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emission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6초

Permeation behavior of olefin/nitrogen/hydrogen through PDMS dense and composite membranes

  • Choi, Seung-Hak;Kim, Jeong-Hoon;Shin, Hyo-Jin;Park, In-Jun;Roh, Jae-Sung;Kang, Deuk-Joo;Lee, Soo-Bok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3년도 The 4th Korea-Italy Workshop
    • /
    • pp.137-138
    • /
    • 2003
  • The worldwide annual production of polyolefins amounted to 60 million tons in 2000. During the process, 1-2 wt% of the olefin monomers have been emitted and flared into the air, causing the huge energy consumption and severe carbon dioxide emission. Recently, membrane process has been proved to be the most competitive among other separation processes in terms of cost of equipments, energy consumption and safety in this application. The performance of membrane process highly depends on the membrane properties and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good membrane materials and composite membranes. We prepared PMDS dense and composite membranes and studied basic permeation behaviors of a series of olefins(ethylene, propylene, 1 -butylene), nitrogen and hydrogen as model gases.

  • PDF

Aminoethoxyvinylglycine 처리가 '홍로' 사과 표피의 지질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ethoxyvinylglycine Treatment on Lipid Material Changes in 'Hongro' Apples)

  • 전영근;강인규;최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33-35
    • /
    • 2015
  • 본 연구는 AVG처리가 '홍로'사과 표피의 지질물질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확 후 상온에서 저장한 '홍로'사과의 내생 에틸렌 농도는 $220mg{\cdot}L^{-1}$ AVG처리구는 무처리구와 $200mL{\cdot}L^{-1}$ Ethephon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같은 기간 지질물질 발생량도 다른 처리구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수확 2주전 $220mg{\cdot}L^{-1}$ AVG처리는 내생 에틸렌 농도를 낮추어 과실의 노화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과실 표피의 지질물질 축적도 줄여줌으로써 상온유통이 되는 '홍로' 사과의 과실품질 향상 및 유지에 효과적이다.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유래 polyethylene furoate 나노섬유 제조에 관한 연구 (Fabrication of Biomass Based Polyethylene Furoate Nanofiber by Electrospinning)

  • 최현진;김선희;김백진;김상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024-4031
    • /
    • 2014
  • 나노섬유의 경우 넓은 비표면적과 높은 공기투과도 등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석유화학 기반 고분자의 경우 가채연수 제한문제와 이산화탄소 배출에 의한 온실가스 유발문제로 인해 바이오매스 유래 고분자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셀를로오즈로부터 유래된 플랫폼 화합물 중 퓨란계 유도체인 2,5-furandicaboxylic acid와 e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이를 중합한 바이오매스 유래 PEF(polyethylene furoate)를 제조 및 이를 활용하여 전기방사법을 통해 나노섬유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전기방사 과정에서 사용된 용매와 고분자 용액의 농도, 전기장의 세기 등의 변수들이 섬유형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PEF 15 wt%의 농도로 HFIP를 용매로 제조한 고분자 용액을 이용하여 약 200~700 nm의 나노섬유의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섬유의 직경은 인가된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친환경 폴리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합성 (Syntheses and Characterization of UV-curable Polyurethane Acrylates with Eco-friendly Polyols)

  • 이봉;김영우;이원기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4호
    • /
    • pp.140-145
    • /
    • 2019
  • 환경적 관점에서 고분자필름이나 코팅제 산업계에서 이산화탄소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저감은 가장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이다. 광경화 시스템은 용제를 사용치 않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출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빠른 경화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적은 잇점이 있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는 거대한 폐플라스틱의 발생을 고려하면 환경적으로 경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락타이드 다이올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폴리올로하여 광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고 자외선에 의해 말단의 아크릴레이트 그룹의 경화반응을 진행하였다. 경화된 필름의 인장강도, 파단율 및 Tg는 폴리락타이드 다이올의 함량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고 친수특성과 열정안정성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함량과 비례하였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폴리올의 함량 조절로 광경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물성이 조절 가능하였다.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이미드 공중합체 비대칭 평판형 분리막의 제조 및 기체 투과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PEG-Polyimide Copolymer Asymmetric Flat Sheet Membranes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 박정호;김득주;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5권6호
    • /
    • pp.547-5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높은 이산화탄소 분리성능을 가지는 폴리이미드의 제조를 위해 2,2-bis(3,4-carboxylphenyl) hexafluoropropane과 두종류의 아민인 2,3,5,6-tetramethyl-1,4-phenylenediamine, Poly(ethylene glycol) bis(3-aminopropyl) terminated을 이용하여 합성을 진행하였다. 합성된 고분자를 비용매 상전이법으로 비대칭 분리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고분자의 용해도 지수 추정 값과 비용매 상전이 계수 측정을 통해 용매를 선정하였고, 고분자 용액 점도 측정을 통해 분리막 제조를 위한 도프용액 중의 고분자의 함량을 결정하여 질산리튬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평판형 비대칭 분리막은 전자주사현미경(SEM)을 통해 질산리튬과 휘발성 용매 함량에 변화에 따른 모폴로지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의 변화에 따른 기체 투과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리막 제조를 위한 도프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 함량이 작을수록 선택도 변화가 없으면서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i/Al2O3 촉매를 사용한 에틸렌글리콜의 수증기 개질 반응: 촉매 제조 방법과 환원온도의 영향 (Steam Reforming of Ethylene Glycol over Ni/Al2O3 Catalysts: Effect of the Preparation Method and Reduction Temperature)

  • 최동혁;박정은;박은덕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3호
    • /
    • pp.372-38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Ni/Al_2O_3$ 촉매를 사용한 에틸렌글리콜의 수증기 개질반응에서 제조 방법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촉매들은 건식 함침법, 습식 함침법 그리고 공침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공침법을 사용하여 촉매 제조시 침전제를 KOH, $K_2CO_3$, $NH_4OH$를 각각 사용하여 침전제에 따른 영향 또한 알아보았다. 제조한 촉매들은 질소 물리흡착,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법(ICP-AES), X선 회절법(XRD), 수소 승온 환원법(TPR), 수소 화학흡착, 승온 산화법(TPO), 주사전자현미경(SEM), 열분석법(TGA)을 사용하여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773 K에서 환원한 촉매의 경우 KOH 혹은 $K_2CO_3$를 침전제로 사용하여 공침법으로 제조한 촉매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촉매 제조 방법은 Ni의 입자크기, Ni 산화물의 환원도, 반응에서의 활성과 안정성, 반응 중 탄소 침적의 형태 등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OH를 침전제로 사용하여 공침법으로 제조한 촉매의 경우 환원온도를 773~1173 K까지 증가시켰을 때, Ni 입자크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Ni 산화물의 환원도가 증가하므로 반응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 발광 (Y,Al)VO4:Eu3+ 형광체 나노입자의 합성과 발광 특성 (Synthesis and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Red-Emitting (Y,Al)VO4:Eu3+ Nanophosphors)

  • 서정현;최성호;남산;정하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3-109
    • /
    • 2012
  • Red-emitting $Eu^{3+}$-activated $(Y_{0.95-x}Al_x)VO_4$ (0 < x $\leq$ 0.12) nanophosphors with the particle size of ~30 nm and the high crystallinity have been successfully synthesized by a hydrothermal reaction. In the synthetic process, deionized water as a solvent and ethylene glycol as a capping agent were used. The crystalline phase, particle morphology, and the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the excitation spectrum, emission intensity, color coordinates and decay time, of the prepared $(Y_{0.95-x}Al_x)VO_4:Eu^{3+}$ nanophosphor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YVO_4:Eu^{3+}$. Under 147 nm excitation, $(Y_{0.95-x}Al_x)VO_4$ nanophosphors showed strong red luminescence due to the $^5D_0-^7F_2$ transition of $Eu^{3+}$ at 619 nm. The luminescence intensity of $YVO_4:Eu^{3+}$ enhanced with partial substitution of $Al^{3+}$ for $Y^{3+}$ and the maximum emission intensity was accomplished at the $Al^{3+}$ content of 10 mol%. By the addition of $Al^{3+}$, decay time of the $(Y,Al)VO_4:Eu^{3+}$ nanophosphor wa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YVO_4:Eu^{3+}$ nanophosphor. Also, the substitution of $Al^{3+}$ for $Y^{3+}$ invited the improvement of color coordinates due to the increase of R/O ratio in emission intensity. For the formation of transparent layer, the red nanophosphors were fabricated to the paste with ethyl celluloses, anhydrous terpineol, ethanol and deionized water. By screen printing method, a transparent red phosphor layer was formed onto a glass substrate from the paste. The transparent red phosphor layer exhibited the red emission at 619 nm under 147 nm excitation and the transmittance of ~80% at 600 nm.

에틸렌 글리콜을 이용하여 용매열 합성으로 Eu3+가 도핑된 Y2O3 나노 입자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Eu3+ Doped Y2O3 Nanoparticles with a Solvothermal Synthesis Using the Ethylene Glycol)

  • 신수철;조태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709-714
    • /
    • 2003
  • 에틸렌글리콜을 용매로 하여 용매열 합성으로 20$0^{\circ}C$에서 3-5시간 반응시킨 후 1000-140$0^{\circ}C$에서 2-4시간동안 대기 중에서 열처리 과정으로 Eu가 도핑된 $Y_2$ $O_3$ 나노 입자는 제조되었다. 100$0^{\circ}C$에서 열처리한 결정의 X-선 회절패턴은 보고되어진 데이터(JCPDS 카드파일 41-1105, a=10.6041 $\AA$)와 거의 일치하는 격자상수 a=10.5856 $\AA$으로 순수한 큐빅 $Y_2$ $O_3$ 상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적색 형광체의 평균입자의 크기는 대략 100 nm로 구형의 형태를 가진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형광체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형광체의 발광 세기가 증가하였다. PL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Eu의 농도가 3 ㏖% 도핑된 $Y_2$ $O_3$은 250 nm 파장에서 여기 스펙트럼을 나타내었고 611 nm 파장에서 주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레이저 유도 백열법을 이용한 단기통 커먼레일 디젤 엔진 배기에서의 PM 크기 계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s of PM Size in a Single Cylinder Common-rail Diesel Engine Exhaust using LII Method)

  • 전홍식;김희준;류훈철;박종일;한재원;전광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95-102
    • /
    • 2006
  • Recently particulate matter(PM) emission regulations are becoming more strict for diesel engine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for measuring not only concentration but also size of the particles. Laser-induced incandescence (LII) has emerged as a promising technique for measuring particle volume fraction and size. In this study, the Simple Time Resolved-LII method was applied to exhaust of Ethylene diffusion flame and diesel engine exhaust for measuring soot and PM size. The particle size data from LII technique were calibrated 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photographs. In diesel engine experiments for particle size measurement, results from LII measurement are in a good agreement with those from TEM photograph, and difference between two measurements was less than 16%.

2차원 시분해 레이저 유도 백열법을 이용한 에틸렌 확산 화염에서의 매연 입자 크기 측정 (Soot Primary Particle Size Measurement in a Ethylene Diffusion Flame Using Time-Resolved Laser-Induced Incandescence)

  • 손무강;문건필;김규보;이종호;정동수;전충환;장영준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40-1145
    • /
    • 2004
  • Laser-induced incandescence (LII) is introduced as a valuable too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nanoparticles in flame environments. This technique is based on the heating of the particles by a short laser pulse and the subsequent detection of the thermal radiation. It has been applied successfully for the investigation of soot in different fields of application. The evaluation of the temporal decay of the laser-induced incandescence (LII) signal from soot particles is introduced as a technique to obtain two-dimensional distributions of particle sizes and is applied to a laminar diffusion flame. This novel approach to soot sizing exhibits several theoretical and technical advantages compared with the established combination of elastic scattering and LII, especially as it yields absolute sizes of primary particles without requiring calibration. With this technique a spatially resolved 2-D measurement of soot primary particle sizes is feasible in a combination process form the ratio of emission signals obtained at two delay times after a laser pulse, as the cooling behavior is characteristic of particle siz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