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ellular fluid(ECW)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성인의 제2형 당뇨병 유무에 따른 체액 조성 차이 및 영양소 섭취량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 in body fluid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 between Korean adults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mellitus)

  • 김유경 ;최하늘 ;임정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4호
    • /
    • pp.377-390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와 질병이 없는 정상대조군을 비교하여 성별에 따른 체액 불균형 정도와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57명으로, T2DM이 있는 T2DM군 (n = 36)과 T2DM이 없는 정상대조군 (n = 21)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성별에 따른 체액량의 차이를 고려하여 남성 T2DM군 (n = 24), 남성 정상대조군 (n = 9), 여성 T2DM군 (n = 12), 여성 정상대조군 (n = 12)으로 세분화하여 지표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BIA를 통하여 연구대상자의 체액 조성을 분석한 결과, ECW/ICW는 T2DM군이 정상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부종지수를 나타내는 ECW/TBW는 T2DM군이 정상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체액 조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T2DM군은 정상대조군보다 높은 ECW/ICW, ECW/TBW를 보이며 동일한 체수분율 양상이 나타났다. 식사일기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1,000 kcal 당 탄수화물, 식이섬유, 비타민 A, 비타민 C, 나트륨, 칼륨 섭취량은 T2DM군이 정상대조군보다 많았고, 1,000 kcal 당 지방,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T2DM군이 정상대조군보다 적었다. 본 연구를 통해 T2DM 환자에게서 체액 불균형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당뇨 합병증의 평가, 진단의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ssessment of Body Fluid Alteration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Caused by Cerebral Hemorrhage and Cerebral Infarction

  • Shin, Yong Il;Kim, Gun Ho;Hwang, Young Jun;Baik, Seung Wan;Kim, Jae Hyung;Jeon, Gye Rok
    • 센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0-167
    • /
    • 2017
  • Many stroke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therapy require a quantitative indicator for the evaluation of body composition in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In this study, the body fluid alteration in the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caused by cerebral hemorrhage and cerebral infarction was analyzed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Alterations in body fluids were investigated to assess the physical status of the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of 20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caused by cerebral hemorrhage (7 patients) and cerebral infarction (13 patients). Extracellular water (ECW), intracellular water (ICW), ICW/ECW, total body water (TBW), ECW/TBW, and TBW/fat-free mass were utiliz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Compared with the non-paretic region, the paretic region had high ECW and low ICW. Due to the loss of motor function and nutritional imbalance caused by the stroke, the amount of fat increased while the muscle quantity and qualit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aretic region. Thus, BIA can be a useful tool for quantitatively assessing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혈액투석 환자에서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측정한 과수분량과 근육량 감소와 사망률의 상관관계 (Relative Association of Overhydration and Muscle Wasting with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Assessment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김은주;서상오;최유범;이미정;이정은;김형종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
    • 제93권6호
    • /
    • pp.548-555
    • /
    • 2018
  • 목적: 혈액투석 환자에서 체수분 상태는 중요한데 혈액투석 이후의 과수분 상태는 고혈압, 부종, 심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혈액투석 환자의 근육량 평가 및 체수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BIA 검사를 이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에서 이환율, 생존율과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2010년 1월부터 2015년 5월 30일까지 BIA를 측정한 말기 신부전으로 진단받고 투석을 3개월 이상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6월 30일까지 추적 관찰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시행하는 기본 혈액 검사와 BIA data (ECW, ICW, TBW, SLM, FFM, SMM 등)를 참조하여 환자의 이환율, 생존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사망군과 생존군에서 SLM, SMM, FFM의 차이는 없었다. 생존군에서 사망군보다 나이, C-반응단백 수치가 낮았고, 혈청 알부민, 부갑상샘호르몬, 인이 높았으며, 총 체액량(TBW) 중 세포외액량(ECW)의 비율은 사망군에서 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0.39{\pm}0.01$ vs. $0.40{\pm}0.01$; p < 0.05). 과수분군을 ECW/TBW ratio > 0.4로 정의하였을 때 Kaplan-Meier 생존분석에서 과수분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사망률이 높았다. 결론: 혈액투석 환자에서 BIA로 측정한 근육량 감소과 과수분 상태는 환자의 사망률과 이환율과 관련된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며, 근육량 감소보다는 과수분 상태가 사망률과 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 PREDICTION OF BODY WATER COMPARTMENTS OF GROWING CATTLE IN VIVO

  • Sekine, J.;Fujita, K.;Asahid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7-11
    • /
    • 1992
  • Body water compartments in vivo were determined in Holstein cattle with age ranging from 5 to 521 days to obtain an equation to estimate volumes of body water. Live weight ranged from 47 to 480 kg. Compartments were determined as antipyrine space for total body water (TBW), thiocyanate space for extracellular water (ECW) and Evans blue dye space for plasma water (PW). Body water compartment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live weight decreased as age in days increased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in days.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prediction equations had low accuracy. Regression equations of body water compartments on live weight (WT, kg) were useful for the prediction of body fluid with a high accuracy. Live weight significantly regressed on age in days (Day), which was inferred to be utilized for estimation of standardized live weight in case animals were emaciated by certain causes such as severe diarrhea or dehydration. In conclusion, following equations were presented to estimate body water compartments of cattle in vivo : TBW in liters = $0.556({\pm}0.007)WT+10$, r = 0.993, $SE{\pm}0.7$ ECW in liters = $0.321({\pm}0.008)WT+10$, r = 0.978, $SE{\pm}0.8$ PW in liters = $0.0502({\pm}0.0012)WT+1.6$, r = 0.0983, $SE{\pm}0.1$ WT (kg) = $0.772({\pm}0.018)Day+24$, r = 0.982, $SE{\pm}2.3$.

생체이온 변화 유발 후 경혈과 비경혈에서의 생체 구조 성분 분석 및 비교를 통한 경혈 특이성 고찰 (Body Composition Factor Comparisons of the Intracellular Fluid(ICW), Extracellular Fluid(ECW) and Cell Membrane at Acupuncture Points and Non-Acupuncture Points by Inducing Multiple Ionic Changes)

  • 김수병;정경렬;전미선;신태민;이용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2호
    • /
    • pp.66-78
    • /
    • 2014
  • 목적 : 경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경혈의 특이성을 확보하고자 다수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직류전압과 교류전압을 자극하여 단순히 경혈이 위치한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식이 아닌 Multi-Frequency Body Impedance analysis(MF BIA) 기법을 이용하여 생체 구조 성분(세포 외액, 세포내액의 저항성분 그리고 세포막의 용량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경혈의 특이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인체 내 생체 이온 변화가 발생하였을 시, 경혈이 비경혈에 발생 전/후 높은 변화율이 관찰될 것이라는 가정을 하에, 생체 이온 변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근피로를 유발하였으며, 유도 전/후의 생체 구조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대퇴직근에 근피로를 유도하기 위하여 건강한 대학생에게 Knee extension/flexion의 등속도 운동을 통하였다. 생체 이온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젖산을 측정하였으며, 피험자마다 동일한 근피로를 유발하기 위하여 EMG(electromyogram) 분석을 통하여 peak torque와 median frequency를 분석하였다. 근피로 유발 24시간 이후까지 젖산과 peak torque와 median frequency을 측정하였으며, 각 단계마다 복토(ST32), 음시(ST33) 과 인접한 비경혈 2개에 대하여 생체 구조 성분 또한 측정하였다. 결과 : 젖산과 peak torque와 median frequency은 24시간 이후 근피로 유발 전으로 회복되었다. 세포외액 저항성분의 경우 비경혈에 비하여 복토(ST32)에서 생체 이온 변화에 따라 높은 변화율이 관찰되었으나, 음시(ST33) 에서는 비경혈에 비하여 낮은 변화율이 관찰되었다. 세포내액 저항성분은 경혈과 비경혈 사이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복토(ST32)에서 세포막의 용량성분이 높은 변화율이 관찰되었지만, 음시(ST33)와 인접한 비경혈간의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 생체 이온 변화에 따라 인접한 비경혈과 비교해보았을 시, 경혈에서의 상대적으로 높고 낮은 혹은 유사한 변화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경혈의 특이성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생체 구조 성분 추출을 통하여 세포 이온 변화에 따른 경혈의 특이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Body composition and hemodynamic changes in patients with special needs

  • Tsukamoto, Masanori;Hitosugi, Takashi;Esaki, Kanako;Yokoyama, Takesh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6권3호
    • /
    • pp.193-197
    • /
    • 2016
  • Background: Some patients with special needs exhibit intellectual disability, including deficits in cognitive skills and decrease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compar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hemodynamics during general anesthesia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special needs. Methods: The backgrounds of patients who underwent oral maxillofaci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recorded from medical records. Intracellular water (ICW), extracellular water (ECW), stroke volume variation (SVV), and heart rate (HR) were recorded for 3 h after the start of anesthesia. Categorical data were compared using an unpaired t-test, and a P-value of less than 0.05 was regarded as significant. Numerical data were compared using the Bonferroni correction, and a P-value of less than 0.0125 was regarded as significant. Results: A total of 2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10 patients without special needs (non-S-group) and 11 patients with special needs (S-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s' backgrounds, except with regard to height (P = 0.03). In both groups, ICW and ECW were maintained, although they were lower in the S-group compared to the non-S-group. SVV was maintained in both groups, although it was higher in the S-group than the non-S-group. HR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group 1 h after induction of anesthesia (P < 0.003). Conclusions: Changes in hemodynamics due to body fluid imbalance should be monitored during general anesthesia,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special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