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ve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7초

Mineralogical studies and extraction of some valuable elements from sulfide deposits of Abu Gurdi area, South Eastern Desert, Egypt

  • Ibrahim A. Salem;Gaafar A. El Bahariya;Bothina T. El Dosuky;Eman F. Refaey;Ahmed H. Ibrahim;Amr B. ElDeeb
    • 분석과학
    • /
    • 제37권1호
    • /
    • pp.47-62
    • /
    • 2024
  • Abu Gurdi area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Desert of Egypt which considered as volcanic massive sulfide deposits (VMS). The present work aims at investigating the ore mineralogy of Abu Gurdi region in addition to the effectiveness of the hydrometallurgical route for processing these ores using alkaline leaching for the extraction of Zn, Cu, and Pb in the presence of hydrogen peroxide, has been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y of the alkaline leaching of the used ore including the reagent composition, reagent concentration, leaching temperature, leaching time, and Solid /Liquid ratio, have been investigated. It was noted that the sulfide mineralization consists mainly of chalcopyrite, sphalerite, pyrite, galena and bornite. Gold is detected as rare, disseminated crystals within the gangue minerals. Under supergene conditions, secondary copper minerals (covellite, malachite, chrysocolla and atacamite) were formed. The maximum dissolution efficiencies of Cu, Zn, and Pb at the optimum leaching conditions i.e., 250 g/L NaCO3 - NaHCO3 alkali concentration, for 3 hr., at 250 ℃, and 1/5 Solid/liquid (S/L) ratio, were 99.48 %, 96.70 % and 99.11 %, respectively. An apparent activation energy for Zn, Cu and Pb dissolution were 21.599, 21.779 and 23.761 kJ.mol-1, respectively, which were between those of a typical diffusion-controlled process and a chemical reaction-controlled process. Hence, the diffusion of the solid product layer contributed more than the chemical reaction to control the rate of the leaching process. High pure Cu(OH)2, Pb(OH)2, and ZnCl2 were obtained from the finally obtained leach liquor at the optimum leaching conditions by precipitation at different pH. Finally, highly pure Au metal was separated from the mineralized massive sulfide via using adsorption method.

양식산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 함질소 엑스성분의 연령차 (Age Variation in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he Cultured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Muscle)

  • 박춘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79
    • /
    • 1992
  • 양식산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함질소 엑스성분에 대한 연령차를 검토하기 위하여 양식기간이 서로다른 2년생과 3년생 시료를 1989년 2월과 4월에 남해안의 충무근해와 1989 년 4월에 동해안의 포항근해에서 각각 채취하여 근육의 엑스분질소 (EN), 유리아미노산 (FAA), 결합아미노산 (CAA), 핵산관련물질 (NRC), 4급암모늄염기, 구아니시노화합물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EN 함량에서 보면 남해안의 겨울과 봄철시료는 연령차가 적었으나, 동해안의 봄철시료에서는 큰차를 보여 지역에 따라 서로다른 결과였다. FAA는 2년생과 3년생에서 모두 taurine,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이 주성분으로, 남해안의 겨울과 봄철 시료에서는 연령차가 적었으나 동해안에서는 봄철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FAA중 함량이 가장 높았던 taurine은 지역이나 계절에 관계없이 연령차가 현저하여 모든 시료에서 2년생 보다 3년생이 높았다. NRC에서는 2년생과 3년생 모두 ATP, ADP, AMP, IMP, Ino 및 Hyp이 검출되었고, 그 중 ATP, ADP, AMP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NRC의 연령차는 EN, FAA에서와 같은 경향으로서 지역에 따른 차이가 현저하였다. Betaine함량은 계절변동이 심하여 겨울 시료에서는 연령차가 켰으나 봄철에는 양 해안에서 모두 큰 차이가 없어서, EN, FAA, NRC에서와는 서로다는 결과를 보였다. 일반성분 조성은 동해안에서 2년생이 3년생보다 수분함량은 높은 반면, 단백질과 glycogen 함량은 훨씬 낮았다. 이와같이 동해안의 2년생과 3년생 시료에서 각 성분의 함량간에 특히 큰차이를 나타낸 것은 양식기간의 상이에 따른 연령차 라기 보다는 지역에 따른 성장차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63{\%}$를 나타내었다. 수온 $17^{\circ}C$이하에서는 후기 유생의 성장은 중지되었으며 적정 수온 범위내에서는 공식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보였다. 후기 유생기와 치하기의 정상 성장 염분 범위는 $0{\~}11.24{\%_{\circ}Cl.$이었으며 이때의 생존율은 $32{\~}35{\%}$를 나타내었다. 후기 유생기의 최적 염분 농도는 $0\~2.21\%_{\circ}Cl.$였으며 담수에서는 성장이 양호하였으나 순 해수에서는 폐사하였다. 4. Zoea 유생의 먹이 공급 효과 : Zoea 유생기에 먹이로 알테미아의 노플리우스 유생, 노플리우스 유생의 클로렐라에 혼합하여 공급한 것, 윤충류, 인공 플랑크톤을 수조 내에서 먹인 경우 생존과 후기 유생기로의 변태가 진행되었으나 가장 좋은 것은 Artemia nauplius 유생을 Chlorella sp.와 혼합한 물에서 사육하였을 경우였고 이 때의 변태율은 $68{\~}75{\%}$를 보였다. 소 간의 분말, 계란 분말, Chlorella sp.만을 먹인 것은 폐사하였다. 5. 후기 유생과 치하 및 성체의 먹이 : 후기 유생기의 먹이는 Artemia nauplius 유생이나 물벼룩 등 수중갑각류를 공급할 수 있고, 치하기나 성체에는 이들 외에 조개 살이나 어육, 다모환충류, 곡류, 펠렛 사료 등과 사람이 이용할 수 없는 가축의 내장이나 과일 등을 먹는다. 6. 후기 유생과 치하 및 성체의 성장 : 최적 조건 하에서 후기 유생은 매 $5\~6$일마다 변태하였고 치하기까지 2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이때의 체장은 1.78 m, 체중은 0.17 g을 나타내었다. 치하의 성장은 4개월 정도에 체장 3.52 cm,

  • PDF

피조개의 일건(日乾)중 유리아미노산의 변화(變化) (Changes in Free Amino Acids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during Sun-drying)

  • 김홍진;문숙임;조용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9-344
    • /
    • 1985
  • 피조개의 일건(日乾)중 유리아미노산의 변화(變化)를 알기위해 생시료(生試料) 및 1일(日), 3일(日), 6일(日), 11일(日), 20일간(日間)씩 통풍이 잘되는 옥외에서 일건(日乾)한 시료(試料)의 일반성분(一般成分), 엑스분질소(室素) 및 유리아미노태질소(態室素)의 변화(變化), 유리아미노산 조성(組成) 및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피조개의 일반성분(一般成分)중 수분함량(水分含量)은 84.7%,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은 9.6%, 조지질함량(粗脂質含量)은 0.8%였다. 2. 일건(日乾)중 엑스분질소(室素)의 변화(變化)는 생시료(生試料)의 경우 21.18 mg/g이었으나 1일건조(日乾燥) 후 16.25 mg/g으로 감소(減少)하였다가 그 이후 계속 증가(增加)하여 20일(日) 건조(乾燥) 후에는 31.97 mg/g 이었다. 3. 일건(日乾)중 유리아미노태실소(態室素)의 변화(變化)는 생시료(生試料)의 경우 16.10 mg/g이었으나, 1일(日) 건조(乾燥) 후 11.51 mg/g으로 감소(減少)하였다가 그 이후 차츰 증가(增加)하여 20일(日) 건조(乾燥) 후는 17.61 mg/g 이었다. 4. 생시료(生試料)중 함량(含量)이 특히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histidine, arginine, proline으로 이들 4종(種)의 아미노산이 全유리아미노산의 53.7%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glycine, alanine, tryptophan, aspartic acid, lysine, cysteine, serine, threonine, threonine, valine, leucine, tyrosine의 순(順)이었으며 isoleucine, taurine, methionine, phenylalanine은 함량(含量)이 적었다. 5. 일건(日乾)중 총유리아미노산의 변화(變化)는 생시료(生試料)의 경우 2,041.2 mg%였으나 1일(日) 건조(乾燥) 후는 1,784.0 mg%로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 계속 증가(增加)하여 20일(日) 건조(乾燥) 후는 5,277.0 mg%였다. 6. 일건(日乾)중 leucine, isoleucine, valine은 대체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나 aspartic acid, proline, taurine은 대체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멸치젓 발효숙성중 주요성분의 변화 (Studies on the changes of main components during the fermentation of Anchvy sauce)

  • 조영도
    • 기술사
    • /
    • 제29권2호
    • /
    • pp.80-90
    • /
    • 1996
  • 멸치젓의 생산 및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원료멸치를 처리방법 및 가염조건별로 젓갈을 담아 숙성시키면서 숙성의 지표성분인 질소화합물의 변화 및 숙성중의 지방산조성등 지질 성분의 변화상태를 5개월간 경시적으로 분석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화합물의 변화 휘발성염기질소(VBN)의 함량은 숙성초기에 약 l4mg%에서 숙성이 완료된 후에는 90∼107mg% 까지 증가하였으며 아미노태질소의 함량에서는 마쇄처리구가 대체적으로 전어체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엑스분질소의 숙성중 증가속도는 숙성 2개월까지는 20%첨가구, 마쇄처리구, 30%첨가구, 40%첨가구의 순으로 빨랐고 4개월후부터는 염함량이 낮을수록, 전어처리원료보다 마쇄처리원료의 증가속도가 빠른 경향을 보였다. 2. 지질의 산화식염농도 20% 및 30% 첨가구는 숙성30일에 비질산화의 유도기간이 경과한 반면 40%첨가구는 약 45일까지 연장되었으며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계속 증가하는 반면 TBA가는 숙성 120일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숙성중 지질성분의 변화 숙성중 비극성지질은 증가하고 극성지질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극성지질은 숙성개시 180일에 45∼56%가 감소하였고 비극성지질은 동기간에 4.8∼6.0%가 증가하였다. 4. 지방산의 변화 젓갈 숙성중 가장 감소가 뚜렷한 지방산은 linoleic acid로서 24.5%정도 감소하였고 linolenic acid는 약 22.2%, erucic acid는 약 20%정도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감소현상은 염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국내산과 수입산 시판 홍어회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lices of Skate Raja kenojei)

  • 조희숙;김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4-220
    • /
    • 2008
  • 향토전통식품에 대한 체계적인 위생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국내에서 시판되는 홍어회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어회의 pH는 국내산이 9.0, 수입산은 8.9${\sim}$9.1이었다. 홍어회의 휘발성 염기질소는 국내산은 46.3 4mg%, 칠레산은 45.43 mg%, 아르헨티나산은 51.61 mg% 및 중국산은 52.14 mg%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는 칠레산이 가장 많았고, 중국산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TMAO 함량은 국내산이 수입산보다 더 많았다. 국내산 홍어회의 총균수는 6.6 log CFU/g 수준이었고, 수입산의 경우에는 5.1${\sim}$6.5 log CFU/g 수준이었다. 홍어회의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산, 칠레산, 아르헨티나산 및 중국산은 각각 25종, 24종, 23종 및 2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함량은 579.7 mg, 398.1 mg, 387.6 mg 및 496.3 mg이었다. Taurine의 함량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anserine, lysine, alanine, glycine, proline, ${\beta}$-alanine, histidine 순 이었다. 국내산 홍어회에서 포화지방산 11종, 불포화지방산 16종이 분석되어, 총27종이 분석되었다. 칠레산은 총 18종이 분석되었으며, 아르헨티나산은 총 25종이 분석되었고, 중국산에서는 총 18종이 분석되었다. 한편, 불포화지방산 중 특히 $C_{18:1}$의 경우는 아르헨티나산이 국내산보다 훨씬 많이 들어있었다. Trienoic unsaturated fatty acid는 국내산 홍어회에 더 많이 함유되었으며, penta, hexa unsaturated fatty acid에서는 아르헨티나산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필수지방산의 경우는 국내산 홍어회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때 국내산이 수입산에 비하여 총 균수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많고, 지방산의 경우도 n-3와 n-6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좋은 단백질과 지방 공급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선 곰탕의 추출소재로서 Fish Frame의 식품학적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Fish Frames as Basic Ingredients of Fish Gomtang)

  • 한병욱;지승길;권재석;구재근;강경태;지성준;박신호;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17-1424
    • /
    • 2007
  • 수산물 가공 중 부산물로 다량 발생하고 있는 7종의 fish frame(연어 frame, 삼치 frame, 붕장어 frame, 가다랑어 frame, 황다랑어 frame, 참다랑어 frame및 붉은메기 frame)의 생선 곰탕의 추출 소재로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와 중금속 함량의 분석 결과 참다랑어 frame과 연어 frame은 식품가공소재로 안전한 범위이었다. Fish frame 추출물의 수분을 제외한 주성분은 조단백질이었다. 7종 fish frame 추출물의 엑스분 질소와 비린내 및 맛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생선 곰탕의 제조를 위한 엑스분 추출소재로는 연어 frame이 가장 적절하였다. 연어 frame 추출물의 인 및 칼슘함량은 18.0 mg/100 mL 및 33.1 mg/100 mL이었다.

시료상층부 원판 형태 단일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바닐라 향수의 휘발성 아로마 성분 추출 분석 (Analysis of volatile aroma compounds from vanilla perfume using headspace disk type monolithic material sorptive extraction)

  • 손현화;이동선
    • 분석과학
    • /
    • 제24권6호
    • /
    • pp.421-4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료상층부 원판 형태 흡탈착 추출법(HS-MMSE)을 개발하여 검증하고 바닐라 향수의 휘발성 아로마 성분들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에 적용하였다. HS-MMSE 방법은 실리카에 octadecyl silane (ODS)과 활성탄을 결합하여 만든 단일 다공성 물질(monolithic material, MonoTrap)을 흡착제로 이용한다. MonoTrap은 시료상층부에서 아로마 성분들을 흡착하고 100 ${\mu}L$ 소량의 용매로 추출한다. HS-MMSE를 이용하여 바닐라 향수로부터 12개의 성분들을 성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 benzyl acetate, linalyl acetate, vanillin, ethyl vanillin을 이용하여 추출 효율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들에 대한 실험을 통해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또한, 대상 물질들에 대한 분석 방법의 검증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검출한계, 정량한계는 각각 8.35~13.76 ng, 27.82~45.88 ng 범위였고 $r^2$값이 0.9888 이상인 우수한 직선성과 양호한 회수율 및 재현성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원판 형태 MonoTrap을 이용한 HS-MMSE 방법은 바닐라 향수의 휘발성 아로마 성분들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시판 갈근탕의 항산화능의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bilities of Commercial Gal Geun Tang)

  • 김동렬;곽결순;정석문;이승철;하정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28-732
    • /
    • 2003
  • 5개 회사의 시판 갈근탕 엑스과립 3 g에 물과 메탄올 97$m\ell$를 각각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물을 조제한 다음 항산화능을 비교 조사하였다. 탄닌산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총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평균 0.14 mM이었고, 제조회사에 따라 0.07 mM에서 0.23 mM의 범위를 보였다. 물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5개 제품의 평균값이 0.23 mM로서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상당히 높았고, 0.12 mM에서 0.28 mM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메탄올 추출물의 평균값이 85.54%로 대조구인 0.1% BHA의 72.26%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물 추출물의 평균값은 69.7%로서 대조구인 0.1% 아스코르빈산의 92.7%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TBARS 측정 에 의한 지질 과산화 저해율은 메탄올 추출물의 평균 저해률은 26.95%이었고, 전체적으로 17.02~37.36%의 범위를 보였다. 한편 물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 저해율은 평균 18.62%로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 평균값은 0.77단위로 대조구의 환원력 1.05단위의 73.1% 수준이었고, 물 추출물은 평균 0.88 단위이었다. 따라서, 시판 갈근탕 엑스과립은 제조 회사와 추출용매에 따라 항산화능의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레거시 어플리케이션 제품군으로부터 제품라인 자산을 추출하는 휘처 기반의 방법 (A Feature-Oriented Method for Extracting a Product Line Asset from a Family of Legacy Applications)

  • 이혜선;이강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7호
    • /
    • pp.337-352
    • /
    • 2017
  • 복제 및 소유(Clone-and-own) 재사용은 기존의 소프트웨어 제품을 복사하고 수정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이다. 복제 및 소유 재사용으로 개발된 레거시 소프트웨어 제품군은 일반적으로 리팩토링 없이 패치 업 되고 구조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높은 유지보수 비용을 필요로 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기존에 복제 및 소유 재사용 방법을 사용했던 많은 회사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소프트웨어 자산을 더 체계적으로 재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레거시 제품들을 소프트웨어 제품라인으로 전환하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존 방법들은 가변점(Variation points)을 디자인과 코드로부터 분리해서 모델링하고 관리하지 않고 디자인과 코드에 바로 임베드시킨다. 즉, 가변점이 가변성 모델을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생성되고 관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존 방법들은 다음의 문제를 야기한다. 기존 방법에서는 가변점 간 관계를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변점이 임베드 된 코드를 유지보수하기가 어렵고 코드가 변경 및 진화될 때 오류가 생기기 쉽다. 또한 소프트웨어 제품라인이 진화할 때 디자인/코드 자산이 적합한 리팩토링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애드 혹(Ad-hoc)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변경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거시 어플리케이션 제품군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자산을 구축하는 휘처 기반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가변점과 가변점 간 관계를 식별하고 이들을 구현으로부터 분리하여 휘처 모델로 모델링한다. 그리고 휘처 모델을 기반으로 레거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자산을 추출하고 관리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레거시 Notepad++ 제품군에 적용을 하여 방법의 실행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자연산과 양식산 참조기의 식품학적 품질평가 (Biochemical Composition of the Wild and Cultured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Korea)

  • 강희웅;심길보;조영제;강덕영;조기채;김종화;박광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8-24
    • /
    • 2010
  •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wild and cultured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moisture contents in wild and cultured yellow croaker was high: $75.2{\pm}1.60%$ and $79.5{\pm}1.95%$, respectively. The crude lipid contents of wild and cultured yellow croaker were low; moreover, the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did nol differ significantly (P>0.05).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wild and cultured yellow croak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however, the cystine content of wild yellow croaker was higher than than of cultured yellow croaker. The essential /nonessential amino acid (E/NE) ratio in wild and cultured yellow croaker was $0.76{\pm}0.01$ and $0.77{\pm}0.02$, respectively. The free amino acid and extractive nitrogen contents of cultured yellow croaker were high and differed significantly. The water soluble vitamin ($B_1$, $B_2$, $B_6$, $B_{12}$, C and folate) and fat-soluble vitamin (A and E) conten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expect for niacin. The niacin content of cultured yellow croaker was higher than that of wild yellow croaker.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wild and cultured yellow croak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sodium, magnesium, and copper contents in wild yellow croaker were relatively low. In comparison, the calcium, phosphorus and iron contents in cultured yellow croaker were relatively high. Overall,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wild and cultured yellow croak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