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lusive privileg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기록관리와 전문성 - 실천으로만 보장받는 배타적 특권 - (Records/Archives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Exclusive Privileges in Exchange of Professional Commitments)

  • 이소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3-138
    • /
    • 2011
  • 지난 해 치러낸 '기록관리 현안'은 기록공동체가 기록전문성의 본질과 사회적 가치를 다시 한 번 근본적으로 성찰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연구의 주요 문헌을 검토하여, 기록관리 전문성을 바라보는 더 근본적인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전문성에 관련된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전문직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인 배타적 특권과 실천 의무의 양면성을 검토하였다. 전문직 연구의 일반론을 기록전문직에 대비하여, 실무와 기반 학문의 관계, 윤리규정과 협회와의 관계 등 기록전문성의 주요 쟁점사안을 조명하였다.

의무 분리를 위한 직무 기반 접근권한의 모델링 (A Modeling of Role Based Access Privileges for Separation of Duties)

  • 천은홍;김동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7호
    • /
    • pp.1801-1812
    • /
    • 1998
  • 기존의 접근 제어 메커니즘인 강제적 접근 제어와 임의적 접근 제어는 무결성을 요구하는 상용 환경의 정보 보안에는 부족하여 이의 대안으로 직무 기반 접근 제어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가 주목 받고 있으며, 직무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의무 분리(Separation of Duty)에 대한 연구가 최근 이루어지고 있다. RBAC에서 사용자는 직무에 배정된 접근권한(Privilege) 만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상호 배타적(Mutual exclusive)특성을 갖는 직무는 표현 및 접근 권한의 직무 배정과 수행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RBAC의 기본 특성을 분석하여 직무에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를 직무에 배정하는데 따른 안전한 접근 제어를 위하여 반순서 관계를 갖는 직무의 승계 속성에 따라 직무의 계층 형태를 분류하고, 직무에 배정되는 접근권한의 표현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객체에 부여된 객체 접근권한을 분석하여 방향성 그래프를 이용하여 기본 접근권한으로 모델링한다. 접근권한 그래프(Privilege Graph)로 표현된 기본 접근권한에 직무를 배정하면 상호 배타적 직무의 접근권한과 의무 분리의 표현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의무 분리를 포함한 RBAC의 안정성 특성과 접근권한 그래프를 이용한 직무의 의무 분리를 위한 직무 관리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PDF

한의학과 한의사의 지위에 대한 한의사들의 태도 연구 -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 (An Attitudinal Study of Korean Oriental Medical Doctors toward the Statu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Korean Oriental Medical Doctors - Focusing on Gyeongsang Provinces -)

  • 이현지;홍승표;임영규;홍진우;김보규;권영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9-115
    • /
    • 2011
  • Korean Oriental Medicine has experienced the fluctuation of its status since modernization started. At the beginning of the modernization, Korean Oriental Medicine faced the crisis of disappearance and, nowadays, its status has risen to the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medical system of Korea. Korean Oriental Medical doctors have obtained the position of medical profession and enjoyed the exclusive privileges. The study on the statu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is an interesting subject field in the sense that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social factors concerning the status fluctuation of medical profession in non-western world can be done. Few studies on the social statu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have been found so far in spite of its ample implication of the subject. This paper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iews of Korean Oriental Medical doctors about the statu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its status, and the cultivating method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features of Korean Oriental Medical doctors, first, the attitude toward the statu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was analyzed. The criteria to be investigated were the present and future statu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Second, the items for the status improvement of Korean Oriental Medicine was analyzed under the criteria of specialization and scientific movement of Korean Oriental Medicine. Third, the stance of Korean Oriental Medical doctors on the cultivating method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was analyzed under the criteria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and attitude toward Korean Oriental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