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losive blasting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1초

미진동 Kinecker 진동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bration Level of Low Vibration Kinecker)

  • 김희도;안봉도;최성현
    • 화약ㆍ발파
    • /
    • 제24권2호
    • /
    • pp.65-73
    • /
    • 2006
  • 일반 에멀젼폭약과 정밀폭약 및 미진동 Kinecker를 시험 발파하여 각각의 진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발파 대상 지역은 안산암이 주종을 이루며, 안산암의 일축압축강도는 $1,260kg/cm^2$로 나타났다. 각 발파패턴별로 시험 발파하여 측정한 진동 자료를 회귀 분석하여 환산거리별 진동속도를 비교한 결과 미진동 Kinecker 발파공법이 정밀진동제어발파보다 평균 30.71%, 진동제어중규모발파보다는 평균 50.94%정도의 진동이 낮게 전파됨을 볼 수 있었다.

철골구조물 발파해체 시공사례 (A Case Study on Explosive Demolition of a Steel-Frame Structure)

  • 박훈;노유송;남성우;장성옥;김래회;석철기
    • 화약ㆍ발파
    • /
    • 제39권2호
    • /
    • pp.27-36
    • /
    • 2021
  • 최근 노후화와 기능적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불용하는 철골구조물의 해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철골구조물 해체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본 시공사례는 구조적 노후화와 기능적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철골구조물인 ore bin과 coke bin 해체에 발파해체공법 중 전도공법을 적용하였으며, 철골구조물을 발파 절단하기 위해 장약용기를 사용하였다. 발파해체 결과, ore bin과 coke bin은 예측된 방향으로 정확히 전도되었으며, 주변 시설물에 피해 없이 발파해체를 완료하였다.

산업용 연돌 발파해체 시공사례 (A Case Study on Explosive Demolition of a the Industrial Stack)

  • 박훈;남성우;노유송;김석원;석철기
    • 화약ㆍ발파
    • /
    • 제40권2호
    • /
    • pp.15-24
    • /
    • 2022
  • 최근 노후화로 불용되는 산업구조물의 해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산업구조물 해체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으며, 해체된 산업부지를 원래 자연의 모습으로 복원하는 공사가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본 시공사례는 구조적 노후화와 기능적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산업용 연돌 해체에 발파해체공법 중 전도공법을 적용하였다. 해당 연돌은 높이 150.0m이고, 연돌 외벽이 철근콘크리트 셸 구조물이며, 내부 연통은 스틸 셸 구조물인 복합구조물이다. 발파해체결과, 연돌은 예측된 방향으로 정확히 전도하였고, 주변 시설물에 피해 없이 발파해체를 완료하였다.

대단면 터빈기초 구조물의 발파해체 시공사례 (A Case Study on Explosive Demolition of a Large Section Turbine Foundation Structure)

  • 박훈;남성우;노유송;석철기
    • 화약ㆍ발파
    • /
    • 제40권3호
    • /
    • pp.54-65
    • /
    • 2022
  • 최근 대규모 산업구조물의 해체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체된 산업부지를 원래 자연환경으로 복원하는 공사가 진행하고 있다. 본 시공사례는 구조적 노후화와 기능적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대단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인 터빈기초를 해체하기 위해 발파해체공법을 적용하였다. 발파해체 결과 터빈기초의 파쇄상태는 양호하였고, 주변 시설물의 피해 없이 발파해체를 완료하였다.

국산(國産) 화약류(火藥類)의 종류(種類)에 따른 발파(發破) 진동치(振動値)의 비교(比較) (A Comparison of Blasting Vibration Level due to the Kind of Explosives Produced in Korea)

  • 임한욱;김웅수;이경운
    • 산업기술연구
    • /
    • 제5권
    • /
    • pp.9-14
    • /
    • 1985
  • The blast-induced ground vibrati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is considered to design blasting patterns in urban excavation. To compare with vibration level of different explosives, peak particle velocity of each explosive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Among the three kinds of explosives, the largest vibration was obtained from the gelatine dynamite, while the smallest was blasting of ammonium nitrate. 2. The vibration levels of ammonium nitrate and slurry explosive were smaller about 35%, 20% respectively than that of gelatine dynamite.

  • PDF

구조용 강재에 대한 폭파절단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Concussion Blasting for Structural Steel)

  • 양형식;장형두;고영훈;김승준;문희숙
    • 화약ㆍ발파
    • /
    • 제29권1호
    • /
    • pp.27-33
    • /
    • 2011
  •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인 SS400과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인 SM490에 대하여 폭발위력의 기준 약으로 사용되는 TNT를 이용한 붙이기 폭파절단실험을 실시하였으며, TNT 약량에 따른 강재의 절단 및 강종별 절단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SM490 강재의 폭파저항성이 SS400 강재 보다 약량기준 약 30% 이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원자력 증기발생기 결함 세관 보수용 폭발 sleev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sive Sleeving of A Repair for Defective Tube/Tubeplate on the Nuclear Steam Generator)

  • 이병일;강정윤;이상래
    • 화약ㆍ발파
    • /
    • 제17권4호
    • /
    • pp.8-17
    • /
    • 1999
  • Unfortunately leaks occur in heat exchangers periodically, usually at the tube to tubeplate joint. The usual method of repair is to plug off the defective area and isolate the tubes of concern from the circuit. If the leaks continua the thermal capacity of the units is progressively reduced and for this reason the alternative of using an internal bridging sleeve has been examined. This paper discusses the overall development activities that has been found necessary to bring this repair procedure to a successful conclusion for use on the nuclear steam generator. In this work we have investigated optimum explosives and explosive quality, explosive sleeving's thickness, the design of sheath stress relieving heat treatment pull-out load, hydraulic leakage, stress corrosion cracking properties. The results obtain are as follows : (1) The optimum explosives and explosive qualities are PETN and about 15~40 gr/ft of explosive sleeving in nuclear steam generator. (2) Explosive sleeving's thickness is 1.1~l.4mm, If groove of 0.35mm formed in sleeve outside existed, For the hydraulic leakage is go up, explosive sleeving of formed groove are applicate tube and turnplate. (3) If the stress relieving heat treatment are experiment in $750^\circ{C}$, $850^\circ{C}$, 15 minutes Pull-out strength of sleeving 1,500~2,300kg, hydraulic leakage is $250kg/cm^2$.

  • PDF

광진교의 우물통 기초 발파철거 사례분석 (Case Study of Explosive Demolition of Concrete Well Structure)

  • 두준기
    • 화약ㆍ발파
    • /
    • 제19권1호
    • /
    • pp.19-3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수상구간의 우물통 기초 철거공법을 약액(팽탕성 과괴제) 주임공법에서 발파공법으로 변경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주변의 보안물건에 대한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공사하여 원가를 절감한 사례를 중심으로 발파공법을 고찰하였다.

  • PDF

강건설계법을 이용한 스웨덴식 벤치발파의 설계 인자 분석 (Parameter Analysis of Swedish Bench Blast Design using Robust Design Method)

  • 양형식
    • 화약ㆍ발파
    • /
    • 제31권2호
    • /
    • pp.1-5
    • /
    • 2013
  • 스웨덴 식 벤치발파 설계방식에 대하여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설계인자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직교배열은 $L_9(3^4)$이었고 변수는 각각 3수준의 값을 갖는 천공직경, 화약의 종류, 공의 경사와 암석의 종류로 하였다. 분석결과 저항선 결정 영향요소는 천공직경, 화약의 종류, 암석의 종류 그리고 공의 경사 순이었으며 비장약량 영향요소는 암석의 종류, 화약의 종류 그리고 비천공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천공직경과 화약의 종류순이었다. 또 강건설계를 이용한 경제성 검토에서 최적인자 선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원통형 사일로 발파해체 시공사례 (A Case Study on Explosive Demolition of Cylindrical Silo)

  • 박훈;장성옥;박형기;김래회;석철기
    • 화약ㆍ발파
    • /
    • 제26권2호
    • /
    • pp.52-63
    • /
    • 2008
  • 최근 노후화와 기능적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불용되는 원통형 사일로의 해체 수요가 증가되면서 원통형 사일로의 해체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도공법에 의한 원통형 사일로의 발파해체를 수행하였다. 발파해체 결과, A 원통형 사일로는 예측된 방향으로 정확히 전도되었으며, B 원통형 사일로의 실제 전도방향은 예측방향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하단부 기둥과 링거더 지지부가 힌지 라인으로 설계되었으나, 실제 거동에서는 링거더 지지부만이 힌지 라인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다. 충격진동의 경우에는 예측 범위 이하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