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copolymerization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8초

PP-g-IA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PP/EVOH 블렌드의 상용화 효과 (Preparation of PP-g-IA and its Compatibilizing Effects in PP/EVOH Blends)

  • 김정수;장지훈;전동규;김동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225-2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 (PP)과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VOH)의 블렌드에 있어 발생하는 상분리 현상을 방지하고자 PP에 itaconic acid (IA)가 그라프트 된 PP-g-IA 를 상용화제로 이용하였다. PP-g-IA 상용화제는 PP base에 IA의 투입량을 1, 2, 5, 10 wt.% 로 달리하면서 투입하여 제조하였으며, FT-IR과 $^1H$ NMR 분석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PP에 IA가 그래프트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 그래프트율이 1% 로 가장 높게 나타난 PP-g-IA 상용화제를 PP/EVOH 블렌드 연구에 적용하였다. 신규 상용화제가 적용된 PP/EVOH 블렌드는 SEM을 이용하여 모폴로지를 관찰하였고, DSC 와 UTM를 이용하여 열적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P-g-IA 상용화제는 PP/EVOH 블렌드의 계면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상용화제로써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EPDM에 방향족 카르복시산을 함유하는 아크릴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과 기계적 특성 (Graft Copolymerization of Acrylic Monomer Containing Aromatic Carboxylic Acid Group onto EPDM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 박현주;박종혁;배종우;김구니;오상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3호
    • /
    • pp.216-2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hydroxybenzoic acid(HBA)와 acryloyl chloride(AC)의 반응에 의해 방향족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아크릴 단량체 p-acryloyloxybenzoic acid(ABA)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ABA 단량체와 benzoyl peroxide(BPO) 개시제를 이용하여 톨루엔 용매 하에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에 그라프트 공중합 시켰다. 합성된 단량체 ABA와 그라프트 공중합체 EPDM-g-ABA의 구조는 FT-IR, $^1H$-NMR 및 $^{13}C$-NMR 분광기로 분석하였으며, 개시제 함량과 단량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라프트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라프트율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와 영구압축줄음율과 같은 기계적 특성은 향상되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T_g$와 초기 열분해 온도는 약간씩 상승하였다.

불균일계 올레핀 중합촉매내 내부전자공여체가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 분자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Donors in the Heterogenous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on the Molecular Structure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고영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4호
    • /
    • pp.410-413
    • /
    • 2007
  • 불균일계 중합촉매내 내부전자공여체(ID)의 존재 유무와 종류가 에틸렌과 1-부텐 간의 공중합에서 얻어지는 공중합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리카 담지 $TiCl_4$ 촉매를 실리카 담지체에 ethylaluminium dichloride, magnesium alkyl, 2-ethyl-1-hexanol, $TiCl_4$와 여러 종류의 ID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 때 ID와 Ti의 몰비를 0.5로 고정하였다. ID는 ethylbenzoate(EB), diisobuylphthalate(DIBP), dioctylphthalate(DOP)을 사용하였다. ID가 촉매 내에 존재하는 경우 Ti(+3)의 함량비가 증가하였다. 공중합 활성은 EB를 $TiCl_4$ 반응 후에 투입한 촉매가 가장 높았으며 그 외의 ID가 존재하는 촉매는 활성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Xylene soluble(XS) 측정값은 ID가 존재하는 모든 중합촉매가 ID가 없는 경우 보다 50% 이상 감소하였으며 Crystaf 분석 결과 DIBP가 존재하는 촉매가 상대적으로 균일한 화학조성분포를 보였다. 이는 ID가 분균일한 촉매활성점을 보다 균일하게 만드는 역할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입체규칙성을 갖는 활성점을 만들거나 비입체규칙성 활성점을 blocking하는 역할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불소화 알킬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고분자의 합성과 발수성 (Synthesis and Water Repellency of Polymers with Fluorinated Alkyl Group and Isocyanate Group)

  • 백창훈;공종윤;현석희;임용진;김우식
    • 폴리머
    • /
    • 제29권5호
    • /
    • pp.433-439
    • /
    • 2005
  • 내구발수성 고분자를 얻기 위해 불소화 알킬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m-이소프로페닐-$\alpha,\;alpha$-디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TMI)를 유화중합시켜 불소화 알킬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3 단량체의 공중합속도는 비이온 유화제 및 비이온-양이온 혼합 유화제의 사용에 따라 상당히 의존하였고 그 최적조건을 얻었다. 공중합체의 입자크기는 105에서 222nm의 범위에 있었고 비이온-양이온의 혼합 유화제에 의해 만들어진 공중합체가 비이온 유화제로 만들어진 공중합체보다 입자가 작았다. 나일론과 면의 모델 화합물로 N-메틸아세트아미드와 셀로비오스 각각과 TMI는 반응하지 않았다. 반면에 TMI와 부틸아민은 실온에서 반응하였다. 혼합 유화제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를 코팅한 나일론과 PET 천에 대한 세탁 전후의 물의 접촉각은 $139^{\circ}$$133^{\circ}$ 정도였다. 따라서 공중합체의 내구발수성은 우수하였다

4-Fluorostyrene을 포함하는 안의료용 고분자 합성 및 물리적 특성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Ophthalmic Copolymer Containing 4-fluorostyrene)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17-322
    • /
    • 2010
  • 본 연구는 4-fluorostyrene을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19.98 ~ 31.08%, 굴절률 1.443 ~ 1.475, 가시광선 투과율 87 ~ 93%, 인장강도 0.246 ~ 0.311 kgf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54.14 ~ $66.95^{\circ}$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4-Fluorostyrene 첨가한 콘택트렌즈 재료의 경우, 기본적인 콘택트렌즈의 물성을 만족하였고, styrene 비교하여 함수율의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습윤성과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고 굴절률과 습윤성을 지닌 콘택트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란을 포함한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Isocyanate Group의 영향 (Effect of Isocyanate Group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l Contact Lenses Containing Silane)

  • 성아영;조선아;김태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597-602
    • /
    • 2012
  • 본 연구는 triacetoxyvinlysilane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MA (methacrylic acid)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5.63~32.44%, 굴절률 1.4382~1.4480, 가시광선 투과율 89.0~92.5%, 인장강도는 0.346~0.674 kgf를 나타내었다. 기본 모노머 조합에 triacetoxyvinlysilane을 첨가한 조합과 1%의 hexamethylene diisocyanate를 첨가하여 중합한 조합의 물성을 비교한 결과 hexamethylene diisocyanate 1%를 첨가하여 중합한 렌즈의 인장강도가 더 큰 값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내구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안의료용 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N-Dimethylacrylamide를 포함한 하이드로젤 렌즈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le Lens Containing N,N-Dimethylacrylamide)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61-765
    • /
    • 2010
  • Poly (N,N-dimethylacrylamide)는 수용성과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N,N-dimethylacrylamide를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6 - 42%, 굴절률 1.433 - 1.426, 가시광선 투과율 90 - 91%, 산소전달율 13.1 - $21.29{\times}10^{-11}(cm^2/sec)$ ($mlO_2/mL{\times}mmHg$)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polarographic method에 의한 공중합체의 산소전달율을 측정한 결과 N,N-dimethylacrylamid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11.0% - 80.5%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고산소투과성을 지닌 하이드로젤 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inylanisole을 포함한 고굴절률 안의료용 렌즈 재료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hthalmic Lens Materials with High Refractive Index Containing Vinylanisole)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55-760
    • /
    • 2010
  • 본 연구는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를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496 - 1.4894, 함수율 22.93 - 35.50%, 가시광선 투과율 88.8 - 90.8%를 나타내었다. 또한,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절률은 증가하였으며, 함수율은 감소하였다.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을 15%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UV-A 52.8 - 82.2%, UV-B 13.2 - 26.2%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자외선 차단성과 고굴절률을 가진 안의료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체적합성을 가진 천연고분자의 응용 및 기능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unctionality and Application of Natural-polymer with Biocompatibility)

  • 김태훈;김두언;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47-552
    • /
    • 2009
  • 천연고분자물질인 키토산은 생체적합성과 생체활성이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체 의료용 재료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수용성 키토산을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methacrylate), MA (methacrylic Acid) 그리고 개시제인 AIBN을 사용하여 공중합 하였다. 공중합한 안의료용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측 정한 결과 함수율 24$\sim$59%, 가시광선 투과율 88$\sim$89%, 인장강도 0.1$\sim$2.4 Kgf를 나타내었다. 또한 포도 상구균, 녹농균에 대한 항균성 시험 결과 키토산을 포함하지 않은 고분자에 비해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 어 향후 이 공중합체가 고기능성을 가진 안의료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lycerol dimethacrylate를 포함한 고습윤성 안의료용 고분자의 중합 및 특성 (Polyme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phthalmic Polymer Containing Glycerol dimethacrylate with High Wettability)

  • 조선아;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83-289
    • /
    • 2011
  • 본 연구는 glycerol dimethacrylate를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methyl methacrylate), MA(methacrylic acid) 그리고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22~32%, 굴절률 1.442~1.463, 가시광선 투과율 90.0~90.5%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56~$65^{\circ}$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sessile drop method에 의한 공중합체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glycerol dimethacrylat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9.89~$18.99^{\circ}$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습윤성이 높은 안의료용 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