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glycols (E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Co(III)/Co(II) 및 Fe(III)/Fe(II) 산화환원계에 의한 에텔렌글리콜의 연속 매개전해 산화 (Continuous Mediated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Ethylene Glycol by Co(III)/Co(II) and Fe(III)/Fe(II) Redox Systems)

  • 김익성;박승조
    • 공업화학
    • /
    • 제16권5호
    • /
    • pp.635-640
    • /
    • 2005
  • 매개전해산화는 저온과 저압 분위기에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전기화학적으로 산화하는 과정이다. 이 공정은 유해 유기물을 함유한 폐물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공법중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Fe(III)/Fe(II)나 Co(III)/Co(II) 산화환원계를 이용하여 질산용액 중에서 에틸렌글리콜의 매개전해 산화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에틸렌글리콜을 매개전해 산화시 전류밀도, 지지전해질 농도, 체류시간, 제거효율 등을 검토하였다. 매개전해산화시 에틸렌글리콜의 제거효율은 Fe(III)/Fe(II) 산화환원계보다 Co(III)/Co(II) 산화환원계가 우수하였고 매개전해산화 제거효율은 100%이었다. 에틸렌글리콜을 시료로 하였을 경우 좋은 수율로 탄산가스가 생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Preparation of PET Using Homogeneous Catalysts. II. Effect of BHPP, NPG and PD in $Sb_2$$O_3$ Glycol Solution Catalysts

  • Son, Tae-Won;Son, Hae-Shik;Kim, Won-Ki;Lee, Dong-Won;Kim, Kwang-Il;Jeong, Jae-Hun
    • Fibers and Polymers
    • /
    • 제1권1호
    • /
    • pp.6-11
    • /
    • 2000
  • In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of polyethyleneterephthalate(PET), $Sb_2$$O_3$, can react effectively as a catalyst, if physically transformed. $Sb_2$$O_3$ powder is transformed into liquid solution by dissolving in ethylene glycol(EG). Homogeneous catalyst is made by mixing this liquid solution with glycols having different solubility. The efficient reaction of PET polymerization is expected by using homogeneous catalyst. PET was synthesized using homogeneous catalysts of 4 wt.% $Sb_2$$O_3$ solution dissolved in glycol[EG, 2,2-bis(4-(2-hydroxyethoxy)phenol)propane(BHPP), neopentyl glycol(NPO), and 1,3-propandiol(PD)]. PET using EG-BHPP($Sb_2$$O_3$) catalysts shows the highest I.V. within a reaction time of 120 min. In the p-d analysis, PET using EG-BHPP($Sb_2$$O_3$) catalysts has the fastest propagation rate and slowest degradation rate. EG-BHPP($Sb_2$$O_3$) catalysts are more efficient than EG($Sb_2$$O_3$) catalysts and $Sb_2$$O_3$ powder catalysts.

  • PDF

세바식 산으로 중합된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원료로 사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yurethane Adhesive Based Polyester Polyol Polymerized from Sebacic Acid)

  • 진경호;김민수;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3호
    • /
    • pp.190-19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피마자유 유래의 sebacic acid를 isophthalic acid 및 glycol과 병용하여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중합하고 이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에서 sebacic acid를 병용한 폴리올이 adipic acid를 사용한 폴리올 보다 응집에너지가 커서 접착력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glycol은 선형구조 보다 메틸기를 포함하는 가지구조가 더 좋은 접착력을 보였다. 쇄연장제는 1,4-butane diol(BD)를 사용한 것이 가장 접착력이 좋게 나타났다. 또한 TGA 측정결과 내열성은 BD가 가장 높고, 1,2-propylene glycol(PG)가 다음, ethylene glycol(EG)가 가장 낮았다. DMA 측정에서 유리전이온도는 PG, EG, BD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