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mental plot

검색결과 616건 처리시간 0.025초

액상분뇨 이용 수준에 대한 현장적용 연구 (A Practice-Oriented Study on Application Level of Animal Slurry)

  • 류종원;헬무트야콥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53
    • /
    • 2002
  • 장기간 액상분뇨 시용으로 토양에 질소가 과다하게 축적된 독일 남서부에 위치한 알고이 지방 2개 축산 농가 포장에서 환경과 자연을 보호하면서 사료작물을 재매하는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1987년에서 1993년까지 7년간 관행 액비 시용구와 액상분뇨 감량 시용구, 무비구를 두어 액상분뇨 시용수준이 초지 생산성에 미치는 현장 적용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7년간 액상분뇨를 사용하지 않는 무비구 토양은 pH와 인산, 가리 함량이 매우 낮아졌다. 액상분뇨 경감시용구 토양은 관행액비시용구보다 인산, 가리 함량이 약간 낮아졌다. 2. 초지의 식생 구성요소와 품질은 액비시용량 경감에 의하여 부정적으로 변화되지 않았다. 3 액비 경감시용구의 건물수량은 관행액비 시용구와 비교하여 지역에 따라 전혀 감소가 없거나 14% 감소되었다. 무비구의 건물수량은 지역에 따라 관행 액비시용구에 비하여 각각 14%,44% 감소되었다. 4. 장기간 액상분뇨 시용으로 토양이 비옥한 지역에서 액비 시용수준을 30∼40% 경감시키면 목초생산산성이나 식생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목초의 품질면에서는 조단백질 함량을 낮고 조섬유 함량이 다소 높아 긍적적인 효과로 평가되기 때문에 이 지역의 관행액비 시용량은 감소되어야 할 것으로 결론 내려진다

  • PDF

사과원 잡초관리 방법에 따른 사과해충 및 천적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hagous Arthropods and Their Natural Enemies at Different Weed Management Systems in Apple Orchards)

  • 김동순;이준호;전흥용;임명순;김기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6-265
    • /
    • 1995
  • 사과원 잡초군락이 해충 및 천적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제거한 구(제초구)와 수관하부까지 잡초를 키우면서 인력으로예초한 구(예초구)에서 수상의 해충 및 천적과 잡초상의 곤충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발생은 처리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응애류의 경우는 예초구에서 발생이 적은 경향이었다. 사과굴나방의 경우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피해엽률이 10% 정도 낮았고, 1994년은 4% 정도 낮은 발생을 보였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천적류 발생은 쳬초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사과굴나방의 기생청 천적류는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6~10%, 1994년에는 20~25% 높은 발생을 보였다. 사과원 잡초상에서 포충망을 이용 곤충류를 채집 조사한 결과, 사과해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과해충 천적류로서 좀벌류, 고치벌류, 애꽃노리재, 무당벌류, 풀잠자리류 등이 발견되었다. 사과생육기간중 잡초상 및 수상에서 군충군집변화는 상이하였다. 수상에서의 곤충군집형성에 약제살포가 큰 영향을 주었으나, 잡초상에서는 약제살포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군집이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사과원 잡초는 수상의 사과해충 및 천적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사과굴나방 기생벌같은 기주특이적인 천적들은 수상이동에 의하여 밀도억제작용을 하였고, 잡초상에 먹이가 풍부하거나 또는 광식성인 천적들은 잡초상 곤충군집에 연관되어 수상의 해충밀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

대구경 타원관을 적용한 건조기용 핀-관 열교환기의 성능특성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Fin-Tube Heat Exchanger having Large Diameter Oval Tube for Dryer)

  • 배경진;차동안;권오경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8-13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design data of fin-tube heat exchanger which have a large diameter oval tube for dryer application. In this study, the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fin-tube heat exchanger were compared with Dittus-Boelter and a new correlation equation using Wilson plot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based on section by section method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se results showed that a new correlation equation using Wilson plot method provided better prediction, about 3 to 12%, than the Dittus-Boelter equation, from the experiment comparison. Also, the pressure drop of simulation results showed much more deviati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직교배열표을 활용한 슬래브 구조체의 진동 해석 (Vibration Analysis in Reinforced Concrete Slab Using Tables of Orthogonal Arrays)

  • 서상호;전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72-378
    • /
    • 2005
  • Finite element analysis of concrete slab system in apartment building was executed using the tables of orthogonal arrays, and optimal design process was proposed. At firs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ound peak components to influence the overall level and the rating of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were coincident with natural frequencies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Finite element model of concrete slab w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well corresponded with an error of less than 10%. The tables of orthogonal arrays were used for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8 factors. 3 related to material properties and 5 related to slab shape parameters and its results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 ANOVA. The most effective factor among them was slab thickness, and main effect factor from slab shape parameters was different from each natural frequency. The interaction was found in the higher mode over $3^{rd}$ natural frequency. From main effect plot and interaction plot, the optimal design factor to increase the natural frequency was determined.

  • PDF

경기장 지붕의 막구조가 잔디생육에 미치는 광환경에 대한 영향분석 (Analysis of Light Environment to Turfgrass Growth under the Roof Membrane on Stadium)

  • 주영규;이동익;송규동;심규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9-128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roof membrane on light environment that influence on turfgrass growth under domed stadium. Roof structure on experimental plot was constructed with PTFE and PE same as Busan Asiad Main Stadium. Tested turfgrass species were combinations of cool-season grasses(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KBG80+PR20\%,\;KBG33+PR33+Fine fescue33\%)$ and warm-season grasses(zoysiagrass, 'An-yang middle-leaf, 'Zenith', Bermudagrass) established with seeding or sodding. The experimental set-up and research work were initiated November 1999 and finished on August 2000 at near Busan Asiad Main Stadium. By the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 of daylight radiant energies on the turf surface were lower than needs of normal sport turf growth. The shortage of radiant resulted pest infection on cool-season grass mixture compared with warm-season. But turf color and density showed the best results on Kentucky bluegrass or its mixture plot. Over 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quality of turfgrass growth was occurred on full sun area, and the next was under PTFE membrane.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lighting system may increase the turfgrass growth under domed stadium(partially) covered with roof membrane.

유기퇴비를 이용한 급경사 농경지 토양유실 저감 (Reduction of Soil Loss from Sloped Agricultural Field by using Organic Compost)

  • 고일하;강희천;권요셉;유찬;정문호;지원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5권4호
    • /
    • pp.48-57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organic compost for reducing soil loss in 25% sloped farm land. For the study,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 were performed. After nine weeks monitoring in pot test, hardness of the amended soil with organic compost (1%~3%, w/w) showed two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soil. Furthermore, soil loss of that was decreased by 95% under rainfall simulation test. From the result of laboratory experiment, organic compost with 2% (w/w) was applied for field experimental plot. After six month from April to September, the amount of soil loss became 67% of the initial, and the growth of natural vegetation was not hampered. Therefore, organic compost can be used as amendment materials to reduce soil loss in sloped farmland.

종토접종이 대두 근류 형성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Inoculation on the Nodule Formati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 장재훈;손상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35-453
    • /
    • 2008
  • 유기농업에서 윤작은 중요하고, 윤작작부체계에는 반드시 두과작물이 포함되어야 한다. 대두재배 영농현장에서 근류균 접종을 토양접종으로 손쉽게 파종 전에 실시할 수 있겠으나, 유기농 토양조건에서 토양접종의 효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실험은 토양의 근류균 접종이 대두의 근류 형성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천안시 입장면에 소재한 단국대학교 유기농업연구소 실습포장에서 대원콩, 신팔달콩2호, SS2-2을 공시하여 2006년도에 수행하였다. 토양의 근류균 접종에 따른 공시품종의 근류수는 무처리구보다 처리구가 $1.4{\sim}2$배 가량 많았다. 무처리구는 개화성기(R2)이후부터 근류형성이 감소하였으나 처리구는 착협성기(R4)까지 근류의 수가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였다. 토양의 근류균 접종에 따른 공시품종 근류중량의 경시적 변화는 근류수의 경시적 변화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대원콩은 처리구의 건물중이 무처리구보다 증가했지만 신팔달콩2호와 SS2-2는 무처리구보다 처리구의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chlorophyll 함량은 대원콩의 경우 무처리구보다 처리구에서 9% 가량 높았으나, 신팔달2호콩과 SS2-2는 오히려 처리구에서 각각 13%, 33% 가량 낮았다. 토양의 근류균 접종에 따른 대원콩 협수, 립수, 립중은 처리구가 증가하였지만 신팔달 2 호콩과 SS2-2의 협수, 립수, 립중은 처리구가 오히려 감소하였다. 토양의 근류균 접종에 따른 10a당 수량은 대원콩은 처리구가 13% 증가하였으나 신팔달2호콩은 처리구가 4% 감소하였고, SS2-2도 처리구가 23% 감소하였다.

  • PDF

녹비작물 및 Charcoal 처리가 생강 생육 및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Green Manure Crop and Charcoal Applications on Ginger Growth and Soil Properties)

  • 양홍석;김동진;안병구;이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3-519
    • /
    • 2014
  • 녹비작물로서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환원하고, 토양개량제로서 charcoal을 시용하여 생강연작 재배지에서 생강을 재배한 결과, 토양 pH가 시험 전 6.9~8.1에서 수확 후 6.8~7.6로 감소하였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는 한 시험 전 $0.45{\sim}1.25dSm^{-1}$에서 수확 후 $0.30{\sim}0.61dSm^{-1}$로 감소하였다. 토양유기물(soil organic matter, SOM) 함량과 토양 중 총질소(total-nitrogen, T-N) 함량은 증가하였다. 유효인산 함량과 치환성 K, Ca, Mg 함량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pH를 중성화시키고, EC 경감, SOM과 T-N 함량의 증가는 토양 화학성 변화에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생강양분의 함량적 차이를 정상근과 이병근의 함량 차이, 토양의 점토함량 별 양분 함량 차이로 조사한 결과,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으며, 처리구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망간(manganese, Mn)의 경우, 이병근의 지하부에서 3~4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망간(Mn)은 식물 뿌리에 대한 독성 작용으로 뿌리를 갈변시키고 균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된바, 뿌리썩음병의 발생으로 Mn이 작용하여 이병근의 M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뿌리썩음병과 Mn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강 수확 후 생강 생육 상태와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녹비보리, 헤어리베치, 녹비보리+charcoal, 헤어리베치+charcoal을 처리한 시험구(Plot 2, Plot 3, Plot 4, Plot 5)에서 생강의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생산량이 높아 병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Plot 4(헤어리베치+charcoal)-LCC에서는 100%의 생산량을 보였다. 녹비작물과 charcoal의 처리가 생강생육과 생산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점토함량이 낮은 처리구가 점토함량이 높은 처리구보다 생육 상태와 생산량에서 우세하였는데, 모래와 점토 함량 차이에 따른 배수와 토양의 수분보유력이 생강생육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on early growth of milkweed (Calotropis procera L.) under drought stress

  • Taghvaei, Mansour;Kordestani, Mojtaba Dolat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343-349
    • /
    • 2012
  • The use of growth medium is often recommended milkweed seedlings to grow and develop after emergence, and it is affected by growth medium and local habitat conditions. The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on early growth of milkweed under drought stress (Calotropis procera L.) were studied in a field experiment. A split-split plot experimental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was carried out in the nursery. The main treatment plot was divided into two levels of shade; (no shading and partial shading). Sub treatment plot1 included growth medium at four levels (G1 = clay [suitable for milkweed growth], G2 = clay + sand, G3 = clay + perlite, G4 = clay + perlite + sand) and sub treatment plot2 included drought (irrigation intervals) at six levels (D1 = 2 [control], D2 = 4, D3 = 6, D4 = 8, D5 = 10, and D6 = 12 days per for three month). The results showed that drought stress significantly decreased emergence percentage, shoot length, shoot dry weight (SDW1), root dry weight (RDW), seedling dry weight (SDW2) and vigor index (VI). The use of growth medium increased all seedling characteristics. The G3 (clay + perlite) growth medium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especially in terms of emergence percentage and seedling dry weight. Partial shade improved shoot length, shoot dry weight, and vigor index. Our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treatment for high-vigor milkweed seedlings under drought stress was G3 (clay + perlite)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혼파초지에서 액상구비시용에 관한 연구 I. 액상구비의 시용시기 및 시용수준이 목초의 건물수량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in Grassland I. Effect of the application times and levels of cattle slurry on the fry matter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grassland)

  • 김재규;박근제;이혁호;정의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2-188
    • /
    • 1991
  •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cattle slurry applicatioin on the dry matter yield, yield component,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the mixed sward,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times and five level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The experimental field was laid.out in a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and lasted from September. 1986 to October, 1990 at the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t each harvest time, the plant growth of the plots with cattle slurry application was slightly worse when compared to dressing of mineral fertilizer. 2. Average dry matter yield for 4 year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lurry application times, just after cutting, and 15 days after cutting, The DM yield in the plot with cattle slurry 30 m!/ha and mineral fertilizer(9,095 kg/ha) and with cattle slurry 60 m1/ha and mineral fertilizer(8, 987 kg/ha) were decreased by 8% and 10% than that of the plot with mineral fertilizer application(9,937 kg/ha), respectively. 3. The DM yield component of the plots with cattle slurry application just after cutting was much better when compared to manuring 15 days after cutting. And it was much better in the plot with cattle slurry 60 m"/ha and mineral fertilizer which was composed of 73.8% grasses(6.636 kg/ha). 24.6% legumes (2,207 kdha) and 1.6% weeds(144 kdha). 4. In general, the botanical composition was relatively good in the plots with slurry application just after cutting. Grassland vegetation of the plots with cattle slurry 60 m"/ha and mineral fertilizer was changed into much better botanical composition with 66.8% grasses, 30.2% legumes and 3. 1% weed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xperi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