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Radial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n Single and Multipul Trigger Points in Patients with Biceps Tendinopathy

  • Changmin Lee;Ki Bum Jung;Yongwoo L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294-303
    • /
    • 2024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adial shock wave therapy (RSWT) targeting multiple myofascial trigger points (MTrPs) along myofascial chains on shoulder pain, function,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bicipital tendinopathy. While traditional treatments primarily focus on a single MTrP, this study aims to achieve better clinical improvement by simultaneously treating multiple MTrPs along the myofascial chains.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eight patients with bicipital tendinopath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14) or a control group (n=14).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RSWT targeting multiple MTrPs along myofascial chain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RSWT focused on a single MTrP in the biceps brachii. Both groups underwent three treatment sessions over a nine-day period, with one session every three days. Outcomes, including shoulder pain, function,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o assess therapeutic effects.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houlder pain, function,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p<0.05).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in all outcome measu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RSWT targeting multiple MTrPs along myofascial chain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effects in relieving shoulder pain, improving function, enhancing range of motion, and strengthening muscles in patients with bicipital tendinopathy compared to treatment targeting a single MTrP.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a comprehensive treatment strategy considering the entire myofascial pathway may be more effective in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bicipital tendinopathy.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요로결석 및 만성 소화불랑 개선 사례 (A Case Report on Improvement of Urolithiasis and Chronic Dyspepsia Using Ortho-Cellular Nutrition Therapy (OCNT))

  • 손민수
    • 셀메드
    • /
    • 제14권1호
    • /
    • pp.66.1-66.3
    • /
    • 2024
  • Objective: To improve the symptoms of patients with urolithiasis and chronic dyspepsia using OCNT. Methods: A 60-year-old Korean male who had undergone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six times without natural stone removal was treated with OCNT for two weeks. Results: The stones were removed through adequate hydration and light exercise while undergoing OCNT.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OCNT in patients with urolithiasis can be beneficial in alleviating symptoms.

경련성 감소를 위한 치료적 중재 연구 (Therapeutic Intervention to Reduce Spasticity)

  • 이중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427-436
    • /
    • 2019
  • 본 연구에는 편마비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환측 경직성 하지에 체외 충격파 치료를 적용하여 보행 중 무릎각도와 MAS, TUG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재활 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후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2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조군(n=10)은 일반적인 물리치료인 고유 수용성 감각 신경근 촉진법을 받았으며, 실험군(n=10)은 고유 수용성 감각 신경근 촉진법(PNF) 치료 후 체외 충격파 치료(ESWT)를 손상측 하지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행을 분석하기 위해 통합운동분석장치(4D-MT, Relive, Korea)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의 동적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Timed up and go test를 실시하였고 경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MA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무릎관절의 각도는 모든 그룹이 그룹 내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그룹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에서 TUG는 모든 그룹이 그룹 내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그룹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세분화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체외충격파치료가 주관절 외측상과염 환자의 손목 신전근의 근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rist Extensor Strength and Pain on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f the Lateral Epicondylitis)

  • 조남정;박장성;조운수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7-68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xtracorporea Shock-wave therapy(ESWT) on the pain and improvement of wrist extensor strength which is one of the available med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Object and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15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These medical treatments was conducted total 6 time for 3 weeks. In the ESWT application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fter ESWT treatment, Pain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VAS) which is divided into 10 ranks and wrist extensor strength was measured by Aneroid phygmomanometer Results : 1. It was showed that VAS and wrist extensor strength before treatment and after two treatment(1 week)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p<0.05). 2. It was showed that VAS and wrist extensor strength before treatment and after four treatment(2 week)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3. It was showed that VAS and wrist extensor strength before treatment and after six treatment(3 week)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Conclusion : We think that ESWT for the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is effective to wrist extensor strength and decrease of pain.

  • PDF

족관절 수술 후 발생한 통증에 대한 체외충격파의 치료 효과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for Postoperative Pain after Ankle Surgery)

  • 양기원;김진수;전성한;이도현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10
    • /
    • 2015
  • 목적: 발목 및 족부 수술을 시행한 후 통증이 발생한 경우에 통증을 감소 시키기 위해 체외 충격파 치료(ESWT)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한 족관절 주변 수술 후 통증이 발생한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석고 고정을 제거하고 2개월이 지난 후에도 압통을 호소하고, 시각동통점수(VAS) 점수가 4점 이상인 경우에 ESWT를 4회 시행하였다. 각 회 및 최종 추시 상의 VAS 점수를 확인하였으며 ESWT 전과 최종 추시에서 미국 족부족관절학회 후족부-족관절(AOFAS) 점수를 비교하였다. 환자의 만족도 및 불편감을 확인하였다. 결과: 수술 전 VAS는 평균 4.7점이었으며 수술 후 통증이 발생한 시점은 VAS는 평균 6.0점이었다. 수술 후 ESWT를 시작한 기간은 평균 4.5개월이었으며, 시행 후 1, 2, 3주 및 최종 추시에서 VAS는 각각 4.8, 3.2, 2.3, 2.9점이었다. ESWT 시행 후 최종 추시는 평균 9.4개월있었다. VAS 점수는 최종 추시에서 수술 후 발생한 통증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p<0.001), ESWT 4회 시행 후보다 최종 추시에서 통증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p=0.189). AOFA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60점에서 최종 추시상 86점으로 회복되었다(p<0.001). 환자는 매우 만족이 12례(57%), 만족이 4례(19%), 변화 없음이 3례(14%) 및 불만족이 2례(9%)였다. 1례에서 ESWT 중 어지러움 및 오심을 호소하였다. 결론: 수술 후 발생한 통증 치료에 ESWT를 사용하여 심각한 합병증은 없이 76%에서 통증의 호전을 보았다.

  • PDF

주관절 외상과염의 체외 충격파 시술에서 에너지량에 따른 치료 효과 - 전향적 무작위적 이중 맹검 대조군 연구 - (Dose-related Effect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for Lateral Epicondylitis -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 Blind Comparative Study -)

  • 오주한;윤종필;오정희;조기현;공현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2009
  • 목적: 주관절 외상과염 환자에서 체외 충격파 시술의 에너지량에 따른 치료 효과를 전향적 무작위적 이중 맹검 비교 방법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개월 이상의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이 없어, 체외 충격파 시술을 시행한 주관절 외상과염 환자들을 무작위적으로 각각 15명씩 저에너지군과 고에너지군으로 나누어 전향적 이중 맹검법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1주 간격으로 총 3회 동안 체외 충격파 시술을 시행받았고, 평균 에너지량은 저에너지군이 $0.12 mJ/mm^2$, 고에너지군이 $0.24 mJ/mm^2$ 이었다. 시술 전과 시술 1개월, 3개월, 6개월에 각각 Upper extremity function score, Mayo elbow score를 측정하여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체외 충격파 시술 후 저에너지군과 고에너지군 모두에서 유의한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며, 특히 시술 후 6개월에서 고에너지군이 통증의 호전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9). 체외 충격파 치료에 의한 치료 효과는 1개월 내의 단기 효과보다는 시술 후 1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주로 나타났다. 결론: 주관절 외상과염에서 체외충격파 치료는 에너지량에 상관없이 모두 유의한 치료 효과를 보였고, 특히 고에너지의 사용이 통증 조절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Special Issue for Biomedical Ultrasound: Towards Further Advances in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by Comprehensive Reviews

  • Kim, Yong-T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9권3E호
    • /
    • pp.107-110
    • /
    • 2010
  • In this paper, the rationale and contents of the special issue of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regarding comprehensive reviews on past, present and future of biomedical ultrasound are described. Brief descriptions of invited articles are given, and efforts by all contributing authors are gratefully acknowledged.

체외충격파치료가 회전근개 건염 환자의 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n Pain 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ndinitis)

  • 서형석;성연범;이중호;박영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132-3139
    • /
    • 2012
  • 본 연구는 회전근개건염 환자에게 체외충격파 치료를 실시하여 통증과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초음파를 통해 회전근개건염 진단을 받은 환자 32명(치료군 16명, 대조군 16명)을 대상으로 치료군에게 4주 동안 체외충격파 치료를 실시하였다. 통증은 visual analog scale(VAS)와 pressure pain threshold(PP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기능평가는 위해 Constant and Murley Scale(CMS)와 Simple Shoulder Test(SST)를 통해 평가 하였다. 연구 결과 체외충격파 중재 후 치료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통증과 관절가동 범위, 근력, 기능 등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이 결과는 회전근개건염 환자에게 체외충격파 치료가 어깨의 통증과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다.

전완부 총 신근 건 기시부의 석회화 건염 - 2예 보고 - (Calcific Tendinits at the Origin of Common Extensor Tendons of the Forearm - A Report of Two Cases -)

  • 김영규;조승현;문성훈;김남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84-88
    • /
    • 2011
  • 목적: 전완부 총 신근 건 기시부 생긴 석회화 건염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좌측 주관절 굴곡 구축과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42세 여자 환자로 단순 방사선 및 자기공명영상 촬영 후 전완부 총 신근 건 기시부의 석회화 건염 진단 하에 수술적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우측 주관절의 급성 통증 및 운동 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25세 여자 환자로 단순 방사선 사진상 전완부 총 신근 건 기시부에 석회화 건염 보여 체외충격파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2예 모두 치료 후 통증의 소실과 운동 범위의 완전 회복을 보였다. 결론: 주관절 외측부에 통증 및 운동 범위 제한을 유발하는 질환의 감별진단에 총 신근 건 기시부의 석회화 건염이 고려되어야 한다.

체외충격파치료기 카트리지의 L-929 세포를 통한 인체접촉부의 세포독성시험 (Cytotoxicity test on human contact area with L-929 cells using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cartridge)

  • 김준태;윤세진;박소현;김경아;조재현;정진형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89-395
    • /
    • 2024
  • 본 연구는 체외충격파치료기(ESWT :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카트리지부를 시료로 사용하여 의료기기 안전성 평가 기준인 GLP(Good Laboratory Practice)에 관한 시험 중 실험물질 인체접촉부위 용출물에 대해 L-929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물질 및 대조물질은 10% FBS가 포함된 1xMEM 배양액으로 37±1℃에서 24±2시간 용출하였다. L929 세포에 실험물질 용출액(시험군), 음성대조물질 용출액(음성대조군), 양성대조물질 용출액(양성대조군), 공시험액 용출액(용매대조군)을 적용하여 37±1℃, 5±1% Co2 배양기에서 48±2시간 배양하였다. 현미경으로 세포반응을 관찰한 결과 공시험액 용출액 및 음성대조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는 0 등급, 양성대조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는 4등급, 시험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는 0 등급으로 나타났다. 세포계수를 통한 정량적 평가를 한 결과 공시험액 용출액 대비 음성대조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는 106.28%, 양성대조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는 0.00%, 시험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는 99.58%의 세포생존율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음성 및 양성대조군의 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시험과정은 적합하였으며, 정성적인 평가 방법에서 2등급 미만이고, 정량적인 평가 방법에서도 세포 생존율은 70% 이상이므로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