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xurban housing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Emergence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Exurban Housing (전원주택의 출현과 입지적 특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2
    • /
    • pp.193-193
    • /
    • 1999
  • 1990년대에 들어와 전원주택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했다. 대도시 주민의 전원지향 이주와 전원주택시장의 급성장을 초래한 사회경제적 배경은 소비주체의 생활양식 변화, 건설자본의 사업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국가의 법적·제도적 지원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실제로, 수도권지역에서 전원주택은 경관이 수려하고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한강축, 접근성이 양호한 고속도로축, 일산 신도시에서 파주로 나아가는 북방축 등 세축을 따라 뚜렷한 성장세를 보인다. 그러므로 대도시 주민이 선호하는 전원주택의 주요 입지적 속성은 자연환경과 접근성이라 할 수 있다.

Changing Rurality of the Countryside in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 농촌의 기능 변화와 지역구조)

  • Joh, Young-Ku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1 no.1
    • /
    • pp.139-159
    • /
    • 2004
  • Since 1990s, the countrysid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been exposed to the unprecedented forces like developing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 boom of exurban housing, increasing concern about food quality. While these new forces are restructuring the social and spatial pattern of countryside, a legal regulation can be assumed as exerting an overarching moulding power. This paper shows how the legal regulation works in the restructuring rur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