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osed length of steel ba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철근의 노출길이와 수직하중에 따른 발파공수와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vity with the Number of Blasting Holes Due to Exposed Length of Steel Bars and Vertical Load on Scale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 박훈;유지완;이희광;송정언;김승곤
    • 화약ㆍ발파
    • /
    • 제25권2호
    • /
    • pp.1-1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1/5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이용하여 철근의 노출길이 및 수직하중과 발파공수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수직하중을 재하하여 철근의 노출 길이와 발파공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또한 발파된 축소모형 기둥의 무게와 철근이 노출된 축소모형 기둥의 무게를 발파공수와 비교하였다.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시험결과로부터 철근의 노출길이 및 수직하중을 바탕으로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발파공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축소모형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redicting the flexural capacity of RC beam with partially unbonded steel reinforcement

  • Wang, Xiao-Hui;Liu, Xi-La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6권3호
    • /
    • pp.235-252
    • /
    • 2009
  • Due to the reduction of bond strength resulting from the high corrosion level of reinforcing bars, influence of this reduction on flexural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 should be considered. An extreme case is considered, where bond strength is complete lost and/or the tensile steel are exposed due to heavy corrosion over a fraction of the beam length. A compatibility condition of deformations of the RC beam with partially unbonded length is proposed. Flexural capacity of this kind of RC beam is predicted by combining the proposed compatibility condition of deformations with equilibrium condition of forces. Comparison between the model's prediction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published in the literature shows the pract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Finally, influence of some parameters on the flexural capacity of RC beam with partially unbonded length is discussed. It is concluded that the flexural capacity of the beam may not be influenced by the completely loss of bond of the whole beam span as long as the tensile steel can yield; whether or not the reduction of the flexural capacity of the beam resulting from the loss of bond over certain length may occur depends on the detailed parameters of the given beam.

L형 갈고리 앵커볼트를 사용한 약축방향 노출형 주각부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Evaluation of Exposed Column-base Plate Weak-axis Connections Using L-shaped Hooked Anchor Bolts)

  • 임우영;유영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269-2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소규모 철골조에서 나타나는 현장상세 노출형 주각부와 이를 보완한 상세를 가진 약축방향 주각부에 대한 반복 가력 실험을 통해 다양한 상세를 가진 약축방향 노출형 주각부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변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앵커볼트의 개수와 매립깊이, 그리고 리브 플레이트의 유무이다. 앵커볼트의 부착성능이 주각부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원형강봉과 나사산이 있는 L형 갈고리 앵커볼트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앵커볼트의 부착성능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항복유무는 주각부의 에너지 소산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가 현행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소 두께를 만족하더라도 강재 기둥이 소성모멘트에 도달하기 전 베이스 플레이트가 항복할 경우, 주각부의 구조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소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행 구조기준에 따라 접합부 성능을 조사한 결과, 제안된 약축방향 주각부 상세는 부분 강접합으로 가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원형강봉에 비해 부착성능이 우수한 나사산이 있는 L형 갈고리 앵커볼트는 반강접 노출형 주각부에 사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쪼갬파괴에 의한 FRP 보강근의 정착길이와 이음길이 (Development and Splice Lengths of FRP Bars with Splitting Failures)

  • 천성철;최동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19-525
    • /
    • 2010
  • FRP 보강근의 정착과 이음에 대한 국내외 실험을 수집하고, 정착과 이음실험을 분리한 회귀분석을 통해 쪼갬파괴에 의한 정착길이 설계식과 이음길이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이음실험에 의한 평균 부착강도는 정착실험에 의한 평균 부착강도에 비해 낮으며, C/$d_b$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합리적인 이음길이 설계를 위해 이음실험만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근거한 이음길이 설계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착강도의 분산(分散)이 FRP 보강근의 인장강도 분산에 비해 크므로, 정착길이와 이음길이 설계식에 이를 반영한 안전율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FRP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중계수와 강도감소계수가 철근콘크리트구조와 동일하다는 조건에서, 철근 품질관리에 적용되는 5% 분위수를 이용하여 경제적이면서 신뢰성 높은 정착길이와 이음길이 설계식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이음길이 설계식은 정착실험을 중심으로 개발된 ACI 440 설계식보다 C/$d_b$의 영향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C/$d_b$가 3.0 이상인 경우 ACI 440보다 짧은 이음길이가 산정된다. FRP 보강근이 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외기에 노출된 슬래브와 벽체의 배근 특성을 고려하면 이 연구에서 제안된 설계식은 매우 경제적인 이음길이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