.048), 체질량지수(F=4.532, p=0.043), 근육량(F=4.743, p=0.039)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력의 덤벨들기(F=1.103, p=0.304), 등 뒤에서 손잡기(F=0.214, p=0.648)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분 제자리 걷기(F=33.638, p<0.00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F=14.575, p=0.001),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F=7.198, p=0.013), 244cm 왕복 걷기(F=14.890, p=0.001)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혈중지질 변인의 총 콜레스테롤(F=0.030, p=0.864), 중성지방(F=0.142, p=0.710), 고밀도지단백(F=2.066, p=0.163), 혈당(F=0.125, p=0.727), 당화혈색소(F=0.945, p=0.340)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노인에게 있어서 미용덤벨 운동은 신체조성 및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혈중지질 변인에는 그렇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육지면품종의 유용형질의 유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Upland Cotton Varieties (Gossypium hirsutum L.) in Korea)

  • 계봉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1-313
    • /
    • 1976
  • 면화의 유용형질의 개별적 유전관계를 조기에 검정하고 이들의 상호관련성을 육종사업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저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작물시험장목포지장실험포장(북위 $34^{\circ}47',$ 동경 $126^{\circ}20',$ 표고 1.5m)에서 육지면품종간의 Partial Diallel Cross $F_1$ 및 Paymaster$\times$Heujueusseo Trice의, 분리집단을 공시하여 Hetesosis, Combining Ability, 품종별우열성, 유전분산의 분할, 표현형 및 유전상관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eterosis는 주당삭수와 소면수량에서 양친평균 보다 각각 27.84%, 37.26%의 증가경향을 보였고 기타 형질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2. GCA에 있어서는 모든 형질에서 유의성이 있었고, SCA보다 GCA 효과가 컸으며, 품종별 GCA효과푸 Suwon# 1이 조숙으로, Paymaster 및 Arijona는 고소면로, Arijona는 장섬유의 방향으로 했다. 3. 소면수량의 SCA는 Mokpo #4, Mokpo #6, Heujueusseo Trice등을 편친으로 한 조합이 변이가 컷고, 기중 SCA효과가 가장 큰 조합은 Mokpo# 4$\times$Acala 1517W, Mokpo#$\times$D.P.L, Heujoeusseo Trice$\times$Paymaster 조합등으로서 비교적 대립형질이 많은 조합이었다. 4. 조만성의 유전은 조숙이 만숙에 대하여 완전우성조합 또는 조숙과 만숙의 상호간의 우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중간성조합이 있었음에 따라 이것은 상가적 유전성분이 큰 Multi gene의 지배를 받는 것으로 추찰되였다. 조숙성의 우성강도가 가장 큰 품종으로서는 Heujueusseo Trice. Mokpo#6, Suwon#1 등이였다. 5. 삭중 및 종자 100립중의 유전은 뚜렸한 경향이 없었다. 6. 장섬유성인 Paymaster와 단섬유성인 Heujueusseo Trice간의 교잡조합의 $F_2,$ $F_3에$ 있어서의 섬유장분리는 장섬유가 단섬유에 대하여 완전 또는 부분우성의 단인자지배에 의하여 분리되였으며 세대가 진전됨에 따라 우성개체발현율이 감소되는 경향이였다. 또한 Diallel Cross $F_1으로$ 동시에 수개품종을 비교할 경우는 각품종의 섬유장의 폭이 다르고 우성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다소 복잡한 대립인자작용으로 나타났다. 7. 주당삭수는 대체로 초월우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상가적부분이 적게 표현되여 비대립유전자의 작용도 존재하는 것으로 였다. 8. 소면수량도 초월우성이 강하게 나타내여 비대립유전자의 작용도 존재하는 Multi gene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으로 보였으며 대체로 다수성품종이 소수성품종에 비하여 우성이였다. 그러나 Heujeusseo Trice는 소수성품종으로서 초월우성을 나타내여 품종 및 조합에 따라서 상리한 반응을보였다. 9. 개화소요일수의 유전력은 39~34%였으나 협의 11%로 낮은 것은 우리 나라에서는 개체변이가 심하여 유전력이 다소 낮게 표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삭중의 유전력은 광의 30%, 협의 22%로 낮은 경향이였으나 Diallel Cross $F_1$ 에서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10. 섬유장 및 소면비율의 유전력은 어느 경우에서도 높았으므로 선발효율이 클것으로 기대된다. 11. 주당삭수의 유전력 Diallel Cross 에서 30%, $F_2에서$ 협의 36%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광의 67%로 높았으므로 $F_2,$ $F_3에서는$ 양친의 특성을 어느정도 나타낼것으로 기대된다. 12. 소면수량의 유전력은 Diallel Cross 에서는 초월우성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에 낮은 우전력을 보였으나, $F_2,$ $F_3에서는$ 광의 38%, 협의 50%로서 비교적 높았다. 따라서 수량의 유전력은 $F_1에서는$ 극히 낮았으나, $F_2,$ $F_3세대에서는$ 높아가는 경향이였다. 13. 개화소요일수, 소면비율 및 섬유장의 상호간에는 $F_1,$ $F_2,$ F3에서 모두 표현형상관이 높았으므로 만숙품종 및 개체가 대체로 장섬유 및 고소면의 경향이였고 이들의 유전상관도 높기때문에 유전적관계가 컸었다. 개화소요일수와 소면수량과의 상관관계가 극히 낮았으므로 이들은 서로 독립형질로 사료되지만 주당 삭수와는 $F_3에서$ 부의 상관이 있으므로 조숙개체가 다삭성인 경향을 많이 보였다. 14. 소면비율과 섬유장과의 표현형 및 유전상관은 $F_1,$ $F_2,$ $F_3$ 모두 높았으므로 이 두 형질은 대체로 흡사한 형질이라고 인정할 수 있음에 따라 장섬유품종이 대체로 고소면성이였다. 또한 소면수량과 소면비율과는 Diallel Cross $F_1에서$ 정의 상관, $F_2에서는$ 섬유장과의 정의 상관을 보여 소면비율 및 섬유장도 소면수량에 다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소면수량은 주당삭수와의 표현형상관이 $F_1,$ $F_2,$ $F_3$ 모두 고도의 전상관을 나타냈고, 유전상관도 높음에 따라 유전적인 관련성이 크다고 인정되였다. 따라서 다수성을 선발하려면 주당삭수가 많은 개체를 후기세대에서 선발하는 것이 선발효율이 크다고 사료된다. 또한 양질계통을 선발하기 위해서는 장섬유 및 고소면개체를 초기세대부터 선발해도 선발효율은 클것으로 기대되지만 이러한 개체는 동시에 만숙성을 내포할 가능성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