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polymerization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초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유래 polyethylene furoate 나노섬유 제조에 관한 연구 (Fabrication of Biomass Based Polyethylene Furoate Nanofiber by Electrospinning)

  • 최현진;김선희;김백진;김상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024-4031
    • /
    • 2014
  • 나노섬유의 경우 넓은 비표면적과 높은 공기투과도 등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석유화학 기반 고분자의 경우 가채연수 제한문제와 이산화탄소 배출에 의한 온실가스 유발문제로 인해 바이오매스 유래 고분자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셀를로오즈로부터 유래된 플랫폼 화합물 중 퓨란계 유도체인 2,5-furandicaboxylic acid와 e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이를 중합한 바이오매스 유래 PEF(polyethylene furoate)를 제조 및 이를 활용하여 전기방사법을 통해 나노섬유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전기방사 과정에서 사용된 용매와 고분자 용액의 농도, 전기장의 세기 등의 변수들이 섬유형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PEF 15 wt%의 농도로 HFIP를 용매로 제조한 고분자 용액을 이용하여 약 200~700 nm의 나노섬유의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섬유의 직경은 인가된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불소화된 폴리우레탄의 합성과 표면특성 (Synthesis and Surface Properties of Fluorinated Polyurethanes)

  • 김형중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33-40
    • /
    • 2001
  • 불소화된 폴리우레탄 탄성체를 4,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MDI) 혹은 toluene 2,4-diisocyanate(TDI) 같은 diisocyanate와 perfluorinated polyether(Fomblin $ZDOL^{\circledR}$)로부터 2단계 용액 중합법에 의해 합성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의 soft segment 부분 중 10~50%를 Fomblin ZDOL 성분이 되도록 polypropylene glycol(PPG) 혹은 polytetramethylene glycol(PTMG)과 같은 polyether polyol을 반응도중에 혼합하여 반응을 완성하였다. 사슬연장제로는 ethylene diamine 혹은 1,4-butanediol을 사용하였다. 합성 중합체의 확인과 평균분자량 등 특성조사에 FT-IR, $1^H$-NMR,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였고 표면특성은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와 접촉각으로 조사하였다. 표면분석결과 불소기는 합성된 탄성체 필름의 내면보다 표면에 더 많이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ossibility of Wound Dressing Using Poly(L-leucine)/poly(ethylene glycol)/poly(L-leucine) Triblock Copolymer

  • 김현정;조종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9-254
    • /
    • 1997
  • ABA-type block copolymers composed of poly(L-leucine)(PLL) as the A component and poly(ethylene glycol)(PEG) as the B component were synthesized by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L-leucine N-carboxyanhydride initiated by primary amino group located at both ends of PEG chain. A silver sulfadiazine(AgSD)-impregnated wound dressing of sponge-type was prepared by the lyophilization method. Morphological structure of this wound dressing obta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was composed of a dense skin layer and a macroporous inner sponge layer. Equilibrium water content(EWC) of wound dressing was above 10%. It increased with an increased of PEO content in the block copolymer due to the hydrophilicity of PEO. AgSD release from AgSD- impregnated wound dressing in PBS buffer(pH=7.4) was dependent on PEG composition in the block copolymer. Therefore, EWC and release of AgSD can be control by PEG composition. Antibacterial capacity of AgSD-impregnated wound dressing was examined in agar plate against Pseudmonas aeruginosa and Stapplococus aruous. Cytotoxicity of the wound dressing was evaluated by studing mouse skin fibroblast(L929). From the behavior of antimicrobial releasing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suppression of bacterial proliferation, it was supposed that the wound dressing containing antibiotics could protect the wound surfaces from bacterial invasion to suppress the bacterial proliferation effectively. In cytotoxicity observation, cellular damage was reduced by the control led released of AgSD from the LEL sponge matrix of AgSD-medicated wound dressing. In vivo test, granulous tissue formation and wound contraction or the AgSD and DHEA impregnated wound dressing were aster than any other groups.

  • PDF

가교제 변화에 따른 광학용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물성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rosslinker Type on Adhesion Properties of Transparent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Optical Applications)

  • 백승석;장세정;황석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199-203
    • /
    • 2014
  • 아크릴 단량체인 2-ethylhexyl acrylate (2-EHA), 2-hydroxyethyl acrylate (2-HEA), isobornyl acrylate (IBOA)를 광중합을 통하여 3원 공중합체 시럽을 합성하였다. 이관능기 아크릴 단량체인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Mn = 250, 575, 700)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semi-IPN형 감압성 점착제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s)를 UV-광가교 시켜 제조하였다. 가교제 변화에 따른 감압성 점착제의 점착특성, 저장탄성율, 그리고 광학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점착특성과 저장탄성율은 가교제의 화학구조와 분자량에 의존하였다. 광학특성은 모든 감압성 점착제에서 92.5 % 이상의 광투과도 (at 550 nm), 1.0 % 이하의 haze값, 0.3 이하의 색차계값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가교제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한 폐폴리카보네이트 해중합 특성 (Depolymerization of Polycarbonate Waste by Ethylene Glycol)

  • 김동필;김보경;조영민;한명완;김범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875-87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에틸렌글리콜(EG)을 이용하여 비스페놀 A(BPA)를 얻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PC) 해중합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반응시간, 반응온도, 에틸렌글리콜 양에 따른 비스페놀 A의 수율에 대하여 알아 보았으며, 반응속도식을 구하였다. 에틸렌글리콜에 의한 해중합 반응은 반응 온도에 따라 활성화 에너지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변하였고, 이는 이 반응이 여러 단계의 직렬반응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비스페놀 A의 최대수율은 EG/PC 무게비 4, 반응온도 $220^{\circ}C$, 반응시간 85분에서 95.6%였다.

Glycerol dimethacrylate를 포함한 고습윤성 안의료용 고분자의 중합 및 특성 (Polyme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phthalmic Polymer Containing Glycerol dimethacrylate with High Wettability)

  • 조선아;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83-289
    • /
    • 2011
  • 본 연구는 glycerol dimethacrylate를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methyl methacrylate), MA(methacrylic acid) 그리고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22~32%, 굴절률 1.442~1.463, 가시광선 투과율 90.0~90.5%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56~$65^{\circ}$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sessile drop method에 의한 공중합체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glycerol dimethacrylat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9.89~$18.99^{\circ}$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습윤성이 높은 안의료용 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EMA를 포함한 친수성 폴리머 중합 및 산소 투과율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olymerization of Hydrogel Polymer Containing HEMA and Measurement Method of Oxygen Transmissibility)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49-754
    • /
    • 2009
  •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는 친수성 안 의료용 소재로써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중의 하나이다. 또한 산소투과율(Dk/t)은 콘택트렌즈 재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물리적 특성 중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methacrylate), NVP (N-vinyl-pyrrolidone),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사용하여 공중합 하였으며, 일반 콘택트렌즈와 칼라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여 중심부와 주변부의 산소투과율을 polarographic method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polarographic method로 측정한 콘택트렌즈 주변부의 산소투과율 감소량은 40.77%에서 49.13%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칼라 콘택트렌즈는 염료에 기인된 영향으로 산소투과율의 감소량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알부민을 함유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L-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웨이퍼의 제조 및 방출거동 (Preparation and Release Behavior of Methoxy poly(ethylene glycol)- poly(L-lactide-co-glycolide) Wafer Containing Albumin)

  • 서광수;김문석;김경자;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4호
    • /
    • pp.328-334
    • /
    • 2004
  • 단백질 전달체로 이용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는 카비톨 (134 g/mole)과 550, 2000 및 5000g/mole의 각기 다른 분자량을 가진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개시제로 하여 촉매인 Sn(Oct)$_2$를 사용하여 L-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었다. $^1$H-NMR, GPC, 그리고 XRD를 이용하여 합성된 블록 공증합체의 특성을 결정하였다. 이식형 웨이퍼를 준비하기 위하여 동결분쇄기를 이용하여 형광이 결합된 1% 소 혈청 알부민과 고분자를 균일 혼합 후에 3mm${\times}$1mm의 크기로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형광 알부민의 방출 거동과 pH 변화는 pH 7.4의 인산염완충용액을 이용하여 37$^{\circ}C$, 100rpm의 항온조에서 30일 동안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양은 형광분광기를 통하여 FITC의 강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알부민의 방출 거동은 블록 공중합체내에서 MPEG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빠른 초기방출을 보였고, PLGA의 분자량을 조절함으로서 약물의 방출기간을 결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생분해성 PLGA에 친수성인 MPEG의 도입을 통해 약물의 방출거동을 조절할 수 있었다.

이식형 단백질 전달체로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알부민의 방출 거동 (Synthesis of Methoxy Poly(ethylene glycol)-b-poly($\varepsilon$-caprolactone) Diblock Copolymers and Release Behavior of Albumin for Implantable Protein Carriers)

  • 서광수;전세강;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32-238
    • /
    • 2004
  • 약물 전달체로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MPEG, methoxypolyethylene glycol)과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카프로탁톤 ($\varepsilon$-CL, $\varepsilon$-caprolactone)으로 구성된 MPEG-PCL 블록 공중합체를 개환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MPEG-PCL의 결정성과 열적특성은 X선 굴절계와 시사주차열량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단백질로서 알부민 (FITC-BSA, albumin bovine-fluorescein isothiocyanate)과 블록 공중합체를 동결 제분 후, 직접압축 성형방법에 의해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은 pH 7.4 인산염완충액을 사용하여 37$^{\circ}C$에서 14일 동안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양은 형광분광기를 통하여 FITC의 강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웨이퍼의 형태학적 관찰은 디지털 카메라와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 속도와 초기 burst는 MPEG-PCL 블록 공중합체의 분절 내에서 폴리(에틸렌 글리롤)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또한 폴리카프로락톤의 분자량이 감소할수록 많은 초기방출과 단축된 방출기간을 보였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유연기판 특성 (Characteristics of PET-PEN Copolymer as a Material for Flexible Substrate)

  • 염주선;김재현;강호종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99-604
    • /
    • 2011
  • 폴리에스테르 유연기판 제조를 위하여 PET-PEN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들의 형태학적 변화가 유연기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합성된 PET-PEN 공중합체는 DMT/NDC의 조성비에 따라 공중합체 block sequence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공중합체에 PET-PEN과 PEN의 block sequence가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유연기판의 치수안정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DMT/NDC의 조성비가 50/50인 경우, 열팽창계수(CTE)가 최소가 됨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PET-PEN 공중합체는 광투과 특성이 80% 이상을 유지하며 1시간 동안 $280^{\circ}C$에서의 열안정성도 0.4 wt% 이내를 유지하여 유연기판으로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