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vivo tes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6초

손 위생 제품에 대한 in vitro, ex vivo, in vivo 항균 시험법 비교 (Comparison of In Vitro, Ex Vivo, and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y Test Methods for Hand Hygiene Products)

  • 이다은;여현주;정혜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5-43
    • /
    • 2024
  • 손 위생 제품이 다양화됨과 동시에 각 활용 방법에 따라 그 효능을 평가하는 여러 시험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평가 방법에 따라 각 제품의 항균 효능은 다르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실제적인 효능을 확인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손 위생 제품의 효능평가방법 비교에 초점을 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특히 돼지피부를 이용한 ex vivo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손 위생 제품 중 리브온 소독제와 워시오프 세정제에 대해 각각의 항균 평가 방법을 종합적으로 비교했고, ex vivo 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연구 단계에서 효율적인 ex vivo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in vitro 시험으로써 액체 현탁을 기반으로 하는 time-kill 시험을 진행했고, in vivo 시험은 최소 2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ex vivo 시험은 규격화된 돼지 피부를 이용하여 in vivo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면서 소독제의 최적 처리량과 세정제 사용 시 첨가되는 물의 양을 제안했다. 시험에 사용된 손 소독제는 in vitro 시험에서 모두 5 log 이상의 세균 감소율을 보인 반면, ex vivo와 in vivo에서는 훨씬 낮은 살균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알코올 함량이 낮은 손 소독제에서는 1 log 미만의 살균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손 세정제의 in vitro 시험 결과, 대장균에 대해서는 1 log 이하의 낮은 항균력을 보였으나, ex vivo 와 in vivo 시험 결과에서는 이보다 높은 항균력을 유사하게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ex vivo 와 in vivo 시험 방법이 리브온과 워시오프 타입 제품의 두가지 다른 항균 메커니즘을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로 인해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된 ex vivo 시험은 빠르고 정확한 항균 평가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약물 독성 평가용 생체외 각막 모델 제작 연구 (Fabrication of Ex vivo Cornea Model for a Drug Toxicity Evaluation)

  • 김선화;박상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43-150
    • /
    • 2019
  • To evaluate the toxicity of ophthalmic drug, the Draize test and Bovine Corneal Opacity and Permeability (BCOP) test commonly used. In Draize test, experimental animals were under stress and pain due to long-term exposure of drug. In addition, regarding physiological functions, animal model is not perfectly reflected a human eye condition. Although some models such as $EpiOcular^{TM}$, HCE model, LabCyte Cornea-Model, and MCTT $HCE^{TM}$ were already presented advanced cornea ex-vivo model to replace animal test. In this sense, cornea tissue structure mimicked ex-vivo toxicity model was fabricated in this study. The corneal epithelial cells (CECs) and keratocytes (CKs) isolated from rabbit eyeball were seeded on non-patterned silk film (n-pSF) and patterned silk film (pSF) at $32,500cells/cm^2$ and $6,500cells/cm^2$. Sequentially, n-pSF and pSF were stacked to mimic a multi-layered stroma structure. The thickness of films was about $15.63{\mu}m$ and the distance of patterns was about $3{\mu}m$. H&E stai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ell proliferation on silk film. F-actin of CKs was also stained with Phalloidin to observe the cytoskeletal alignment along with patterns of the pSF. In the results, CECs and CKs were shown the good cell attachment on the n-pSF and pSFs. Proliferated cells expressed the specific phenotype of cornea epithelium and stroma. In conclusion, we successfully established the ex-vivo cornea toxicity model to replace the eye irritation tests. In further study, we will set up the human ex-vivo cornea toxicity model and then will evaluate the drug screening efficacy.

한식 식품군의 in vitro 총 항산화능 (TDAC)과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와의 관련성 (Protective effect of Korean diet food groups on lymphocyte DNA damage and contribution of each food group to total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TDAC))

  • 이민영;한정화;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277-287
    • /
    • 2016
  • 본 연구는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 함량, in vitro 항산화활성 및 인체세포를 이용한 ex vivo DNA 손상 감소효과를 비교하고, 각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하며, 한식의 총 식사 항산화능에 대한 각 식품군의 기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식의 식물성 식품을 10가지 식품군 (곡류, 과일류, 채소류, 견과류, 김치류, 해조류, 감자류, 버섯류, 두류, 오일류)으로 분류한 후 각 식품군별로 총 섭취량의 1% 이상 섭취한 식품 84종을 한식의 식물성 식품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EAC assay, $ORAC_{ROO{\cdot}}$ assay를 사용하여 in vitro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한식의 식품군별 항산화능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DAC)은 in vitro 항산화활성 평균값과 각 식품군의 1일 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고 한식 TDAC는 각 식품군의 DAC로의 합으로 구하였으며, TDAC에 대한 각 식품군 항산화능의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인체 임파구에서의 ex vivo DNA 손상 정도는 comet assay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은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 김치류 등의 순으로 높았으며, 3가지 in vitro 실험법을 평균한 식품군의 항산화활성 순위는 버섯류, 해조류, 채소류, 김치류, 과일류 등의 순이었다. 각 식품군의 항산화활성에 식품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한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의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33.4%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 (23.9%), 채소류 (12.7%), 김치류 (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체 임파구에서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는 버섯류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김치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그리고 ex vivo DNA 보호효과의 순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각 지표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 식품군 중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에서 총 페놀함량과 항산화 활성, DNA 손상 보호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ex vivo DNA 보호효과 지표 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별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과일류, 채소류, 김치류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한식의 우수성을 항산화 측면에서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x Vivo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Porcine Buccal Mucosa to Drugs with Various Polarity

  • Lee, Jae-Hwi;Lee, Yoon-Jin;Yoon, Mi-Kyeong;Choi, Young-Wo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2호
    • /
    • pp.71-74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barrier function of excised porcine buccal mucosa to the test compounds, estradiol, propranolol HCI, melatonin, and mannitol with a wide range of partition coefficient values. The permeability of melatonin was measured through frozen, stored, and fresh porcine buccal mucosa to examine the impa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permeability of porcine buccal mucosa.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x vivo permeability of the porcine buccal mucosa was greater for more lipophilic solutes, which was consistent with a series of molecules transported by passive transepithelial diffusion. The melatonin permeation profiles through frozen, stored, and fresh mucosa illustrated that damage was incurred by the freezing process of the mucosal tissue, leading to loss of the barrier function and thereby an increased permeation coefficient. It can be observed that the influence of compound lipophilicity on the association of the compounds with buccal mucosa was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meation coefficient and Log P values for the four compounds investigated demonstrate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further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lipophilicity of a compound to permeate the buccal mucosa.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x vivo porcine buccal mucosa model is a suitable tool to screen oral mucosal permeability.

정향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양식 및 In vivo Test (Anticoagulation Activity Pattern and In vivo Test of Extract from Eugenia caryophyllata)

  • 이종임;이현순;전우진;유광원;신동훈;홍범식;조홍연;양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43-548
    • /
    • 2000
  • EC-2B와 EC-2C 획분은 정향(Eugenia caryophyllata)의 알칼리 추출물로부터 에탄올 침전, cetavlon 처리 및 한외여과를 거쳐 분획하였다. EC-2B 획분은 APTT에서 항응고 활성을 가지는 반면, EC-2C 획분은 APTT와 TT 모두에서 항응고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EC-2B와 EC-2C에서 모두 혈소판 응집억제능을 관찰할 수 있었다. EC-2B와 EC-2C 획분의 경구투여에서 두 획분 모두 독성이 없었으며 EC-2B 획문은 1,000 mg/kg (mouse, intravenours)에서도 독성이 없었으나, EC-2C 획분은 LD50 322 mg/kg 정도의 독성을 가지고 있었다. 두 획분의 in vivo 성에서의 항응고 활성을 60% 생존율을 갖는 dose로 표시한 결과 EC-2B는 131 mg/kgdlsep 비해 EC-2C는 58 mg/kg로 활성의 차이가 in vitro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 두획분을 sulfation시킨 후 활성의 변화를 ex vivo를 통해 확인한 결과 두 획분 모두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EC-2B 획분의 활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 PDF

시판 천연 과일주스와 채소주스의 항산화능과 임파구 DNA 손상 방지 효능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prevention of lymphocyte DNA damage by fruit and vegetable juices marketed in Korea)

  • 조미란;이혜진;강명희;민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1-9
    • /
    • 2017
  •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시판 100% 천연 과채류 주스 중 과일주스, 채소주스, 녹즙 및 채소혼합주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측정법으로는 DPPH, TEAC, ORAC 법 등 세 가지 in vitro 측정법과 comet assay를 이용한 ex vivo 분석법으로 과채류 주스의 항산화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DPPH 분석법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블루베리주스, 채소혼합주스 C, 케일 녹즙, 채소혼합주스 P, 포도주스 순으로 높았으며, TEAC 방법으로 측정한 주스 시료들의 항산화 활성은 블루베리주스, 채소혼합주스 C, 포도주스, 채소혼합주스 P, 케일 녹즙 순으로 높았다. 또한, ORAC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블루베리 주스, 케일 녹즙, 채소혼합주스 C, 포도주스, 오렌지주스 순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in vitro 측정법에 따른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블루베리 주스가 항산화능이 가장 우수했으며 이어서 포도 주스, 채소혼합주스 C, 케일 녹즙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인체의 임파구 DNA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ex vivo 분석법인 comet assay로 분석한 결과 블루베리 주스와 포도 주스의 DNA 손상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GSTM1/GSTT1 유전형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국내에서 시판하고 있는 100% 천연 주스 14종 가운데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블루베리 주스, 포도 주스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채소혼합주스로는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보라색을 띄는 주스류의 항산화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손소독제(겔형, 액제형, 와이프형)의 효능 평가법 개선: 평가 전략 연구 사례 및 손 균총 정보 활용 등 최근 동향 (Improvement of the 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Gel, Liquid, and Wipes): Emerging Trends from in vivo/ex vivo Test Strategies for Application in the Hand Microbiome)

  • 오윤;송지섭;박한솔;이영훈;신진송;박다솜;남궁은;조태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1
    • /
    • 2023
  • 피부를 대상으로 한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외용소독제의 경우 식품 취급자에 오염된 미생물의 사멸 또는 제거를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제품 소비 증가와 제품 다양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살균 효능은 소독제의 핵심 품질 평가 요소로서 수행 절차 및 조건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시험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총설논문에서는 주요 제형별(겔형, 액제형, 와이프형) 시험법 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시험법별 특장점 분석 결과와 최근 관련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향후 효능 평가 체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체 대상 시험법의 경우 시험 유형에 따라 소독제를 시험 대상 피부 표면에 처리하는 조건이 다양화되어 있어 시험법 간 동등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소독제 제품의 성분이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시험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평가 체계 및 관련 규제의 표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특히 와이프형 소독제의 경우 처리 방식이 미생물 제거 및 살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노출하는 손 대상 처리를 위한 사용 패턴의 표준화 사례가 부족 하였다. 한편 [전처리 - 소독제 노출 - 미생물 회수] 등 각 시험 절차별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을 발굴하는 연구의 지속 수행을 통해 기존 시험법을 개선하고 신규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최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ex vivo 시험법은 인체 시험의 제한적인 연구 재현성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인간 피부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적용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손 피부를 대상으로 한 균총 연구 등 소독제 처리 전후 미생물의 특성과 분포 분석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보고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미생물 군집 단위의 소독제 효능 평가 시험법의 확립이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소독제 효능 시험법의 현황 기반 발전 전략은 보다 효과적인 개인위생 관리 확립을 통해 손을 통해 교차 오염되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중보건 및 식품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Alleviation of Atopic Dermatitis through Probiotic and Mixed-probiotic Treatments in an Atopic Dermatitis Model

  • Seo, Jae-Gu;Chung, Myung-Jun;Lee, Hyun-G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0-427
    • /
    • 2011
  • The use of lactic-acid bacteria (LAB) is effective for preventing and curing immune disorders by activating the immune system in the digestive tract and the consequent immune response in the blood. In this study, LAB and mixed LABs were used in an atopic dermatitis (AD) mouse model. Alleviation of AD was observed based on the change in cytokine leve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 ex vivo test showed that immunoglobulin-E and interleukin (IL)-4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groups treated with LAB than in the group treated with only 1-chloro-2,4-dinitrobenzene. Results of an in vivo test based on the ex vivo results showed that the scratch score decreased in all groups treated with the LAB and particularly de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mixed LABs. Additionally, the T helper (Th) 1 cytokines interferon-gamma and IL-12p40 were upregulated by the LAB and mixed-LABs, whereas levels of the Th2 cytokine IL-4 were downregulated in a mouse model of AD-like skin lesions. Furthermore, hematoxylin & eosi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dorsal area of the mice in each group showed that AD improved in the LAB-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B and mixed LABs inhibit the development of AD in NC/Nga mice by suppressing the Th2 cell response and increasing the Th1 cell response. Our results indicate that mixed LABs are better than LAB for treating AD-like skin lesions.

신물질 ASPALATPNE의 항혈전 작용

  • 한병훈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23-123
    • /
    • 1993
  • Acetylsalicylic acid (aspirin)와 인삼의 항산화 성분인 maltol의 축합반응으로 합성된 신물질 Aspalatene이 저용량: 장기 복용시 항산화활성과 더불어 지혈시간 연장효과가 탁월함을 보고 한 바 있다. Aspalatone은 aspirin과는 달리, 장기 복용시에도 위궤양 유발 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말초순환개선제로서의 개발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Aspalatone의 항혈전작용을 in vivo, ex vivo 및 in vitro에서 연구하였다. Mouse thromboembolism test를 이용한 in vivo실험에서 Aspalatone은 aspirin과 유사하게 collagen에 의한 치사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ADP에 의한 치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10일간의 장기 투여 실험에서는 저용량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10일간의 장기 투여 실험에서는 저용량에서 항혈전 작용을 나타내며 투여 중단 4일 후에도 약효가 유지되는 것을 밝혔다. 이는 Aspalatone이 aspirin과 같이 cycloosygenase에 작용하여 항혈전 작용을 나타냄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 PDF

Inhibitory effect of Capparis zeylanica Linn. on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and attenuation of scopolamine-induced amnesia

  • Chaudhary, Amrendra Kumar;Solanki, Ruchi;Singh, Vandana;Singh, Umesh Kumar
    • 셀메드
    • /
    • 제2권2호
    • /
    • pp.19.1-19.6
    • /
    • 2012
  • $Capparis$ $zeylanica$ Linn. a 'Rasayana' drug is used for its memory enhancing effects in the traditional Ayurvedic system of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nd memory enhancing activities of $Capparis$ $zeylanica$ Linn. The$in-vitro$ and $ex-vivo$ models of AChE inhibitory activity were used along with Morris water maze test to study the effect on memory in rats. The anticholinesterase effect of m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of $Capparis$ $zeylanica$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Ellman method at 0.1, 0.3, 1.0, 3.0, 10 and 30 mg/ml and brain monoamine oxidase (MAO-A and MAO-B) activity was assessed by Naoi's method. The results $in-vitro$ and $ex-vivo$ AChE assay revealed that m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of $Capparis$ $zeylanica$ inhibit AChE activity, whereas these extracts did not alter MAO activity at any concentration tested as compared to moclobemide and L-deprenyl. The results indicate that $Capparis$ $zeylanica$ improves scopolamine-induced memory deficits through inhibition of AChE activity, and not by direct MAO inhib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